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문모초 蚊母草 Purslane speedwell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5. 11. 23:02
문모초 蚊母草 Purslane speedwell. purslane-speedwell. 벌레풀, 털문모초, 북한명 벌레집꼬리풀. 학명 Veronica peregrina L. 학명 선도초(仙桃草), 활혈접골단(活血接骨丹), 현삼과 개불알풀속의 한두해살이풀. 논밭 근처와 냇가 등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20cm, 약간 육질이다. 줄기 아래쪽 잎은 마주나고 위쪽 잎은 어긋난다. 잎자루는 없다. 잎은 도피침형이고 윗부분에 다소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연분홍색 또는 흰색이다. 열매는 삭과, 편평한 원형이다. 밑에 가지가 갈라져서 뭉쳐나며 털이 없다. 전초(全草)를 接骨仙桃(접골선도)라 하며 타박상, 咳嗽痰中帶血..
-
벼룩나물 Stellaria alsine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08. 5. 11. 22:51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벼룩만큼 작은 잎을 가진 나물에서 유래하는 구황식물이다. sandwort, 벌금자리라, 개미바늘, 애기별꽃, 들별꽃, 벼룩별꽃, 뻘금다지, 불구닥지 같은 방언이 있다. 학명 Stellaria uliginosa Murray, Stellaria alsine , 논둑이나 밭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5∼25cm,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우리말 고어는 국수청이. 중국명으로 雀舌草(que she cao)이며 일본명 노미노후수마(蚤衾, 조금)에 벼룩이 들어가 있다. 생약명은 천봉초(天蓬草)이며 傷風感冒(상풍감모), 이질, 痔漏(치루), 타박상을 치료한다. 벼룩이자리는 꽃잎이 다섯장이다. 개미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771 http://ktk84378837..
-
말냉이 씨앗 Thlaspi arvense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5. 11. 22:41
말냉이 pennycress, common-pennycress. Field pennycress, 마신(馬辛), 영목(榮目), 풍자초(風子草), 학명 Thlaspi arvense L. 유럽 원산. 석명(菥蓂), 석명자(菥蓂子), 알람채(遏藍菜), 양귀비목 십자화과 말냉이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20~60cm. 모여 나는 근생엽은 주걱형이며 톱니가 없거나 약간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도피침상의 긴 타원형으로 톱니가 있다. 4~5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백색이다. 열매는 넓은 날개가 있고 끝이 오므라지며 소화경이 열매보다 길다. 전초(全草)는 석명은 腎炎(신염), 자궁내막염을 치료한다. 종자는 석명자라 하며 目赤腫痛(목적종통), 流淚(유루), 心腹腰痛(심복요통)을 치료한다. 개갓냉이 http://..
-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1. 22:32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관목. 중국 원산. 높이 1~2m. 4월에 지름 7~10mm의 흰 꽃이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그 모습이 마치 작은 공을 쪼개어 놓은 것같아 공조팝나무라 한다. 줄기가 뿌리에서 무더기로 나와 덤불처럼 보이나 가지 끝부분이 활처럼 구부러진다. 어린가지는 털이 없고 적갈색이며 수피는 가로로 벗겨져 떨어진다. 수술은 25개이고 꽃밥은 희다. 열매는 골돌과로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는다. 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359 http://ktk84378837.tistory.com/2363 http://ktk84378837.tistory.com/1576 공조팝나무 https://ktk843788..
-
불두화(佛頭花) Viburnum sargentii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08. 5. 11. 22:27
불두화(佛頭花) Snowball tree, 수국백당, 학명 Viburnum sargentii Koehne . 산토끼꽃목 인동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는 3~6m. 둥근형태의 꽃 모양이 부처님 머리모양을 닮았다 하여 불두화라 하였다. 불두화는 백당나무의 유성화를 없애버리고 무성화의 꽃잎만 자라게 한 원예품종이다. 어린 가지는 털이 없고 붉은 빛을 띠는 녹색이나 자라면서 회흑색으로 변한다. 공 모양의 커다랗게 핀 꽃이 인상적이다. 수국이나 죽단화처럼 암술과 수술이 대부분 꽃잎으로 바뀌어 열매를 맺지 못한다. 범의귀과에 드는수국과 꽃이 비슷하나 수국의 잎은 갈라짐 없이 통잎이다.불두화 http://ktk84378837.tistory.com/3224 설구화 http://ktk84378837.tistory.com/..
-
쇠별꽃 Stellaria aquatic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08. 5. 11. 22:17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 water-stichwort, 콩버무리, 자초(滋草), 번루(繁縷), 계아장(鷄兒腸), 학명 Stellaria aquatic. 석죽과의 한두해살이풀. 5~6월에 백색의 오판화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취산 꽃차례를 이루는데 꽃이 피는데 암술대가 5갈래로 갈라진다. 8~9월에 달걀 모양의 삭과가 달려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생약명은 우번루(牛繁縷) 인데 비장, 신장, 대장경에 효험이 있다. 쇠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849 http://ktk84378837.tistory.com/3225 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426 http://ktk84378837.tistory..
-
개쇠스랑개비 spreading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1. 22:13
개소시랑개비 carpet-cinquefoil, spreading cinquefoil, 큰양지꽃, 수소시랑개비, 개쇠스랑개비. 조천위릉채(朝天委陵菜). 학명 Potentilla supina L. 본초명 복위릉채(伏委陵菜), 치자연(雉子筵). 장미과 양지꽃속의 한두해살이풀. 원줄기는 30~60cm. 모여 나는 근생엽과 어긋나는 경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2~4쌍의 소엽이 있다. 5~7월에 개화하며 꽃은 황색이다. 7-10월에 익는 열매는 수과, 끝에 가로로 난 날개가 있다. 어린순을 식용하고 건위, 보음도, 산증, 익중기, 폐결핵에 효능이 있다 가락지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758 http://ktk84378837.tistory.com/1438 http://ktk8437883..
-
큰물칭개나물 Undulate speedwell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5. 11. 22:05
큰물칭개나물 water-speedwell. 물까지꽃, 큰물꼬리풀, 물냉이아재비, 현삼과의 이년초. 높이 40~120cm, 마주나는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연한 하늘색 바탕에 자주색의 줄이 있다. 삭과는 지름 3mm 정도로 둥글다. ‘물칭개나물’과 달리 소화경은 길이 3mm 정도로서 다소 위로 향한다. 식용하거나 퇴비나 사료로 이용한다. 밀원용으로 심기도 한다. 방광염, 요통, 절상, 중풍에 쓴다. 지칭개는 매마른 땅에서 나고 물칭개는 물가에서 난다. 지칭개는 국화과지만 물칭개는 현삼과 식물이다. 물칭개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455 http://ktk84378837.tistory.com/3227 흰물칭개 http://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