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무스카리(Muscari)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16. 16:10
백합과의 구근식물(球根植物)인 무스카리는 지중해 연안이 고향이란다. 히아신스의 근연종이라 학명이 grape hyacinth인 모양이다. 무스카리속에는 그 밖에 흰꽃무스카리(Muscari botryoides), 플루모숨 무스카리(M. comosum) 등이 있다. 무스카리 https://ktk84378837.tistory.com/3343 홀로 걷는 길 / 강은령 눈물 자욱 마르지 않아 서러운 날에서도 희망을 가지는건 행복이지 창 하나 없는 밀실에서 술래가 둘인 숨바꼭질 하다 날이 저문거야 삶은 이스터 섬의 석상 처럼 저만치 서있고 우리가 서로 안고 있을 때 시월의 쓸쓸한 거리가 낙엽을 뿌렸지 그대여 그래도 오월은 찾아와 무스카리 꽃보라 넘치는 하늘 아래 터질듯한 울음을 가둬놓고 있지 않은가요 어제는 야생화 ..
-
금창초(金瘡草) decumbent-bugle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4. 14. 15:42
금창초(金瘡草) decumbent-bugle.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라 난 자리에서 또 나는 끈질긴 녀석이다. 근골초(筋骨草), 산혈초(散血草), 백혈초(白血草), 학명 Ajuga decumbens Thunb. 금창초의 창은 부스럼을 뜻하는 말이니 그 약효를 보자. 한방에서는 해수·천식, 기관지염, 인후염, 장출혈, 코피·객혈, 유선염, 중이염, 종기, 타박상 등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생초를 짓찧어 종기·타박상 등의 환부에 붙인다. 금창초 http://ktk84378837.tistory.com/3344 http://ktk84378837.tistory.com/4546
-
수선화(水仙花) Narcissus tazetta초목류 wild flower/수선화과 Amarylidaceae 2008. 4. 14. 15:30
수선화(水仙花) Narcissus tazetta. 배현(配玄), 수선창(水仙菖), 겹첩수선, 제주수선, 설중화(雪中花), 금잔은대(金盞銀臺), Narcissus Minnow. narcissus geranium. 학명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아스파라거스목 수선화과 수선화속의 여러해살이풀. 지중해 연안 원산인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에선 하늘에 있는 것을 천선(天仙), 땅에 있는 것을 지선(地仙), 물에 있는 것을 수선이라고 하였다. 수선화의 꽃은 흰 꽃덮이가 노란 덧꽃부리를 받치고 있는 모습이 마치 은 쟁반 위에 놓인 황금 잔 같다 하여 금잔은대라는 별명이 붙었다. 수선화의 속명인 나르키수스(Narcissus)는 그리스어의 옛 말인 'narkau'..
-
산일엽초(山一葉草) Ussuri weeping fern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과 Pteridaceae 2008. 4. 14. 15:27
산일엽초(山一葉草) Ussuri weeping fern 고사리목 잔고사리과의 상록성 다년초. 검단(劍丹), 칠성초(七星草), 골비초(骨脾草). 일엽초보다 훨씬 크다. 엽병은 길이 2~5cm 정도이며 주맥 밑부분과 더불어 흑갈색이고 엽신은 길이 10~30cm, 그늘진 곳의 바위 겉이나 노목 밑동에 붙어서 자란다. 전초를 사계미(射鷄尾), 생약명을 와위(瓦葦라 하여 거풍(祛風), 이뇨, 방광경, 지해(止咳), 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다. 산일엽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651 http://ktk84378837.tistory.com/3350 일엽초와 산일엽초 구분 일엽초, 산일엽초 동정 : 네이버 카페 (naver.com) 우단일엽초 http://ktk84378837.tist..
-
애기괭이눈 Chrysosplenium flagelliferum초목류 wild flower/범의귀과 Saxifragaceae 2008. 4. 14. 15:24
애기괭이눈 Stolon golden saxifrage. 덩굴괭이눈, 만금요, 범의귀과 괭이눈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속명 Chrysosplenium의 어원은그리스어 Chrysos(황금)와 spleen(비장)의 합성어로, 황금색 꽃이 피고 이 속에 속한 식물 중에 약으로 쓰이는 것이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산지의 습한 바위틈에서 자란다. 대부분의 괭이눈은 잎이 마주나지만 애기괭이눈의 잎은 어긋난다. 꽃이 마치 봄날 고양이의 눈과 비슷하고 괭이눈보다 약간 작고 가늘고 길어 애기라는 명칭이 붙었다. 키는 15㎝. 잎은 둥근 하트 장형이며 꽃은 4~5월에 피는데, 연한 황록색이며 가운데 노란색 꽃이 있다. 열매는 6월경에 속이 여러 칸..
-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08. 4. 14. 15:22
큰개별꽃 Giant false-starwort, 석죽과 개별꽃속의 다년생초. 학명 Pseudostellaria palibiniana. 줄기는 높이 10-20cm이며 겉에 털이 2줄로 난다.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에 항상 1개씩 달리고, 흰색이다. 꽃자루에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5-8장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3개다. 열매는 삭과이다. 큰개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778 http://ktk84378837.tistory.com/848 http://ktk84378837.tistory.com/3352 덩굴개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4730 개별꽃 http://ktk8437883..
-
금(金)붓꽃 Iris minutiaurea초목류 wild flower/붓꽃과 Iridaceae 2008. 4. 14. 15:19
금붓꽃 Grassy-leaf yellow iris. Iris savatieri, 붓꽃과 붓꽃속의 다년초. 누른붓꽃, 애기노랑붓꽃, 학명 Iris minutiaurea Makino. 우리나라 특산종. 잎은 위로 곧추서며 길이는 15~20㎝,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지름이 2㎝이며 줄기 끝에 1송이만 달린다. 산기슭 그늘 있는 양지에서 자란다고 되어 있지만 여태까지 양지에서는 본 적이 없다. 음지에 난 자리에서 또 나는 금붓꽃이 여기 저기 흩어져 군락을 이루고 있다. 금붓꽃은 자주 눈에 띄는데 서식 환경이 다른지 발품이 적어선지 보고싶은 노랑붓꽃은 보이질 않는다. 식별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은 금붓꽃은 한 줄기에 한 송이가 피고 노랑붓꽃은 두 송이가 매달린다. 아직은 칙칙한 바닥에 샛노란 금붓꽃이 ..
-
개나리는 바람에 나부끼고...Forsythia koreana초목류 wild flower/물푸레나무과(목서과) Oleaceae 2008. 4. 14. 15:17
개나리 golden-bell tree. 연교(連翹), 황춘단, 황화수, 황금조, 신이화, 어리자, 어아리, 어사리, 학명 Forsythia koreana. 높이 3m. 잎은 마주나고 댓잎피침형이며 꽃은 4월에 총상 꽃차례로 잎보다 먼저 노랗게 핀다. 암술대가 수술보다 위로 솟는 것이 암꽃이고, 암술대가 짧아 수술 밑에 숨는 것이 수꽃이다. 9월에 검은 삭과가 달린다. 열매 말린 것을 연교라 하여 주로 피부과 질환에 효험이 있으며, 해독제, 강심제로 쓰인다. 개나리를 비롯하여 산개나리, 만리화, 장수만리화, 의성개나리 등이 있다. 동화작가 윤석중의 〈봄나들이〉에 병아리가 물고 다니는 개나리가 있다. 개나리 묘목 http://ktk84378837.tistory.com/6454 개나리 http://ktk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