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뱀무 Geum aleppicum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24. 12:19
큰뱀무 Geum aleppicum Jacq. 장미과 뱀무속의 다년초. 수양매(水揚梅) 라고도 한다. 높이는 1미터 정도이다. 뱀 자가 붙는 연유는 다른 것에 비해 못하거나 모양이 다른 것이라고 하는데 뱀무는무보다 못하단 뜻일까? 뱀딸기는 이해가 되는데 뱀무란 이름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 뱀무의 꽃잎색이 징그러울 정도로선연하다. 저 작은 이파리 어디에다 그 많은 색소를 저장해 두었다가 저리 진하게 풀어내는 것일까. 자연의 신비와 오묘함으로 밖에 답할 수 없는 무지가 갑갑하다. 사상자를 뱀도랏이자 부르고 먹지 못하는 야생딸기를 뱀딸기라 하는 것을 보면 뱀 자가 붙은 말들은 징그러울 정도로 진해서 감히 범접을 못하는 뜻이 들어 있다. 죄 없는 뱀이 식물의 이름에도 좋지 않게 쓰이는 걸 보면 뱀으로 태어난 걸..
-
살구 Prunus armeniac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17. 16:41
계룡산 신원사 대웅전 앞에 살구가 새콤달콤 익어가고 있다.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인 살구는 행인(杏仁), 고행인(苦杏仁), 덕아(德兒), 초금단(草金丹), 행자(杏子)이라고도 부른다. 백석의 에 나오는 광살구는 무슨 말일까. "뒤 우란 살구나무 아래서 광살구를 찾다가 살구 벼락을 맞고 울다가 웃는 나를 보고 미꾸멍에 털이 멫 자나 났나 보자고 한 것은 가즈랑집 할머니다" 중국 오나라의 동봉(董奉)이란 의사는치료비를 받는 대신 의원앞 뜰에다 살구나무를 심게 하였다. 살구나무 숲을 갖게 되자 이숲을 동선행림(董仙杏林) 혹은 행림이라고 불렀다. 그는 여기서 나오는 살구를 곡식과 교환하여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행림이라면 진정한 의술을 펴는 의원을 나타낸다. 한방에서는 살구씨를 행인(杏仁)이라 하..
-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6. 16. 16:05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사매(蛇莓),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3출 겹잎이고 잎자루가 길다. 4~5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1개씩 달려 핀다. 6월에 지름 1cm 정도인 둥근 수과가 달려 붉게 익는다.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일명 사매, 산뱀딸기, 배암딸기, 야양매 등으로 불린다. 전국의 산과 들녘의 풀밭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자란다. 열매가 익을 무렵에 줄기가 길게 뻗는데 꽃이 지면 딸기모양의 붉은 열매가 열린다. 이 풀이 자라는 곳에 뱀이 많이 돌아다니기 때문에 이름이 지어진 듯하다. 열매는 식용하고 온포기를 사과초(蛇果草) 또는 정창초(疔瘡草)라고 하는데 해열제, 진해제로 쓴다. 양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2532 솜..
-
찔레 Rosa multiflor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23. 08:45
전설 없는 꽃도 드물다. 고려시대, 몽골에 처녀를 바치던 관례가 있는데 찔레라는 여인이 잡혀갔다. 찔레는 그리운 고향과 부모와 동생들의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가난해도 고향이 좋고 지위가 낮아도 내 부모가 좋고, 남루한 옷을 입어도 내 형제가 좋았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버리지 못하고 10여 년의 세월을 눈물로 보내던 어느 날이었다. 찔레를 가엾게 여긴 주인은 사람을 보내 찔레의 가족을 찾아오라고 했으나 찾지 못하고 그냥 돌아왔다. 할 수 없이 찔레는 주인의 허락을 얻어 고향의 가족을 찾아 나섰다. 고려의 고향집을 찾아나선 찔레는 동생을 찾아 여기저기 산속을 헤매었으나 찾지 못했다. 슬픔에 잠김 찔레는 몽골로 다시 가서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 고향집 근처에서 목을 매었다. 이후 골짜..
-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20. 20:33
수리딸기 a kind of wild strawberry, Rubus corchorifolius 현구자(懸鉤子), 연구자(沿鉤子),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수리딸기는 수릿날(단오) 전후해서 꽃이 피는 딸기나무이기에 부른 이름인데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줄기에 털이 없고 잎의 뒷면 맥 위에만 털이 다소 있는 청수리딸기가 있다. 높이 1m. 잎은 어긋나기하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 융털이 밀생한다. 꽃은 2월 ~ 3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둥글며 노란붉은색이고 4 ~ 6월에 성숙한다. 懸鉤子(현구자) 는 痛風(통풍-筋肉(근육)류머티즘類(류)), 丹毒(단독), 遺精(유정)을 치료한다. 간장과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신경계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거제딸기 http://ktk8437883..
-
국수나무 Lace Shrub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7. 11:50
Stephanandra incisa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인 국수나무는 줄기의 속이 하얀 코르크로 되어 있어 국수가닥 같으므로 붙은 이름이다.한자어로 수국(繡菊)이라 하는데 산지에서 높이 1∼2m로 자란다.잎이 5갈래로 갈라지면 나비같대서 나비국수나무다.열매에 털이 없는 양국수나무이고 털이 있는 중산국수나무도 있다.국수나무 Lace Shrub, 소전주화((小珍珠花), 수국(繡菊), 거렁뱅이나무, 야주란, 학명 Stephanandra incisa, 높이 1-2m. 꽃은 5-6월에 햇가지 끝에 노란빛이 도는 흰색꽃이 핀다. 꽃잎은 5장이다. 국수나무는 가지가 자랄 때는 적갈색이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하얗게 변한다. 가느다란 줄기 뻗음이 국수 면발이 연상된다고 이름이 붙여졌다. 잘라서 세로로 찢어 보면 목질은 얼..
-
찔레꽃 Rosa multiflor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7. 11:46
찔레꽃 baby brier. 상장미(棠薔薇), 야장미(野薔薇), 들장미, 학명 Rosa multiflora Thunb. 장미과 장미속의 낙엽성 관목. 높이 2m. 소엽은 5 ~ 9개로 타원형이며 꽃은 5월에 개화하며 지름 2cm로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로 붉은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열매는 영실(營實)이라 하여 “각종 종기와 성병이 낫지 않는 것과 머리에 나는 부스럼과 백독창(白禿瘡) 등에 쓴다.” 뿌리는 “열독풍으로 종기가 생긴 것을 치료하며, 적백이질과 혈변으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고, 어린이가 감충(疳蟲)으로 배가 아파하는 것을 낫게 한다.” 薔薇花(장미화)는 暑熱吐血(서열토혈), 口渴(구갈), 瀉痢(사리), 말라리아, 刀傷出血(도상출혈)을 치료한다. 營實(..
-
팥배나무 Korean Mauntain Ash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4. 14:31
팥배나무 Korean Mauntain Ash, 학명 Sorbus alnifolia. 감당(甘棠), 당이(棠梨), 두이(豆梨). 화추(花楸). 장미과 마가목속의 교목. 열매자루에 팥배 열매가 수백 수천 개씩 열려 있는 모습은 흔한 표현으로 가히 환상적이다. 꽃은 하얗게 피는 모습이 배나무 꽃을 닮았다 하여 팥배나무라 부른다. 열매는 작아도 배나 사과처럼 과육을 가진 이과(梨果) 다. 과실을 水楡果(수유과)라 하며 血虛(혈허)로 인한 勞倦(노권-過勞(과로))을 치료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돌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38 팥배나무 htt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