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8. 4. 8. 11:44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장미목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금요자. 힌괭이눈, 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높이 3~9cm.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밑부분에는 갈색털,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꽃은 4~6월에 피고 줄기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모여나기하며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황록색이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고양이가 햇볕을 받으며 눈을 지그시 감고 있는 모습과 같다 하여 괭이눈이라 부른다. 꽃이 작아 벌과 나비가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꽃받침과 그 주변의 잎까지 노란색으로 물들인다. 열매는..
-
돌단풍 아래 숨은 서양민들레 dandelion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4. 8. 11:38
서양민들레 dandelion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초. 유럽 원산. 학명 Taraxacum officinale 약포공영, 약민들레, 들민들레, 포공영(蒲公英). 꽃 지름 2∼5cm. 바깥쪽 포 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안쪽 포 조각은 곧게 선다. 민들레는 포 조각은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로 먹고, 뉴질랜드에서는 뿌리를 커피 대용으로 사용한다. 포공영은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淋巴腺炎(임파선염), (나력), (정독창종), 급성결막염, 感氣發熱(감기발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胃炎(위염),. 肝炎(간염), 膽囊炎(담낭염), 尿路感染(요로감염)을 치료한다. 앉은뱅이꽃은 민들레, 제비꽃, 채송화의 방언이라고 한다. 도종환의 앉은뱅이는 민들레라네. 민들레 홀씨 http://ktk84..
-
돌단풍(丹楓) Aceriphyllum rossii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8. 4. 8. 11:34
돌틈에서 자라고 톨틈을 비집고 올라가며 뿌리를 내린다. 돌단풍(丹楓) mapleleaf-grass, Maple-leaf mukdenia, 돌나리, 장장포, 부처손, 축엽초(단풍나무 축, 槭葉草), 학명 Aceriphyllum rossii. 산골짜기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근경은 굵고 비늘 같은 포로 덮여 있으며 화경은 높이 20~30cm 정도이다. 근경에서 모여 나는 것처럼 나오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단풍잎 같은 잎몸은 5~7개로 갈라진다. 5~6월에 개화하며 원추꽃차례로서 꽃은 백색이고 약간 붉은빛을 띠는 것도 있다. 삭과는 난형의 예첨두로서 2개로 갈라진다. ‘돌부채손’과 달리 잎이 손바닥모양으로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진다. 어릴 때에는 식용한다. ‘척엽초’라 하여 약으로 쓰이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
살구나무 apricot tre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4. 8. 11:30
살구나무 apricot tree. 행핵자(杏核子), 초금단(草金丹), 학명 Prunus armeniaca , 중국 원산.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키 5~7m.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며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꽃은 4월 중순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홍색이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며 융털이 있고 7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를 행인(杏仁)이라 하며 주로 이비인후과·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체증을 풀어 준다. 육질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A가 풍부하고, 신진대사를 도와주는 구연산과 사과산이 2~3퍼센트쯤 들어 있어 체력회복에 도움이 된다. 살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056 http://ktk8437..
-
선버들 Fragile willow초목류 wild flower/버드나무과 Salicaceae 2008. 4. 6. 22:21
선버들 Fragile willow.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의 낙엽활엽소교목. 학명 Salix subfragilis Andersson. 높이 5-7(10)m, 잎은 좁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는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있다. 꽃은 꼬리모양꽃차례로서 4-5월에 암수딴그루로 핀다. 웅화수(雄花穗)는 일년생가지끝에서 잎과 더불어 피며 털이 있고 꿀샘은 2개, 수술은 3(2-5)개이다. 자화수(雌花穗)는 가는 원통형이고 꽃이 성글게 달리며 털이 있고 꿀샘은 1-2개이다. 삭과는 5-6월에 익는다. 하천이나 산골짜기의 습지에 자란다. 왕버들 http://ktk84378837.tistory.com/200 http://ktk84378837.tistory.com/3461 ..
-
호랑버들 Goat willow초목류 wild flower/버드나무과 Salicaceae 2008. 4. 6. 22:20
호랑버들 Goat willow. 호랑류(虎狼柳), 호씨류, 학명 Salix caprea L.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 높이 5-6m이다. 수피는 짙은 회색이고, 가지는 퍼지고 모가 나며,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잎은 넓은 타원형, 길이 3-9cm, 폭 2-4cm, 가장자리에 성긴 톱니가 있다. 뒷면에는 흰 털이 많다. 꽃은 4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타원형으로 수술은 2개, 노란색이며, 밑부분까지 서로 떨어져 있고, 털이 없다. 암꽃이삭은 긴 타원형이다. 열매는 삭과, 긴 타원형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호랑버들 http://ktk84378837.tistory.com/4492 http://ktk84378837.tistory.com/3388 http://ktk84378837.t..
-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4. 6. 22:05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숲속에서 자란다. 이보다 먼저 피는 변산바람꽃은 올해도 결국 보지 못하고 처음 대한 꿩의바람꽃이다. 바람꽃, 이름 한 번 헛헛한 풍류가 있다.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 묻혀 한가로이 살아가는사람에 비유해도 딱이요 그가 부른 노래라 해도 딱인강호가(江湖歌)다. 총선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토요일 한 표를 구걸하는 정치인과 그를 연호하는 자들의 시끄러운 소리에 비하면 너무 자유롭고 너무 가진 것이 없어서 자유로운 모습이다. 꿩의바람꽃 Radde Anemone. 다피은련화(多被銀蓮花), 은련화(銀蓮花), 양두첨(兩頭尖). 학명 Anemone raddeana Regel.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다년초. 높이 15-20cm. 꽃은 4-5월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
-
얼레지 Dog-tooth Violet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6. 21:57
얼레지 군락이다. 길가 야산 비탈인데 잡목 사이 사이를 발 디딜 곳도 없이 온통 덮어버렸다. 얼레지는 아마 이파리가 얼룩거리므로 비롯된 이름이 아닐까 한다. 엘러지는 피부병 이름이다. 얼레지는 가재무릇이라는 토속적인 이름이 있다. 한자명이 車前葉山慈姑인 것은 얼레지 잎이 차전자잎 즉 질경이 잎을 닮았다는 뜻이 있다. 산자고는 산에 나는 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을 가졌으니이 복합어가 가진 뜻이 헛되지는 않을 것이다. 산자고를 보고 어떻게 인자한 시어머니 생각을 했을까. 산자고에서 다루겠지만 이름이 유래된 전설이 있을 법하다.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을 나물로 하고 비늘줄기를 약용한다. 봄꽃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한국적인 꽃일 것이다. 꽃말은 질투라는 것도 꽃을 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 얼레지 Dog-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