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물양지(陽地)꽃 Marsh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8. 19. 22:22
물양지(陽地)꽃 Marsh cinquefoil, nippon-cinquefoil. 학명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지봉자(地蜂子), 치자연(雉子筵), 장미과 양지꽃속의 다년초. 높이 30~100cm. 깊은 산 기슭의 냇가에서 자라며 7-8월에 황색으로 핀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구내염, 구충, 복통, 설사, 이질, 지혈, 창독, 항균, 해독에 도움을 준다. 장미과의 양지꽃은 대개 이른 봄 따스한 양지쪽에 피기 때문에 양지꽃이다. 바닷가의 습지에서 가는 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 것은 눈양지꽃이다, 깊은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되 역시 가늘며 길게 옆으로 뻗으며 나도 양지꽃이라 소리지르는 나도양지꽃이 있다. 깊은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긴 하되 전체에 흩어져 나고 뿌리줄기가 길며..
-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08. 8. 19. 22:21
파드득나물 japanese-cryptotaenia. 반디나물, 기막(起莫), 압아근(鴨兒芹), 야근채(野芹菜), 학명 Cryptotaenia japonica Hassk. 참나물과 비슷해서 혼동하기 쉽다. 가장 명확한 구분은 꽃. 파드득나물은 보다시피 산형을 갖추고 있지 않다. 먹어보면 향과 맛이 좋아 파드득 놀랄 정도라 파드득나물이란다. 말은 그렇지만 참나물보다 맛과 향이 약하다는... 반디나물이라고도 한다. 根(근)은 鴨兒芹根(압아근근)이라 하며 폐렴, 廢農腫(폐농종), 淋病(임병), 疝氣(산기), 풍화치통, 옹저정종, 帶狀疱疹(대상포진), 皮膚瘙痒(피부소양)을 치료한다. 참반디, 붉은참반디, 애기참반디가 있다. 파드득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2776 참나물 http..
-
새콩 Amphicarpaea bracteate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9. 22:20
이 섹시함을 보아라.콩과의 한해살이풀에는 새콩, 돌콩이 있는데 똑같이 자주색 꽃을 피운다.새콩은 꽃모양이 새처럼 날렵하고 잎이 크며 마름모꼴에 가깝다.돌콩의 작은잎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2미터 가량 자라고 다른 물체를 감는다.콩과의 한해살이풀인 팥에는 예팥, 새팥, 여우팥이 있다. 8~9월에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앞에서 보아 달팽이처럼 돌아가면 예팥, 안돌아가면 새팥, 예팥과 여우팥은 꽃모양이 같은데 잎이 작으면 여우팥이다. 콩이든 팥이든 잎은 3출엽이다.새팥은 잎이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여우팥은 잎이 마름모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새콩 Edgeworth's hogpeanut, edgeworth-amphicarpaea. Trisperma hogpeanut, 학명 Amphicarpa..
-
바늘꽃 Longseed Willowweed초목류 wild flower/바늘꽃과 Onagraceae 2008. 8. 19. 22:19
바늘꽃 Longseed Willowweed, 학명 Epilobium pyrricholophum, 도금양목 바늘꽃과 바늘꽃속의 다년초. 산과 들의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데 보는 것처럼 바늘처럼 생긴 꽃줄기 때문에 부르는 이름이다. 꽃은 8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잎은 가을에 붉은 색으로 단풍이 든다. 열매는 꽃이 지고 난 자리에 긴 타원형으로 10월에 익는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식물 전체를 심담초(心膽草) 라 하여 이질, 감기, 지혈제로 쓰기도 한다. 큰바늘꽃, 분홍바늘꽃, 돌바늘꽃 줄바늘꽃, 회령바늘꽃이 있다. 암술대에 면봉이 달린 것은 돌바늘꽃이다. 줄기와 잎에 굽은 털만 있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고 씨방과 꽃줄기에 굽은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는 것을 한라바늘꽃이다.가우라 http://ktk843..
-
산씀바귀 Radde’s lettuc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19. 22:18
산씀바귀 Radde’s lettuce. Lactuca raddeana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두해살이풀. 산씀바귀는 일본명 야마니가나(山苦菜, 산고채)를 직역한 것이다. 한자명에는 와거(萵苣)란 말이 들어 있으며, 이것은 유럽원산의 상추를 지칭하는 채소명이다. 높이 1m.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삼각형이며 길이 8∼11cm이다. 꽃은 8∼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 여윈열매)이다. 뿌리와 어린 싹을 나물로 먹는다. 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54 http://ktk84378837.tistory.com/699 씀바귀 홀씨 http://ktk84378837.tistory.com/3185 산씀바귀 http://ktk84378837.t..
-
흰진범 Aconitum longecassidatum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8. 19. 22:17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 숲속에서 키 1미터 정도 자란다. 세끼 오리 모양의 꽃이 달그랑달그랑 매달려 있는 모습이 귀엽기만 하다. 진교라고도 부르는 유독식물로서 민간에서는 뿌리를 진통제·이뇨제 등으로 쓴다. 흰진범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진교(蓁膠), 흰진교. 대교(大敎),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의 다년초의 맹독성. 한국특산종.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길이 1m. 밑부분의 잎은 3-7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3-5개로 갈라지고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황백색이며 8월에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종자는 골돌과이며 삼각형이다 뿌리를 진교(蓁膠)라 하며 風濕痺痛(풍습비통), 관절염, 筋骨拘攣(근골구련), 황달, 小便不利(소변불리)를 ..
-
질경이 asian plantain초목류 wild flower/질경이과,갯질경이과 Plantaginaceae 2008. 8. 19. 22:16
질경이 asian plantain, 학명 Plantago asiatica. 차전초(車前草). 질경잇과의 여러해살이풀. 잎몸은 달걀꼴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평행맥 5개가 뚜렷하게 나 있다. 6~8월에 하얀 잔꽃들이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위쪽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려 핀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고 꽃부리 밖으로 길게 나온다. 암술은 1개. 10월경에 방추형의 삭과를 맺는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주로 비뇨기, 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왕질경이는 꽃줄기가 50cm이상이고 삭과 1개당 씨가 8~12개 들어 있다. 잎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씨가 3~4개이면 털질경이이다. 잎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씨가 4개씩 들어있으면 개질경..
-
참좁쌀풀 Lysimachia coreana초목류 wild flower/앵초과 Primulaceae 2008. 8. 19. 22:14
참좁쌀풀 korean-loosestrife, 학명 Lysimachia coreana. 북한명 고려꽃꼬리풀.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여러해살이풀. 역자초(癧子草), 황련화(黃連花), 원줄기는 높이 40~80cm. 잎자루가 짧은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타원형이고 잔털이 산생한다. 6~7월에 개화하며 황색이다. 삭과는 둥글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암술대가 달려 있다. 좁쌀풀과 달리 줄기에 능각이 있으며 꽃잎 양면에 황색 털이 있다. 잎은 구충제, 두통, 불면증, 혈압강하에 사용한다.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는다. 좁쌀풀 https://ktk84378837.tistory.com/6609 https://ktk84378837.tistory.com/7586 참좁쌀풀 http://ktk84378837.t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