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좀조팝나무 Spiraea microgyn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7. 8. 3. 21:58
4월 중순이면 금산에서는 20만평이나 되는 산기슭에서 조팝나무축제가 벌어진다. 조팝나무는 조밥나무에서 온 이름이다. 조밥나무는 가난한 시절 곡식의 하나인 조를 튀겨 밥처럼 보인 것이니 대개 흰색 꽃이다. 참조팝, 갈기조팝 공조팝, 가는잎조팝이 다 그렇다. 분홍색의 참조팝도 있다. 꽃줄기가 꼬리처럼 긴 꼬리조팝도 붉은색이며 같은 시기에 핀다. 여기 일본이 원산지인 일본조팝은 6월부터 자주빛이 짙은 홍색으로 핏물처럼 선연하다. 좀조팝나무 Spiraea microgyna. 홍조팝나무.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1.5m.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형이며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나 중앙부에 연한 홍색이 돈다.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둥글며 수..
-
큰꿩의비름 Sedum spectabile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07. 8. 3. 21:57
큰꿩의비름 Live forever 학명 Sedum spectabile 화모(火母), 화소초(火炤草), 미인초(美人草), 장미목 돌나물과. 꽃은 연분홍색에서 홍자색, 커피색으로 변한다. 주로 혈증을 다스리며, 피부 종창에도 효험이 있다. 바위솔 http://ktk84378837.tistory.com/3469 둥근잎꿩의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938 큰꿩의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3978 자주꿩의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2579 새끼꿩의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450 말똥비름 http://ktk84378837.tistory.com/709 말똥비름 & 돌나물 http:..
-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초목류 wild flower/메꽃과 Convolvulaceae 2007. 8. 3. 21:55
국내에서는 1980년 任良宰, 全義植 씨가 장항과 군산에서 채집하여 최초 보고 하였다고 한다. 붉은색 꽃이 피며 잎이 둥근 둥근잎미국나팔꽃, 밤에 피는 밤나팔꽃(문바인), 꽃이 아주 작아 앙증맞기 이르데 없는 좀나팔꽃이 있다. 유행가 가사에 나오는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고마는" 나팔꽃은 좀나팔꽃 뿐이다. 좀나팔꽃을 보고 지은 노래는 아니듯 싶으니 가사가 잘못 되었다. 임주리의 "립스틱 짙게 바르고"를 들으며 나는 울고 싶은데 눈물이 메말랐는지 나오질 않는다. 미국나팔꽃 ivyleaf morning-glory. 가지목 메꽃과 고구마속의 덩굴성 일년초. 학명 Ipomoea hederacea Jacq. 길이 1.0-1.5m, 꽃은 6-10월에 걸쳐 이른 아침에 피고 곧 오므라든다. 열매는 편평한 구형이다..
-
대만 화리엔(花蓮) 가는 길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7. 8. 1. 00:14
대북의 거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987 아메이족 쇼 http://ktk84378837.tistory.com/3986 충렬사 는위병교대식 http://ktk84378837.tistory.com/3983 야류해양국립공원 http://ktk84378837.tistory.com/3985 태로각협곡 http://ktk84378837.tistory.com/3982 회리엔 가는 길 http://ktk84378837.tistory.com/3981
-
대만 화이렌(花蓮) 태로각협곡(太魯閣國家公園, 타이루거 국가공원)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7. 8. 1. 00:12
태로각의 협곡은 중부횡단도로(中橫公路)의 동쪽 끝까지 19㎞에 이르며 침식 작용에 의해 대리석과 화강암의 산이 강의 흐름을 따라 깎여져 이루어졌다. 협곡을 따라 난 도로는 국공내전 당시 중국 국보 보물을 옮기기 위해 1957년부터 6년간 감옥의 죄수와 화련의 원주민들을 동원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대만. 대북의 거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987 아메이족 쇼 http://ktk84378837.tistory.com/3986 충렬사 근위병 교대식 http://ktk84378837.tistory.com/3983 야류해양국립공원 http://ktk84378837.tistory.com/3985 태로각협곡 http://ktk84378837.tistory.com/3982 회리엔 가는 ..
-
대만 충렬사(忠烈祠)의 근위병 교대식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7. 8. 1. 00:10
대만 국민혁명과 대일 전쟁 중에 전사한 애국지사 및 장병들의 영령을 모시기 위하여 건립된 성역이다. 1969년 5만여 헥타아르의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베이징의 태화전의 형태를 빌어 만들어졌다.위병들의 교대식 장면은 영국 버킹엄 궁의 근위병 교대식과 함께 유명하다.무더운 여름날 내리쬐는 햇볕도 날아드는 곤충도 몰려드는 군중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땀을 흘리는 위병의 부동자세에서 대만의 앞날을 짐작하기란 어렵겠다.아빠의 무등을 타고 근위병 옆에 서보려는 아이의 눈망울 속에는나는 장차 커서 훌륭한 군인이 될거야 하는 듯하다. 중정 공원 안에 위치한다. 이 충렬사에는 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한국인 종군 기자인 고 최병우 씨의 위패가 모셔졌다. 고 최병우 기자는 1958년 9월 26일 진먼다오(金門島)를 취재하기 위해 ..
-
중정기념당의 천정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7. 8. 1. 00:09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은 대만의 국부 장개석(蔣介石)을 기리기 위해 총면적 약 25만km2의 대지에 중국의 전통 건축 양식으로 전액 시민들의 모금으로 지어진 규모가 엄청난 사당이다.나는 이 기념관을 관람하면서 부러움 반 부끄러움 반으로 머릿속이 복잡하였다.우리 나라에는 그런 인물이 없는가? 있어도 인정하려 들지 않는 것은 아닐까?자기 잘난 것 알아달라고는 하는데 남 잘난 것은 인정하려 들지 않는 교만함이 사라지지 않는 한 우리는 이런 건물 하나도 지을 수 없겠구나 하였다. 최근 ‘타이완 민주 기념관(台灣民主紀念館, 타이완 민주 지녠관)’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내부 전시실에는 장제스 총통이 생전에 사용했던 물품과 사진 등 그의 생애를 짐작할 수 있는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그중에는 우리나라 박정희 대통..
-
대만 예류지질공원(Yehliu Geopark)의 왕비바위문화 culture/해외 foreign travel 2007. 8. 1. 00:07
천백만 년 동안의 풍화작용으로 형성되었다는 야류(野柳)해양국립공원의 대표적 명물 왕비바위.고대 이집트의 아크나톤(BC 1353~36 재위)의 왕비 네페르티티를 파도가 만들어 놓은 기암괴석의 모습이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야류란 이름은 해안가의 파도가 심하여 배가 난파되고 도저히 접안이 어려워 포르투갈 사람들이 악마라는 의미로 '야류'라고 불렀다 한다. 이곳의 바위는 손으로 만지면 부서지는 연약한 것이어서 만지지 않아야 하는 관람객 수칙이 있다. 대북의 거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987 아메이족 쇼 http://ktk84378837.tistory.com/3986 충렬사 근위병교대식 http://ktk84378837.tistory.com/3983 야류해양국립공원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