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
-
신석초 시비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4. 6. 26. 23:30
서천 출신의 호는 석초(石艸) 본명은 신응식(申應植), 한산모시기념관 공원에 새겨진 는 문학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다. 바로 옆에 조선 여류시인 임벽당 김씨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http://ktk84378837.tistory.com/5380 김춘수 http://ktk84378837.tistory.com/4455 김현승 http://ktk84378837.tistory.com/4446 김환태 http://ktk84378837.tistory.com/4782 대전문학관 및 이재복 http://ktk84378837.tistory.com/5560 박재삼 h..
-
국내유일의 일본식 사찰 동국사(東國寺)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6. 26. 22:32
동국사는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일본식 사찰이다. 일본 조동종(曹洞宗) 승려 우치다[內田佛觀]가 1909년 8월 군산의 외국인 거주지에 세운 포교소 금강선사[금강사]에서 출발한다. 1955년에는 '불교 전북 종무원'에서 인수하여, 김남곡[1913~1983]이 이제부터는 ‘우리나라[海東國] 절이다’는 뜻으로 '동국사'로 등기를 내고 선운사에 등록하였다. 등록 문화재 제64호인 대웅전은 건축 자재를 일본에서 가져와 지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 사찰과 달리 승려들의 거처인 요사와 복도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정면 5칸, 측면 5칸의 정방형 단층 팔작 지붕 홑처마 형식의 대웅전은 일본 에도 시대 건축 양식으로 외관이 무척 단조롭다. 지붕 물매는 75도의 급경사를 이루고, 건물 외벽에 창문이 많으며, 용마..
-
이난영노래비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4. 6. 17. 19:33
유달산. 정순철노래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343 http://ktk84378837.tistory.com/4431 이난영노래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431 목포의 눈물 / 문일석 작사, 손목인 작곡, 이난영 노래 (원제 목포의 사랑)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면 삼학도 파도 깊이 스며드는데 부두의 새악시 아롱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움 삼백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 임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 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 임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사랑 목포항 봄노래 / 이여진 뒷개 선창의 맞파람 휘둘러 아직 여린 솔(부추)잎들을 흔들 거릴때 쯤 우악스런 똥장군 몇통 흩뿌리면 월동 준비로 그만 아니 것는가. 고하도 용머리 ..
-
천기51호 섬개야광나무문화 culture/천연기념물 natural monument 2014. 5. 6. 17:49
자생지인 울릉도에선 천연기념물51호. 멸종위기식물 1급.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는 나무의 키가 작고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떨기나무로 잎은 봄에 돋았다가 가을에 떨어진다. 섬개야광나무는 장미과에 속하고 5∼6월에 하얀 꽃이 피고 키는 1.5m 가까이 자란다. 섬댕강나무는 인동(忍冬)과에 속하며 꽃은 5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키는 1m 정도이다. 이 나무들은 도동 뒷산의 암벽 경사면을 따라 자라고 있으며 절벽의 경사가 매우 급하여 잘 보존되어 있다.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식물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문화재청. 야광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198 http://ktk84378837.tistory.com/289 htt..
-
해미읍성문화 culture/역사 전통 history tradition 2014. 4. 24. 16:04
아이들 어릴때 좋은 아빠 하겠다고 찾은 후 20여년 만이다. 진남문은 그대로다. 절도 강간일까 천주교를 믿었을까 죄인을 찾는다는 방문이 흉악한 모습의 인물과 함께 붙었다. 읍성의 망루가 보이고 청사초롱이 매달린 주막 사이로 화들짝 핀 노란 유채밭이 아름답다. 사투리로 호야나무인 회화나무는 순교자들을 매달아 고문하던 철삿줄 흔적이 사라지고 썩은 곳은 시멘트를 발라 방부처리를 했다. 해미 순교지의 호야나무 / 진장춘 순교지인 감옥과 호야나무*를 보았다. 주님을 위하여 갖은 고문을 받던 3백년 된 호야나무 그 임들을 매달았던 동쪽 가지는 1940년 바람에 부러지고 자릿개질**하던 자릿개는 지금도 기념관에 있다. 가운데 줄기도 1869년 6월 부러지고 반이나 텅 빈 고목은 시멘트로 옷을 입고 그 위엔 덩그러니 ..
-
구례 사성암(四聖庵)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4. 3. 23. 21:08
약사전인 유리광전(琉璃光殿) 사성암은 구례 오산(鰲山)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화엄사의 말사로서, 백제 성왕 22년(544년)에 연기조사가 화엄사를 창건하고 난 이듬해에 이곳 사성암(四聖庵)을 창건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오산사(鰲山寺)로 불리었으나, 그 후 원효대사, 의상대사, 도선국사, 진각국사등 4명의 고승들이 이곳에서 수도를 하였다 하여 사성암(四聖庵)으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사성암의 기록에 의하면 오산이 금자라 형국이어서「금오산」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바위를 뚫고 나온 듯한 '약사전'과 바위 위에 살짝 얹어 놓은 듯 단아한 '대웅전' 등 모든 구조물이 산과 하나되어 고운 자태를 뽐낸다. 대웅전 옆으로 난 좁은 길을 돌면 아래로 섬진강이 돌아 흐르고 구례읍과 지리산 노고단이 한눈에 들어온다. 사..
-
대전문학관문화 culture/문학 literature 2014. 3. 10. 21:55
대전 동구 송촌남로(용전동) 11번길116 박용래, 오류동 생가터에 생가지비 건립. 보문산 사정공원에 '저녁눈' 시비 건립. 한성기, 대전시민회관에 시비 건립. 정훈, '머들령'시비 만인산휴게소 입구에 건립. 최상규 권선근, 샘머리공원에 문학비 건립. 이재복 시비. 대전문학관 및 이재복 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5560 구석봉과 이영순 http://ktk84378837.tistory.com/3501 김영랑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3826 김정한 생가 http://ktk84378837.tistory.com/5380 김춘수 http://ktk84378837.tistory.com/4455 김현승 시비 http://ktk84378837.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