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물양지(陽地)꽃 Marsh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8. 19. 22:22
물양지(陽地)꽃 Marsh cinquefoil, nippon-cinquefoil. 학명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지봉자(地蜂子), 치자연(雉子筵), 장미과 양지꽃속의 다년초. 높이 30~100cm. 깊은 산 기슭의 냇가에서 자라며 7-8월에 황색으로 핀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구내염, 구충, 복통, 설사, 이질, 지혈, 창독, 항균, 해독에 도움을 준다. 장미과의 양지꽃은 대개 이른 봄 따스한 양지쪽에 피기 때문에 양지꽃이다. 바닷가의 습지에서 가는 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 것은 눈양지꽃이다, 깊은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되 역시 가늘며 길게 옆으로 뻗으며 나도 양지꽃이라 소리지르는 나도양지꽃이 있다. 깊은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긴 하되 전체에 흩어져 나고 뿌리줄기가 길며..
-
오이풀 Burnet-bloodwort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8. 4. 13:54
상큼한 오이 냄새가 나는 오이풀. 오이풀 Burnet-bloodwort. 지우초, 수박풀, 외순나물, 학명 Sanguisorba officinalis L. 샐러드의 재료로 사용해서 salad burnet. 산지의 물 빠짐이 좋은 풀숲에서 자란다. 잎을 뜯어 비비면서 냄새를 맡으면 오이 냄새가 나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150㎝. 7~9월에 붉은색 꽃이 피고 하나의 긴 꽃대 주위로 꽃자루가 없는 것들이 많이 달린다. 드라이플라워(dry flower)처럼 종이 같은 질감이 난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사각형이다. 오이풀은 맛은 쓰고 달고 시며 뿌리는 지유(地楡)라고 하여 지혈 해독 수렴 소종작용을 한다. 낭창낭창하기로는 가는오이풀, 시원하게 생긴 녀석은 큰오이풀, 멋을 한껏 부린 산오..
-
산(山)딸기 Hawthorn leaf rasp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16. 13:35
산(山)딸기 Raspberry, Wild Strawberries, wild blackberry, 흰딸, 함박딸, 참딸, 학명 Rubus crataegifolius Bunge.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 잎은 손바닥모양으로 3 ~ 5개로 갈라지며 갈퀴 같은 가시가 있다. 하얀색 꽃은 지름이 2cm로 6월에 피고 꽃잎은 타원형이다. 열매는 둥글고 붉은색으로 7 ~ 8월에 성숙한다. 아주 선정적인 색깔과 향토적인 순진무구가 뒤엉킨 이미지 때문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산딸기에 대한 이야기가 지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김수형 감독이 선우일란과 마흥식을 선두로, 2탄에서 마흥식, 선우일란, 유영국을 통해, 3탄에서 마흥식, 선우일란, 김국현을 통해, 4탄에서 강혜지, 유장현, 조주미를..
-
복분자[覆盆子] Korean Black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9. 16:29
중국의 과장은 세계 최고라 하지만 우리나라도 엔간하다는 생각이다. 말이 좋아서 과장이지 장사꾼이 제 물건 팔아먹겠다고 꾸며낸 거짓이요 사기가 아니고 무엇이냐. 비아그라, 맞다 천연 비아그라라고 해두자. 옛날 신혼부부가 있었는데 남편이 이웃 마을에 볼 일을 보고 돌아오다가 길을 잃고 배가 고파 우연히 덜익은 산딸기를 먹게 되었다. 시지만 너무 배가 고파 허겁지겁 먹고는 겨우 집으로 돌아 왔다. 다음날 아침 일어나서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갔는데 소변 줄기가 너무 힘이 세어 오줌 항아리가 뒤집어지고 말았다. 그래서 '뒤집어진다'는 뜻의 '복(覆)'과 '항아리'인 '분(盆)'을 합해 '복분자(覆盆子)'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또한 음력 5월에 익은 열매가 검붉은색이러서 오표자(烏藨子), 대맥매(大麥莓), 삽..
-
딱지꽃 Chinese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6. 12:56
딱지꽃 Chinese cinquefoil. 갯딱지, 딱지, 호미초(虎眉草), 계조초(鷄爪草), 번백초(翻白草), 소모약(小毛藥), 위릉채(萎陵菜)·동녹풀. 학명 Potentilla chinensis. 장미과의 다년초. 잎은 어긋나며 15~29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6~7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피고 7~9월에 열매가 익는다. 딱지는 상처가 아물면서 생기는 막, 종이를 접어 만든 장난감, 영수증이나 공문서의 속어, 거북이나 갑각류의 등을 감싸는 껍질 등을 이른다. 딱지꽃은 무슨 유래를 가지고 있을까?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주로 신경계, 순환계 질환, 거풍, 지혈, 해독,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 딱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976 http://ktk..
-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6. 12:54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짚신나물의 유래는 전체에 털이 있으며 풀잎의 맥이 짚신 같다 하여 짚신나물이라 한다. 혹자는 그 열매에 갈고리같은 털이 지나다니는 사람의 짚신에 엉겨붙으므로 이름하였다고도 한다. 짚신도 짝이 있다는 속담 속의 짚신은 때로 아주 하찮고 보잘 것 없다는 의미도 있으니 그런 풀이라는 뜻으로 말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숲속에 길쭉하고 아름다운 새처럼 생겨 선학초(仙鶴草)라는 이름도 있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를 전체를 용아초(龍芽草)라 하여 지혈제로 사용한다. 새싹의 모양이 용의 이빨을 닮아 용아초로 하였다는 말이 외려 신빙성이 있다. 유럽에서는 이와 비슷한 종을 만성인두염, 설사, 간장통, 신장결석,..
-
콩배나무 Pyrus calleryan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7. 4. 12:01
콩배나무 Fauriei callery pear. 학명 Pyrus calleryana . 장미과 배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m.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털리 있다가 사라지고 잔톱니가 있다. 꽃은 흰꽃이며 4-5월경에 피고 짧은 가지끝에 5-9개가 모여 달리며 꽃잎은 원형, 거꿀달걀모양이고 꽃밥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며 암술대는 2-3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1-1.5cm로서 콩만하며 10월에 녹갈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과실은 吐瀉不止(토사부지), 腹筋痙攣(비복근경련), 腹痛(복통), 反胃吐食(반위토식)을 치료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http:/..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24. 12:25
멍석딸기 Small-leaved raspberry, 백사파(白蛇波), 홍매소(紅梅消), 번둥딸기, 멍두딸기, 덤불딸기, 학명 Rubus parvifolius. 장미과 >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0cm. 꽃은 5 ~ 6월에 피고 연분홍색이며 꽃잎은 붉은색이며 위를 향한다. 열매는 둥글며 붉은색으로 7 ~ 8월에 성숙한다. 全草(전초)는 호전표라 하며 생약명은 산매(山莓)인데 吐血(토혈), 打撲刀傷(타박도상),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이질, 痔瘡(치창), 疥瘡(개창), 나력을 치료한다. 어디가 한구석 멍석과 연관되는 것이 있르까 싶어 뒤져보니 멍석을 깔아놓은 것처럼 땅에 바짝 붙어 자란다하여 붙은 이름이란다. 그럴 듯한 말이다. 잎 뒷면에 털이 없는 청명딸기, 잎의 길이가 2 cm 정도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