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백당나무 열매 Sargent Viburnum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07. 8. 25. 23:30
접시꽃을 닮아 접시꽃나무라 불리던 백당나무. 유난히 새하얀 꽃은 어디 가고 가을이 오기도 전에 새빨간 열매가 다닥다닥 반짝일까. 왜 남냨의 식물들은 잎이 두껍고 유난히 반짝일까. 해풍의 위력이 이런 생명력과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었을 것이니 고맙기도 하지. 가을처럼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하니 울고 싶을만큼 서럽다. 비슷한 꽃으로는 수국이 있는데 잎이 백당나무처럼 갈라지지 않고 통잎이다. 털이 나지 않은 것은 민백당나무, 꽃잎이 전체가 무성화인 것은 불두화다. 백당나무 열매 Sargent Viburnum. Smooth-cranberrybush viburnum, 접시꽃나무, 천목경화, 청백당나무, 학명 Viburnum sargentii. 산토끼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관목. 하얀 꽃 두름이 마치 작은..
-
꽃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07. 8. 25. 23:29
아벨리아, Glossy Abelia. 왜댕강이, 학명 Abelia mosanensis. Abelia×grandiflora 인동과 댕강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속명 Abelia는 식물학자 아벨(Clarke Abel)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종명인 grandiflora는 '큰 꽃'이라는 뜻이지만 꽃댕강나무의 꽃은 크지 않다. 높이 1 ~ 2m. 꽃은 6 ~ 11월에 피고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며 종모양이다. 꽃받침조각조각은 2 ~ 5장이고 붉은 갈색이고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4개의 날개가 달려 있고 대부분 성숙치 않는다. 댕강나무는 평안도의 석회암 지대 양지에서 자생하는 우리 나라 고유종이다. 가지를 꺾으면 '댕강' 소리가 난다고 댕강나무라 한다. 자작나무가 자작자작, 닥나무가 딱 ..
-
땅끝마을기타 etcetera 2007. 8. 25. 23:27
역시 간만에 보는 땅끝마을이다. 예전에는 마을이란 게 없었고 당연히 전망대도 없었다. 물이 빠져나가면 달랑 저 배 앞에 보이는 바위와 그 위의 소나무가 해풍에 견디기 힘들어하는 모습만 있었다. 디지탈사진이 활성화되면서 여기저기 사이트마다 그 바위 사이로 떠오르는 일출 모습이 장관으로 올라온다. 꼭 찍고싶은 장면이었는데 벌건 대낮에 구슬같은 땀방울만 뿌려대고 지나치자니 쫌 억울하다. 전망대 세워진 산은 걸어서 20분인 높이인데 관광산업이 뭐라고 거기다 모노레일까지 설치했다. 걷기 싫어하는 현대인이야 감샇겠지만 경관을 버려 안타깝다. 편리라는 명분에 3천 원이 뭐 아까우랴 하겠지만 다들 돈의 노예가 되고 만다. 청계천을 막을 때는 도시발전시킨다고 막아놓고 기껏 몇 십 년 지나 복원시키느라 시민의 세금을 낭비..
-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초목류 wild flower/뽕나무과 Moraceae 2007. 8. 25. 23:20
땅끝전망대에 꾸지뽕나무가 보인다. 꽃도 지났고 열매도 보이지 않는다. 무서운 가시만이 암세포를 죽이려는 듯 힐끔거린다. 꾸지뽕나무 chinese osage orange. 구지뽕나무, 『물명고(物名攷)』에 “궁간(弓幹)으로 꾸지뽕나무를 쓰고 이것으로 만든 활을 오호(烏號)라고 했다.”으므로 활뽕나무, 자목(柘木), 자자(柘刺), 상자(桑柘), 학명 Cudrania tricuspidata . 쐐기풀목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또는 관목. 줄기에는 가지가 변한 억세고 긴 가시가 있다. 잎은 두 가지 형태가 달린다. 어린 나무와 새로 난 가지에는 세 갈래로 갈라진 잎이 나고 묵은 가지에는 가장자리가 밋밋한 달걀모양의 잎이 달린다. 꽃은 5∼6월에 암수딴그루에 피며 둥그런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데 ..
-
사데풀 Seashore sow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25. 23:18
우황리 들판엔 때가 약간 지난 노란 사데풀이 가득하다.사데풀은 거매채, 고매채, 야고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야지, 대개 남부의 해안지대에 살고 있다.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해열과 지혈에 효과가 좋다.조뱅이나 방가지똥과 흡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다. 사데풀 Seashore sowthistle, field-sowthisle, 사쿠리나물, 방가지똥속의 다년초, 학명 Sonchus brachyotus DC. 높이 30-100cm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어린순 나물, 사료 이용, 全草(전초)인 거매채는 細菌性下痢症(세균성하리증), 喉頭炎, 虛弱咳嗽(허약해수), 內痔脫出(내치탈출), 白帶(백대)를 치료. 거매채화는 급성황달형 전염성간염을 치료한다. 꽃이 비..
-
자라풀 Hydrocharis dubia초목류 wild flower/자라풀과 Hydrocharitaceae 2007. 8. 24. 15:12
자라풀 Frogbit. 수별(水鱉), 지매(地梅), 학명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소생식물목 자라풀과 자라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못이나 도랑 등 얕은 물에서 자란다. 잎은 원형이고 심장저이며 중앙부에 기포가 있어서 물에 뜨기 쉽다. 잎의 뒷면의 줄기가 부풀어올라 있어 이 마치 자라등 같다고 자라풀이라고 부른다. 꽃은 일가화로서 8~9월에 물 위에서 피며 수꽃은 1개의 포 안에 2-3개씩 들어 있고 3개씩의 꽃받침조각과 꽃잎 및 6-9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한 포 안에서 2개씩 생기지만 1개만이 발달하며 백색 꽃잎은 밑부분에 누른빛이 돈다. 헛수술은 6개이고 씨방은 하위로서 6실이며 6개의 암술대는 각 2개씩 갈라진다. 열매는 달걀모양이다. 全草(전초)를 馬尿花(마뇨화..
-
통발 Utricularia vulgaris초목류 wild flower/통발과 Lantibulariaceae 2007. 8. 22. 23:12
통발 Utricularia vulgaris Linnaeus. 통발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뿌리는 없다. 수중엽은 3-5㎝, 가늘게 차상으로 갈라지고 직경 1- 1.5㎜의 포충낭을 가지고 있다. 열편은 평면상으로 배열하고 수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수중경은 길게 신장함. 화축은 물 밖으로 나오고 높이 7-10 ㎝, 꽃은 4-7개가 달림. 꽃은 황색, 순형, 직경 1.5㎝, 꽃받침은 304㎜길이, 거(距)는 위쪽으로 굽으며 하순은 넓게 퍼짐. 비늘 모양의 탁엽은 2-3㎜, 막질 화경은 길이 1.0-1.5㎝, 꽃이 진 후 밑으로 늘어진다. 7-8월 개화. 통발은 토종 수초로 알려져 있는데 고기잡는 어구인 통발을 닮았는 모양이다. 통발은 가는 댓살이나 싸리 등으로 엮어서 통같이 만든 고기잡는 도구다. 아가리..
-
남방노랑나비 Eurema hecabe동물 Animal/나비와 나방 butterfly & moth 2007. 8. 22. 22:43
영랑의 생가를 들어서는데 노랑나비 한 쌍이 이리저리 나풀거린다.한 녀석은 조그맣고 한 녀석은 좀 커 보인다.작은 녀석은 수컷일 테고 큰 녀석은 암컷인 모양인데 짝을 지으려고 그러는지 어우르기를 시도한다.암컷치고 사람이든 짐승이든 어디 호락호락 한가.큰 녀석이 자꾸만 도망을 한다.겨우 습진 땅바닥에 앉았다 다가가면 날고 다가가면 날고를 거듭한다.작은 녀석은 결국 놓치고 말았다. 남방노랑나비 Eurema hecabe (Linnaeus, 1758). common grass yellow, 애기노랑나비, 남노란나비, 흰나비과. 1~11월까지 연4회 발생한다. 날개 바탕색은 진노랑색이며, 앞날개의 끝부분에는 검은 색의 테두리가 넓게 발달되어 있다. 산기슭과 전답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암수모두 개망초, 꿀풀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