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4. 29. 14:23
시골에선 싸리나무 대용으로 빗자루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므로 싸리나무라 하기도 했다. 이밥나무가 이팝나무로 변하듯 조밥나무가 조팝나무로 되었다. 꽃핀 모양이 이밥 즉 쌀로 지은 밥처럼 하얀 것이 다닥다닥해서 부른 이름이다. 이때쯤은 배고픔을 견디기 힘든 보릿고개라 가난뱅이들의 눈에는 저것이 잇밥이었으면 하였을 일이다. 조팝나무 역시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대전 유성에선 해마다 이팝나무 축제를 연다. 배가 부른 현대인은 이팝나무를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조팝나무 Bridal wreath. 계뇨초(鷄尿草), 압뇨초(鴨尿草), 목상산(木常山), 눈버들(雪柳), 학명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장미과 꼬리조팝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
앵두나무 Nanking Ch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4. 12. 21:00
앵두나무 Prunus tomentosa, Nanking Cherry.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앵도(櫻桃)>앵두가 되었다. 키는 3m.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1~2송이씩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한국과 중국이 원산. 조선시대 양반가에서는 형제의 우애를 상징하므로 앵두나무를 심었다. 한방에서는 앵두가 청량제이고, 독이 없으며 비기(脾氣)를 돕고 안색을 곱게 만든다고 한다. 앵두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27 http://ktk84378837.tistory.com/1606 http://ktk84378837.tistory.com/1343 이스라지 http://ktk84378837.tistory.com/850 http://ktk84378837.tistory...
-
딸기 straw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3. 23. 09:34
딸기 strawberry, 매(苺), 초매(草苺), 양딸기, 재배종딸기, 2005년만 해도 일본의 육보(레드펄)와 장희(아키히메) 품종이 국내생산량의 85.7%을 차지했는데, 국산 중에 겨울딸기 설향이 출시되면서 2019년엔 87.6%로 역전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1045300505?input=1179m 논산 딸기는 90년 재배역사와 비옥한 토양, 맑은 물, 풍부한 일조조건으로 맛과 향, 당도 등 모두 전국에서 으뜸이다. 논산은 기름진 농토, 풍부한 일조량, 맑은 물로 전국 최대 딸기 주산지(2011년 기준 전국 생산량에서 16.9% 차지)로 당도가 높고 단단하며 신선도가 높은 신품종을 재배한다. 특히,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 미생물을 이용한 병해방제..
-
설중매(雪中梅) Prunus mum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3. 10. 12:57
매화 http://ktk84378837.tistory.com/360 http://ktk84378837.tistory.com/3420 http://ktk84378837.tistory.com/3444 청매화 http://ktk84378837.tistory.com/349 http://ktk84378837.tistory.com/3410 만첩홍매 http://ktk84378837.tistory.com/355 설중홍매 http://ktk84378837.tistory.com/1668 홍매 http://ktk84378837.tistory.com/361 광양매화마을 http://ktk84378837.tistory.com/1629 설중매 / 함민복 당신 그리는 마음 그림자 아무 곳에나 내릴 수 없어 눈 위에 피었습니다 꽃..
-
섬딸기 Rubus ribisoide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2. 16. 16:24
수월산을 오르면서 가이드가 안내한 노랑딸기나무. 노랑딸기로는 검색되지 않고 맛노랑딸기가 나오는데 북한어다. 우리말로는 거지딸기라는데 거지딸기를 찾아보니 이와 전혀 다르다. 또 다른 노랑딸기나무는 열매가 노란데 원예종이다. 거지딸기 열매는 노랗질 않고 붉다. 줄기와 가지에 솜털이 촘촘하게 나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드물게 나 있다. 잎은 5-7개의 쪽잎으로 되어 있고 꽃은 가지 끝에 여러 개씩 모여 흰꽃이 핀다. 열매는 단단한 핵과(核果) 수십 개가 모여 타원형을 이루며 익으면 노랗게 된다. 남쪽 섬의 양지 바른 산지(山地)에사 자라며 식용한다. 꽃을 보았으면 좋겠는데 ... 섬딸기와 가장 가깝다. 섬딸기 Rubus ribisoideus.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는 일년생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 잎은..
-
다정큼나무 열매 Raphiolepis umbellat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1. 24. 20:28
다정큼나무 Japanese Howthron, 중국명 석반목(石斑木), 학명 Raphiolepis umbellate. 꽃이 매화를 닮고 가지 뻗음이 수레바퀴살 같다고 차륜매(車輪梅)는 일본명이다, 다정한 모습으로 꽃을 피우고 다정한 모습으로 열매를 맺는 데서 다정큼나무라는 이름을 붙였다...장미과에 속하는 상록관목. 대만, 일본, 한국이 원산지. 남쪽 지방 바닷가 모래땅에서 서식한다. 크기는 약 1~4m.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타원형이고 검정색으로 10월에 익는다. 껍질에서 염료를 추출하며 관상수로도 활용된다. 민간에서는 잎과 가지, 뿌리를 타박상을 비롯한 통증에 사용했다. 비슷한 이름을 가진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인 정금나무가 있다. 정금나무는 여름에 붉은빛의 꽃이 피며 열매는 비슷하다. 다정큼나무 ht..
-
가을장미 薔薇, ros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10. 6. 11:46
가을장미 http://ktk84378837.tistory.com/1857 겨울장미 http://ktk84378837.tistory.com/4406 넝쿨장미 http://ktk84378837.tistory.com/164 장미 한 송이 / 용혜원 장미 한송이 드릴 님이 있으면 행복하겠습니다. 화원에 가득한 꽃 수 많은 사람이 무심코 오가지만 내 마음은 꽃 가까이 그리운 사람을 찾습니다,. 무심한 사람들속에 꽃을 사랑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장미 한다발이 아닐지라도 장미 한송이 사들고 찾아갈 사람이 있는 이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꽃을 받는 이는 사랑하는님이 있어 더욱 행복하겠습니다. 수록시집 네가 내 가슴에 없는 날은
-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9. 8. 24. 12:50
2008년 8월 오대산에서. 오이풀 Burnet-bloodwort. 지우초, 수박풀, 외순나물, 학명 Sanguisorba officinalis L. 샐러드의 재료로 사용해서 salad burnet. 산지의 물 빠짐이 좋은 풀숲에서 자란다. 잎을 뜯어 비비면서 냄새를 맡으면 오이 냄새가 나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150㎝. 7~9월에 붉은색 꽃이 피고 하나의 긴 꽃대 주위로 꽃자루가 없는 것들이 많이 달린다. 드라이플라워(dry flower)처럼 종이 같은 질감이 난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사각형이다. 오이풀은 맛은 쓰고 달고 시며 뿌리는 지유(地楡)라고 하여 지혈 해독 수렴 소종작용을 한다. 낭창낭창하기로는 가는오이풀, 시원하게 생긴 녀석은 큰오이풀, 멋을 한껏 부린 산오이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