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대파 welsh-onion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1. 09:52
김희정의 작물백과를 인용하여 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파의 점질물은 셀룰로즈와 헤미셀룰로즈, 프로토펙텐, 수용성 펙틴 등 다당류의 복합물이 수분 때문에 용액화한 것으로 과당, 포도당. 서당류가 흡수되어진 것이다. 파의 자극성물질은 파속류의 공통적인 냄새로서, 황화아미노산인 아린(Alliin)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파 특유의 냄새로 알려진 아리신(Allicin)이라는 성분이 비타민 B1을 활성화하여 특정병원균에 대해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고 있다. 건위, 살균, 이뇨, 발한(發汗), 정장(整腸), 구충(驅蟲), 거담(去痰) 등의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되고 있다. " 대파 welsh-onion. 굵은파, 동총(冬葱), 총(葱), 총백(葱白), 총연(葱涎), 화사초(花事草), 학명 Allium f..
-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3. 31. 17:31
황새냉이 Wavy bittercress. flexuous-bittercress, 만곡쇄미제(彎曲碎米薺), 쇄미제(碎米薺), 학명 Cardamine flexuosa 싸라기제, 풍접초목 겨자과 황새냉이속의 두해살이풀, 논밭 근처와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 줄기는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는데 어두운 보라색을 띠며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3-7갈래 깃꼴로 갈라지고 맨 끝의 갈래잎이 다소 크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익으면 2개의 조각으로 터진다. 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는다. 명목, 양혈, 조경, 청열에 사용한다. 냉이 http://ktk84378837.tistory.com/358 http://ktk84378837.tistory.com/90..
-
미선(尾扇)나무 White Forsythia초목류 wild flower/물푸레나무과(목서과) Oleaceae 2008. 3. 31. 12:14
. 미선(尾扇)나무 White Forsythia. 물푸레나무과. 미선(美扇), 학명 Abeliophyllum distichum .궁중 연회에서 시녀 둘이 왕의 좌우에서 해 가리개로 들고 있는 커다란 부채가 미선이다. 열매 모양이 이 둥근부채를 닮아 붙은 이름이다. 분홍색 꽃을 피우는 미선나무는 아련한 느낌이다. 충청북도 괴산군의 군자산록 전석지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하나로 1종 1변종 3품종으로 구성된다. 미선나무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147·220·221·364·37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미선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407 미선나무라고 아시는지 / 김종제 예전에는 조선육도목(朝鮮六道木)이라고 흔하게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
-
히어리 Corylopsis coreana초목류 wild flower/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2008. 3. 31. 11:27
호남대 임동욱교수의 기고문을 인용하여 이해를 돕자. "송광은 송광사 부근에서 채집되어서, 납판화는 꽃이 벌집의 밀랍모양에서 따온 것이다. 그 후 ‘송광꽃나무’로 부르기도 하고, 북한에서는 분포하지는 않지만 학계에서 ‘납판나무’로 부르고 있다. 최근 이창복 박사가 전라도 방언에서 따온 ‘히어리’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히어리는 순천지역에서 시오리로 부르고 있다. 그 어원은 큰 산자락의 주능선이나 남사면에 분포하지 않고, 골짜기를 따라 북사면에만 분포하므로 마치 시오리 간격마다 출현하는 종으로 알려져서 향명으로 ‘시오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오리는 십리(4km)에 오리(2km)를 더한 약 6km 거리를 의미하는데, 계족산 아래 청소골지역 히어리는 골짜기를 따라 시오리 정도 떨어져 분포한다. " 히어..
-
홍매화(紅梅花) Prunus mum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3. 31. 11:04
梅花 Prunus mume, 일지춘(一枝春), 군자향(君子香), 중국 원산. 장미과 벚나무속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5m.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피는데 꽃자루는 없고 향기가 강하다. 꽃잎은 5개가 기본형이고 7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매실이라 한다. 성숙하기 전의 매실을 청매, 성숙하고 난 뒤의 매실을 황매라고 한다. 살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오래 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온 식재다.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
-
청매화(靑梅) Prunus mum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3. 31. 10:30
梅花 Prunus mume, 일지춘(一枝春), 군자향(君子香), 중국 원산. 장미과 벚나무속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5m.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피는데 꽃자루는 없고 향기가 강하다. 꽃잎은 5개가 기본형이고 7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매실이라 한다. 성숙하기 전의 매실을 청매, 성숙하고 난 뒤의 매실을 황매라고 한다. 살구와 비슷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다.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오래 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온 식재다.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
-
자목련 紫木蓮 Magnolia liliflora초목류 wild flower/목련과 Magnoliaceae 2008. 3. 28. 14:46
자목련 紫木蓮 Magnolia liliflora. 자주색(紫朱色) 거 묘한 색이다. 짙은 남빛을 띤 붉은색이라는 정의가 내려져 있다. 검은 계통인 검자주색과 밝은 계통인 꽃자주색으로 다시 분류된다. 하근찬의 에는 "벌건 불길이 구름을 태우고 온 벌판으로 쏟아져 내렸다. 강물도 꽃자주색으로 출렁거리고, 불어오는 바람에도 붉은 빛깔이 물들어 있었다."는 대목에서 잘 쓰였다. 권순홍은 에 나타난 어휘들을 연구하면서 자주색은 권력(權力), 권위(權威), 부(富)를 상징한다고하였다. 그래서 이 빛깔로 옷을 해 입으면 황제의 색이다. 자목련의 거만한 자태가 품위 높은 귀족의 자태를 뽐내는 백목련을 거느리고 있다. 일목련 http://ktk84378837.tistory.com/197 http://ktk84378837..
-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초목류 wild flower/녹나무과 Lauraceae 2008. 3. 28. 14:41
생강나무는 자기 몸에 상처가 나면 방어기제로 뿜어내는 생강 냄새를 뿜어낸다. 김유정의 에는 강원도 사투리로 동백꽃이라 한다. 마지막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뭣에 떠다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 채 그대로 퍽 쓰러진다. 그 바람에 나의 몸뚱이도 겹쳐서 쓰러지며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 버렸다.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였다." 生薑나무 Japanese Spice Bush. 학명 Lindera obtusiloba Blume. 산호초(山胡椒), 삼찬풍(三鑽風). 납매(蠟梅), 동박나무. 개동백나무. 녹나무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의 소교목. 잎은 어긋나며,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3-5갈래로 크게 갈라진다. 꽃은 3-4월에 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