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5. 6. 18:45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 석봉자,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관목. 중국 원산. 높이 1~2m. 4월에 지름 7~10mm의 흰 꽃이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그 모습이 마치 작은 공을 쪼개어 놓은 것같아 공조팝나무라 한다. 수술은 25개이고 꽃밥은 희다. 열매는 골돌과로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는다. 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359 http://ktk84378837.tistory.com/1576 갈기조팝 http://ktk84378837.tistory.com/6129 공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279 꼬리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2 http://ktk8..
-
솜양지(陽地)꽃 discolor-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5. 6. 18:11
솜양지(陽地)꽃 discolor-cinquefoil, 칠양지꽃, 닭의발톱, 닭의밑씻개, 학명 Potentilla discolor Bunge. 계각초(鷄脚草), 번백초(翻白草), 토율(土栗). 복령초(茯笭草), 천청지백(天政地白), 원삼(元參). 장미과의 다년초. 높이 15~40cm. 잎 표면은 녹색으로 전체에 솜 같은 털이 밀생하여 분백색을 나타낸다. 어긋나는 근생엽은 복엽인데 3~4쌍의 소엽이 있다. 4~7월에 황색 개화하며 수과는 털 없는 갈색이다. 淸熱(청열), 해독, 止血(지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양지꽃에 비해 잎뒤에 백색 솜털이 밀생하여 희고 뿌리는 갈라져 방추형으로 굵어진다. 좀소시랑개비 https://ktk84378837.tistory.com/845 http://ktk843788..
-
귀룽나무 european bird ch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5. 6. 17:59
박상진교수에 의하면 귀룽나무는 구룡목(九龍木)이라는 한자 이름에서 유래했다. 석가 탄생 때 구룡(九龍)이 하늘에서 내려와 향수로 석가의 몸을 씻고, 지하에서 연꽃이 솟아올라 그 발을 떠받쳤다. 이를 기념하여 공동으로 제사 지내는 의식이 고려시대 연중 행사로 관불회(灌佛會)다. 금강산의 구룡폭포니 구룡사니 구룡연이니 구룡이란 이름이 많은 이유를 알겠다. 조선왕조실록에 의주의 압록강변에 구룡연(九龍淵)이 있었다. 이 나무가 의주의 구룡에 특히 많이 있어서 구룡나무>귀룽나무가 된 것이다. 북한에서는 구름나무라 부른다. 작은 가지를 말린 것을 구룡목(九龍木)이라 하여 끓인 다음 음식에 체한 것을 치료한다. 생즙은 피부가 헌데를 아물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꽃이나 잎의 모양차이에 따라 털귀룽나무, 서울귀룽나무, ..
-
겹황매화(黃梅花) Kerria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4. 27. 16:10
일본 원산의 장미과 낙엽홥엽으로 2m 정도 큰다. 홑꽃은 황매화라 하고 겹꽃은 죽도화, 죽단화라 한다. 마을 부근의 습한 곳이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황매화는 홑꽃으로 단아한 멋이 있다. 겹황매화는 거의 모든 겹꽃이 그렇듯이 화려하긴 해도 요란스럽고 덕지덕지하다. 동백도 홑꽃은 간촐하고 우아한데 겹동백은 너저분하기 짝이 없다. 여인들은 화장을 해도 가볍게 터치만 하면 좋겠는데 왜 덕지덕지 떡을 칠까. 모양만 천박한 게 아니라 냄새까지도 역겹다. 생산을 하니 소비가 있는 법, 소비를 원하니 생산을 하는 거겠지. 자기만족이라고? 소비를 전제로 생산하지 않는 물건이 있다고? 어림 칠푼어치도 없는 소리... 황매화(黃梅花), Japanese Kerria, 수중화, 출단화(黜壇花), 출장화(黜墻花), 지당화(地棠..
-
콩배나무 Fauriei callery pear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4. 27. 15:41
콩배나무 Fauriei callery pear. 장미과 배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m.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털리 있다가 사라지고 잔톱니가 있다. 꽃은 흰꽃이며 4-5월경에 피고 짧은 가지끝에 5-9개가 모여 달리며 꽃잎은 원형, 거꿀달걀모양이고 꽃밥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며 암술대는 2-3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1.5cm로서 콩만하며 10월에 녹갈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과실은 吐瀉不止(토사부지), 腹筋痙攣(비복근경련), 腹痛(복통), 反胃吐食(반위토식)을 치료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돌배나무 http://ktk84378837.tist..
-
산벚나무 Sargent ch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4. 20. 15:31
산벚나무 Sargent cherry, 山櫻, 학명 Prunus sargentii ,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20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톱니가 발달해 있다. 꽃은 4월 말 ~ 5월 중순 개화하고, 연홍색 간혹 백색으로 2~3개가 산형으로 달린다. 꽃잎은 둥글고 끝이 오므라지며, 향기가 없고, 암술대 및 씨방은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은 1cm이며 검은 보라색으로 6월 말 ~ 8월 말에 성숙한다. 섬벚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531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221 처진올벚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17 수양벚나무 http://ktk84378837.tist..
-
이스라지 Korean bush ch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4. 17. 20:57
이스라지 Korean bush cherry. 욱자(郁子), 산매자(山梅子), 작매자(雀梅子), 거하리(車下李), 당옥매(唐玉梅), 참옥매화. 산앵도나무, 유수라지나무. 함경도에서는 산이스랏. 학명 Prunus japonica.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관목. 이국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꼴이며 자잘한 겹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잎과 함께 연한 홍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오판화가 2~4개씩 달린다. 7~8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앵두처럼 붉게 익는데 털은 없다. 생약명 욱리인(郁李仁)이라 하며 치통이나 부종 치료 또는 해열제, 이뇨제, 진통제로 쓰인다 득가형서 [得家兄書] 형님의 편지를 받다 / 이곡1298 ~ 1351) 賤子成何事 年年作遠遊 (천자성하사 연년작원유) ..
-
자두나무 Prunus Salicin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4. 9. 22:33
자두나무 plum tree, 자도(紫桃)나무, 오얏(李)나무, 학명 Prunus Salicina. 중국 원산. 장미과의 낙엽교목. 높이 10 m.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 또는 타원형 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흰색이며 보통 3개씩 달린다. 열매는 달걀 모양 원형 또는 구형으로서 자연생은 지름 2.2cm이지만 재배종은 길이가 7cm에 달한다. 7월에 노란색 또는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연한 노란색이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자두나무는 1920년대 들어온 개량종 서양자두(학명 Prunus domestica)이며, 재래종 오얏나무는 차장보기 어렵다. 열매인 李子(이자)는 虛勞骨蒸(허로골증), 消渴(소갈), 腹水(복수)를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