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흰꽃나도샤프란 flower-of-the-westernwind초목류 wild flower/붓꽃과 Iridaceae 2007. 8. 22. 22:40
흰꽃나도샤프란 flower-of-the-westernwind. 달래꽃무릇, 산자고, 사프란아재비, 실란, 제주어로 마농꽃. 북한명 구슬수선화, 어데는 수선화과로 나오기도 ...본초명 간풍초(肝風草), 남미 원산. ‘파’같은 인경에서 모여 나는 잎은 가늘고 두꺼우며 화경보다 길고 3~4월에 새 잎으로 바뀐다. 7~9월에 개화하고 잎 사이에서 나오는 화경 끝에 1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꽃은 백색이지만 연한 홍색이 돌기도 한다. 음지에서는 반쯤 벌어지고 양지에서는 활짝 피며 밤에는 오그라든다. 열매는 삭과로 3개이다. 나도샤프란과 비슷하지만 잎이 가늘고 두꺼우며 꽃이 희다. 거담, 구토, 백일해, 종기, 천식, 폐렴에 사용한다. 나도샤프란을 마농꽃(Manon)이라고도 부른다. '마농'이라는 이름이 대중적..
-
줄점팔랑나비 Parnara guttatus동물 Animal/나비와 나방 butterfly & moth 2007. 8. 22. 22:39
줄점팔랑나비 Parnara guttatus. 벼줄점팔랑나비(벼줄점팔랑나비). 북한명 한줄꽃희롱나비, 팔랑나비과. 날개를 다 편 길이는 30~40mm. 앞날개 중실 끝에 수컷에서는 같은 크기의 흰무늬가 2개 있으나 암컷에서는 1개만 있는 경우가 많다. 1년에 2~3회 발생하며 5~11월경에 출현한다. 성충은 가을에 알록달록한 꽃식물인 엉겅퀴, 국화, 메밀 등의 꿀을 먹고, 애벌레 상태의 유충들은 벼, 참억새, 강아지풀 등 벼과식물 잎을 먹는다. 줄점팔랑나비와 비슷하게 생긴 산팔랑나비, 직작줄점팔랑나비, 산줄점팔랑나비, 제주꼬마팔랑나비, 흰줄점팔랑나비를 볼 수 있다. 성충은 엉겅퀴, 국화, 메밀 등의 꿀을 먹고, 유충은 벼, 참억새, 강아지풀 등 벼과식물 잎을 먹는다. 나비세상 http://ktk843788..
-
무늬쑥부쟁이 Aster yomena variegat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22. 22:37
과문한 탓이겠지만 무늬쑥부쟁이란 말을 영랑생가 입구 화단 팻말에서 처음 보았다.까실쑥부쟁이 비슷한데 무늬쑥부쟁이라고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조금만 달라도 분류하고 싶어하는 모양이다.잎이 무늬겠지 했는데 뚜렷하지가 않더니 사진에서는 희끗희끗하다.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섬쑥부쟁이, 개쑥부쟁이 등이 있다.구절초, 벌개미취와 동속이라 구분이 쉽지 않다.어린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볶아먹는다. 성분이 특이한지 이빨사이에서 뽀드득뽀드득 맛있는 소리가 난다. 쑥부쟁이에는 다음과 같은 아주 슬픈 얘기가 얽혀 있다. 무늬쑥부쟁이 Aster yomena variegate .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쑥부쟁이속)의 일년초. 영랑생가 화단에 무늬쑥부쟁이라 붙은 팻말이 아무래도 수상쩍다. 무..
-
배롱나무 Crape Myrtle초목류 wild flower/부처꽃과 Lythraceae 2007. 8. 22. 22:36
강진도요지를 들렀는데 거기 기념관이 들어서고 거기 배롱나무가 한창 선연한 빛을 뿌리고 있다. 10년도 넘는 예전에 볼 수 없는 관광지로 꾸며져 있어 정취는 사라진지 오래다.배롱나무 한 그루가 그런 마음을 아는 듯 했다. 배롱나무가 귀하던 시절에는 저 명옥헌(鳴玉軒苑林)의 배롱나무가 그 풍광에서 으뜸인 모양이다. 예전에 가 보았더니 유명한 만큼 멋들어보이지 않았다.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에 있는 명옥헌은 조선조 오희도의 아들 오이정이 지은 정자로 경관이 뛰어나다. 명옥헌.배롱나무 Crape Myrtle, 당나라 장안의 자미성에서 많이 심었기 때문에 자미화(紫微花), 피고 지기를 계속하므로 백일홍나무, 해당수, 양양수, 백양수, 수피가 떨어져 얼룩무늬가 새겨 반질거리므로 파양수(怕癢樹), 줄기를 건들면 잎이 ..
-
계요등(鷄尿藤) Paederia scandens초목류 wild flower/꼭두서니과 Rubiaceae 2007. 8. 22. 22:34
계요등 鷄尿藤 Fevervine 꼭두서니과의 덩굴성 다년초. 우리나라에선 나무로, 일본에선 풀로 분류한다. 한자명 계시등(鷄屎藤). 일본명 시갈(屎葛). 학명 Paederia scandens. 잎을 따서 손으로 비벼 보면 약간 구린 냄새가 구린내나무. 속명 ‘Paederia’는 라틴어의 ‘paidor’에서 유래되었는데 역시 좋지 않은 냄새라는 뜻이다. 길이 5~7m.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 지름은 5∼6mm의 구형이다. 맹아력이 강하여 마디마다 새싹이 돋으며 바닷가의 해풍을 매우 좋아한다. 열매와 뿌리를 말려서 관절염이나 각종 염증 치료약으로 쓰기도 한다. 계요등 http://ktk84378837.tistory...
-
화산 폭발?기타 etcetera 2007. 8. 22. 22:31
신지도에서 본... 신지도(薪智島) 해녀의 숨비소리 / 이광사(李匡師, 1705~1777) 月弦濤聲縮 월현도성축 상현과 하현에 파도 소리 줄면 女伴屯似苞 여반둔사포 해녀들 짝 이뤄 풀처럼 진을 쳐 相顧催渾脫 상고최혼탈 돌아보며 옷 벗으라 재촉하고 腰際審綰包 요제심관포 허리춤 꽉 묶었는지 꼼꼼히 살피네 蹈海若平塗 도해약평도 바다에서도 평지를 걷듯 하고 長物人一匏 장물인일포 저마다 두레박 하나 끼고 있네 倒首歧足入 도수기족입 머리 숙여 발을 차고 입수하니 忽訝水居鮫 홀아수거교 물에 사는 인어인가 의아하네 移時閴無影 이시격무영 잠시 사이에 고요해져 그림자도 없으니 復㥘餌鼇蛟 부겁이오교 바다거북과 상어한테 잡혀 먹히지는 않았는지 俄看迭出頭 아간질출두 잠시 뒤에 보니 번갈아 머리 내밀고는 砉砉聲如嚆 획획성여효 휘..
-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7. 8. 22. 22:28
여우콩 Winding snoutbean. 야황두(野黃豆), 야록두(野錄豆), 모야편두, 녹곽(鹿藿), 개녹곽(鹿藿), 학명 Rhynchosia volubilis Lour. 녹두, 야녹두, 야모두, 야황두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덩굴에는 밑을 향한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3개로 되어 있다. 꼬투리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2개의 종자는성숙하면 붉은빛이 돌고 터진다. 까만 종자가 달려 있는 모습이 앙징맞다. 진통, 양혈, 소종에 효과가 있다. 붉은 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com/1906 http://ktk84378837.tistory.com/2069 논개 http://ktk84378837.tistory.com/3492 흰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