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녹두 綠豆 mungbean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7. 8. 7. 21:23
녹두 綠豆 mungbean.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청소두(靑小豆), 녹두(菉頭), 안두(安豆), 길두(吉豆), 발록(拔綠), 학명 Phaseolus radiatus L. 인도 원산. 줄기의 길이 60∼80㎝. 표면에는 거친 털이 나 있다.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오고 이곳에 8∼15개의 노란 꽃송이가 달린다. 녹두의 꼬투리는 길이가 5∼6㎝로 가늘고 긴 편이며 견고하고 털이 거칠다. 꼬투리 안에는 10∼15개의 열매가 들어 있으며, 성숙할수록 녹색에서 흑색으로 변하며 튀기 쉽다. 종자를 식용하거나 연한 싹을 데쳐서 무쳐 먹는다. 민간에서는 피부병을 치료하거나 피부미백, 해열, 해독용 식품으로 이용한다. 녹두장군 전봉준을 동정하는녹두콩꽃. 녹두처럼 작은 전봉준을 이르는 말로 파랑새는 청일전쟁에서 패..
-
세잎쥐손이 Geranium Wilfordii Maxim초목류 wild flower/쥐손이풀과 Geraniaceae 2007. 8. 7. 21:00
세잎쥐손이 Geranium Wilfordii Maxim. 쥐손이풀은 잎의 모양이 쥐의 앞발처럼 다섯 갈래이다. 가지에 잎이 세 개씩 나면 세잎쥐손이풀이다. 높이 40∼80cm, 꽃 지름 1∼1.5cm. 잎은 마주나고 3개로 깊게 갈라지며 표면과 뒷면 잎맥에 누운털이 있다. 갈래조각은 마름모 비슷한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1∼1.5 cm로 연한 홍색이며 보다 짙은 색깔의 잎맥이 있다. 꽃줄기는 2개로 갈라지고 작은꽃자루 끝에 각각 1개씩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5개로 갈라진다. 쥐손이풀은 털이 45도 아래 방향으로 난다.(하향모) 이질풀은 털이 옆으로 90도 방향으로 난다.(측향모) 이질풀 https://ktk8..
-
금불초(金佛草) Asian meadow-alan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7. 20:43
금불초(金佛草) Asian meadow-alant. 황금빛 부처님으로 보인 꽃이다. 부와 길조의 상징인 황금빛에 자애하신 부처님을 연상하므로 붙은 이름이다. 국화과 금불초속의 다년초. 금비초(金沸草), 하국(夏菊)·. 학명 Inula britannica L. 높이 30-100cm. 노란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린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생약의 선복화(旋覆花)는 이 꽃을 말린 것으로 거담, 진해, 건위, 진토(鎭吐), 진정 등의 효능이 있다. 금불초 http://ktk84378837.tistory.com/638 http://ktk84378837.tistory.com/3943 버들금불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272 金錢花(금전화) ..
-
붉은호장근(虎杖根) Fallopi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7. 8. 7. 20:35
붉은호장근(虎杖根) Fallopia japonica. 여뀌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릴 때 줄기가 호피같이 생겨서 호장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범싱아,호장,감제풀,범승아,까치수염,구렁싱아,큰범싱아라고도 한다.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가 범의 무늬처럼 붉은 것은 붉은호장근이라 한다. 한의에서는 통경약, 이뇨약, 완하약으로써 월경과다, 방광염, 황달 등에 쓴다. 민간에서는 감초와 함께 달여 달고 신맛이 있는 청량음료로 또는 기침약으로 쓴다. 잎이 큰 왕호장근은 울릉도에 자란다. 왕호장근 http://ktk84378837.tistory.com/4640 무늬호장근 http://ktk84378837.tistory.com/226 붉은호장근 http://ktk84378837.tistory.com/3944
-
절굿대 Echinops setife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7. 20:28
절굿대 Echinops setifer 북루(北漏), 귀유마(鬼油麻) 아직은 꽃을 피우지 않아 도깨비방망이 같은 모습이지만 이래뵈도 국화과 식물이다. 개수리취·절구대, 둥둥방망이, 분취아재비라고도 하는데 잎이 가시 달린 톱니가 있어 엉겅퀴와 같다. 7∼8월에 남색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는데 공처럼 둥글고 절구공이를 연상시킨다. 일제강점기에 퍼졌던 잔존식물로 추정된다. 절국대가 있으니 요조심. 어린 잎은 식용하고 생약명 누로(漏蘆)이며 주로 호흡기·순환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린다. 절굿대 http://ktk84378837.tistory.com/1957 http://ktk84378837.tistory.com/3833 http://ktk84378837.tistory.com/3945
-
솔체꽃 Scabiosa tschiliensis초목류 wild flower/산토끼꽃과 Dipsacaceae 2007. 8. 7. 20:17
솔체꽃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화북람분화(華北藍盆花), 산토끼꽃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50~100cm.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꽃이 필 때에 없어지고 마주나는 갱생엽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7~8월에 피는 꽃은 하늘색이다. 체꽃에는 솔체꽃, 구름체꽃, 민둥체꽃, 서양체꽃이 있다. 체꽃은 잎이 깃털처럼 잘게 갈라진다. 구름체꽃은 뿌리에서 나온 잎이 꽃이 피어도 남아있고 꽃받침에 가시같은 침이 있다. 민둥체꽃은 잎에 털이 없다. 서양체꽃은 옴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대서 scabious 라는 이름이 붙는다. 솔체 http://ktk84378837.tistory.com/2583 http://ktk84378837.tistory.com/3946 구름..
-
박하[薄荷] mint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7. 8. 7. 19:06
이창동 감독의 영화 을 연상시키는 이름이다.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되 영호가 자살을 결심하고 달려오는 기차를 마주한 채 “나 다시 돌아갈래!” 절규하는 장면만이 떠오른다. 도대체 박하사탕과 무슨 연관이 있길래... 박하 薄荷 학명 Mentha arvensis var. 구박하(毆縛荷), 민트(mint), 번하채, 야식향(夜息香), 영생이, 인단초(仁丹草). 꿀풀과의 다년초. 키 60~100cm. 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표면에 기름샘에서 기름을 분비한다. 7~9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꽃들이 무리 지어 뭉쳐나와 줄기를 빙 둘러싸고 덩어리져 층을 이루면서 윤산 꽃차례로 달려 핀다. 빛깔은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이다. 9~10월에 타원형의 아주 작은 분과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