분류 전체보기
-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7. 8. 3. 22:11
사위질빵 Aoiifolia Virgin`s Bower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갈잎덩굴나무로 질빵풀이라고도 한다. 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과 할미질빵(혹은 할미밀망)은 아주 비슷한데 애틋한 전설이 있다. 이 꽃들은 덩굴 식물들인데 다 등짐을 메는 줄로 사용한다. 사위질빵은 줄기가 가늘고 연약해서 잘 끊어지므로 백년손님인 사위가 짐을 질 때 주었다. 할미밀망은 줄기가 굴고 튼튼해서 잘 끊어지지 않으므로 미운 시어머니가 짐을 질 때주었다고 해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할미밀망은 꽃이 세 개씩 모여 핀다. 사위질빵 http://ktk84378837.tistory.com/2858 http://ktk84378837.tistory.com/3969 열매 http://ktk84378837..
-
나무수국(水菊) panicle hydrangea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7. 8. 3. 22:06
나무수국(水菊) panicle hydrangea, tree hydrangea. 범의귀과 수국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 ~ 3m. 꽃은 7 ~ 8월에 가지 끝에 큰 원뿔모양꽃차례가 달리고, 무성꽃과 양성꽃이 한 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백색이지만 약간 붉은빛이 돌기도 한다.중성화란 무성화(無性花)라고도 하는데 불임성화(不稔性花)와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양성화란 자웅동화(雌雄同花)라고 해서 암술과 수술이 한 그루에 있다. 열매는 삭과로 10 ~ 11월에 익는다.粉團花(분단화)는 消濕(소습), 破血(파혈)의 효능이 있다. 뿌리는 말라리아, 爛喉(난후)를 치료한다. 또 接骨(접골)의 효능이 있다.수국(水菊)이라고 해서 까딱하면 국화과 식물로 혼동을 주는데 전혀 다른 범의귀과 식물이다.일본에서 개발한 ..
-
회화나무 Chinese Scholar Tree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7. 8. 3. 22:05
회화나무는 우리 선조들이 최고의 길상목(吉祥木)으로 손꼽아 온 나무다. 이 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가문이 번창하고 큰 학자나 큰 인물이 난다고 하였다. 또 이 나무에는 잡귀신이 감히 범접을 못하고 좋은 기운이 모여든다고 하였다. 그런 까닭에 우리 선조들은 이 나무를 매우 귀하고 신성하게 여겨 함부로 아무 곳에나 심지 못하게 했다. 회화나무는 고결한 선비의 집이나 서원, 절간, 대궐같은 곳에만 심을 수 있었고 특별히 공이 많은 학자나 관리한테 임금이 상으로 내리기도 했다. 회화나무는 모든 나무 가운데서 으뜸으로 치는 신목(神木)이다. 회화나무를 중국에서는 학자수, 출세수, 행복수라고도 부르는데, 이 나무를 심으면 집안에 학자가 나고 큰 인물이 나오며 집안에 행복을 부른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실제로 이 나..
-
개망초 Annual fleaban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3. 22:04
망초도 아닌 것이 망초인 체 하는 개망초.망초(亡草)는 1910년 우리나라가 일본에 복속되던 8월 10일,소식을 듣고 절망감에 탄식하는 국민의 눈에 때마침 조선 천지에 가득 피어있는 저 풀을 보고 망초라 하였다는 말이 있다.망초(忘草)라기도 하는데 이런 민족의 수치를 어찌 앚을 수가 있겠는가 해서 망초라 하였다 한다.개망초가 지고 나면 이보다 자잘한 망초(亡草)가 온누리를 하얗게 물들이겠지.어쩌면 우리처럼 꾸미없고 소박할까.원산지가 북미라니 믿어지지가 않아.개망초보다 꽃이 작아 자잘하고 가지가 여럿이라 바글바글하다. 개망초 Annual fleabane 초롱꽃목 국화과의 이년초. 계란꽃, 치학초, 왜풀, 천장초(千張草), 지백채(地白菜), 풍년초, 넓은잎잔꽃풀. 학명 Erigeron annuus (L.) ..
-
북쪽비단노린재 Eurydema gebleri동물 Animal/노린재 거품벌레 방패벌레 Pentatomidae 2007. 8. 3. 22:04
북쪽비단노린재 Eurydema gebleri Kolenati, 1846. 노린재과 관매미충속. 몸길이 6-10mm. 몸은 암청색 또는 청남색 광택을 띤 검정색이며, 선홍색 또는 주홍색의 현저한 무늬를 가진다. 머리 양옆에도 주홍색 무늬가 있다. 북쪽비단노린재 http://ktk84378837.tistory.com/1373 http://ktk84378837.tistory.com/3028 http://ktk84378837.tistory.com/3972 홍비단노린재 https://ktk84378837.tistory.com/5808
-
긴호랑거미 Argiope bruennichi동물 Animal/거미류 arachnid 2007. 8. 3. 22:01
긴호랑거미 암컷 Argiope bruennichi (Scopoli, 1772) 왕거미과. 몸길이는 암컷이 20.0~25.0mm, 수컷이 8.0~12.0mm. 등딱지는 갈색이며 은백색 털이 전체에 덮여 있다. 다리는 황갈색으로 각 마디 끝에 흑갈색 고리무늬가 있다. 지그재그 모양으로 흰 띠 줄을 달고 그 가운데에 거꾸로 매달려 있다가 먹이를 사냥한다. 호랑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3975 꼬마호랑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472 http://ktk84378837.tistory.com/2816 긴호랑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3974 호랑거미 / 성정현 내 집은 공중 나그네 어둠에 주추를 놓고 아무도 깃들..
-
호랑거미 Argiope amoena동물 Animal/거미류 arachnid 2007. 8. 3. 22:00
호랑거미 암컷 Argiope amoena L. Koch, 1878 왕거미과. 몸길이는 암컷이 20.0~25.0mm, 수컷이 5.0~8.0mm. 등면은 노란색과 암갈색이 엇갈리는 띠무늬가 늘어서 있다. 수직으로 크고 둥근 그물을 치고, 불완전한 X자 모양의 흰 띠 줄 중앙에 거꾸로 매달려 있다. 호랑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3975 꼬마호랑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472 http://ktk84378837.tistory.com/2816 긴호랑거미 http://ktk84378837.tistory.com/3974 호랑거미처럼 - 김일태 흔들리는 것들을 제대로 보려면 저를 함께 흔들지 않고 어쩌랴 세상에 내다친 그물 흔드는 이유 어찌 먹이만을..
-
음나무 Kalopanax pictus초목류 wild flower/두릅나무과 Araliaceae 2007. 8. 3. 21:59
일명 엄나무. 개두릅. 엄나무를 오래 복용하면 신장기능과 간장기능이 튼튼해지고 당뇨병, 신경통, 관절염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그래서 여름철 보양식으로 엄나무 껍질을 넣고 푹 곤 엄나무백숙을 찾는다.엄나무백숙을 찾는만큼 엄나무는 수난을 당한다.야생으로는 감당을 하지 못해서 재배를 하니 그나마 다행이라 해야할 지 ...문화육교 아래 육교회관 엄나무오리백숙은 사시사철 주야불문 예약을 하지 않고서는 도대체 얻어먹을 수가 없다.주인인 70노인네는 퉁퉁거리며 친절하지도 않고 집안은 고기 찌든 냄새로 코끝이 상쾌하질 않음에도 다글다글하다.값도 25,000원이니 싸기도 하려니와 네 명이 먹을 수 있고말아 먹게 나오는 감자찰밥은 가히 환상이라 어르신들에게 인기 만점이다. 음나무 Carster Aralia. Kalo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