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기
-
만주바람꽃 Manchurian isopyrum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9. 3. 23. 11:06
만주바람꽃 Manchurian isopyrum.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의 다년초. 학명 Isopyrum manshuricum (Kom.) Kom. 높이 20cm. 근생엽은 2회 3출이고 소엽은 어린 `개구리발톱` 잎과 닮았다.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받침은 꽃잎모양이고 5장이며 꿀샘판은 반 쌈지모양이며 달걀모양이다. 열매는 삭과로 2개씩 달린다. 만주에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도 볼 수 있다. 너도바람꽃 http://ktk84378837.tistory.com/893 꿩의바람꽃 http://ktk84378837.tistory.com/4503 http://ktk84378837.tistory.com/882 http://ktk84378837.tistory.com/2356..
-
오리나무 Alnus hirsuta초목류 wild flower/자작나무과 Betulaceae 2009. 2. 20. 23:03
물오리나무 Manchurian alder. 산오리나무, 털물오리나무.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높이 20m. 잎은 어긋나며 겹톱니가 있다. 잎 뒷면이 회백색이며 갈색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이삭은 3-4개씩 달리며 밑으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3-5개가 달린다. 열매는 흑갈색으로 익는다. 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454 물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393 사방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54 두메오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509 오리나무 꽃 / 김승기 보고 또 보아도 청옥 귀고리로 치장한 신라의 선화공주 ..
-
바보여뀌 Nonspicy smartweed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9. 20. 09:51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인 여뀌에는 바보 이름이 붙은 바보여뀌가 있다. 학명 Persicaria pubescens 영명 Nonspicy smartweed 바보역귀, 유모료(柔毛蓼)라고도 한다.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양면에 짧은 털이 있고 표면에 흑색 점이 있다. 물가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로 자란다. 일본 이름을 그대로 번역했다고 하는데 여뀌가 가진 매운맛이 없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본초명 날료(辣蓼)로 잎은 류마티즘성 관절염, 말라리아, 각기, 瘡腫(창종)을 치료한다. 꽃은 心, 胃氣痛(심,위기통), 이질, 腹腔(복강) 내의 積塊(적괴), 횡현을 치료한다. 여뀌 http://ktk84378837.tistory.com/2801 개여뀌 http://ktk84378837.tisto..
-
댕댕이덩굴 japanese-snailseed초목류 wild flower/방기과 Menispermaceae 2008. 7. 16. 13:29
댕댕이덩굴 japanese-snailseed, Cocculus trilobus 토고등(土鼓藤), 목방기(木防己), 방기(防己), 상춘등(常春藤), 줄기와 잎도 청향등(靑香藤)이라 한다. 학명 Cocculus trilobus, 길이 1~3m 정도이고 털이 약간 있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길이 3~12cm, 너비 2~10cm 정도의 난상 원형이며 약간의 털이 있다. 5~6월에 개화한다. 원추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황백색이다. 지름 5~8mm 정도인 구형의 핵과는 흑색으로 익으며 백분으로 덮여 있다. 종자는 편평하며 지름 4mm 정도로서 원형에 가깝고 많은 환상선이 있다. ‘방기’와 달리 수술은 6~9개이고 암술머리가 갈라지지 않는다. 사방용으로 심거나 줄기로 바구니를 만든다. 생약명 목방기(木..
-
파리풀 lopseed초목류 wild flower/파리풀과 Phrymaceae 2008. 7. 11. 22:26
파리풀 lopseed. 꼬리창풀, 일부광(一扶光), 투골초(透骨草), 학명 Phryma leptostachya , 본초명 노파자침선(老婆子針線), 산과 들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높이 50∼70cm로 자란다. 포기 전체에 털이 나 있다. 7~9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2개의 입술 모양인데 긴 윗입술은 3개로 갈라지고 짧은 아랫입술은 2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둘로 갈라진다. 작은 꽃줄기는 꽃이 진 다음에 아래로 굽어서 거꾸로 달린다. 10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끝 부분이 갈고리 모양이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의 즙을 종이에 먹여서 파리를 죽이기 때문에 파리풀이라고 이름하였다. 뿌리 ..
-
활량나물 Lathyrus davidii Hance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7. 6. 12:46
활량나물 david-vetchling. 콩과의 다년생 초본. 학명 Lathyrus davidii Hance. 강망결명(江茫決明), 대산려두(大山黧豆). 높이 80~120cm. 어긋나는 잎의 끝에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6~8월에 개화하며 황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선형이고 10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강장, 이뇨, 진통제로 쓰인다. 뿌리는 지혈에 쓰인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이름의 유래에 대하여 재미난 이야기가 전한다. 활 쏘는 걸 좋아하는 한량(閑良)의 모습을 유추한다든지 애기완두에 비해 대형(활량=闊良)이란 뜻으로 풀이하는 경우다. 요즘처럼 이성 간의 관계가 도덕적으로 건전하지 못한 사람을 이를 수도 있겠다. 숲 가장자리에서 바람을 잘 쏘이고 덩굴이 길고 가는 몸이라 바람..
-
날개하늘나리 Siberian lily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6. 17. 16:49
날개하늘나리 Siberian lily. 백합과 백합속의 다년초. 학명 Lilium dauricum KerGawl. 날개하늘나리는 하늘나리와 비슷한 종류인데, 둘 다 꽃이 하늘을 쳐다본다고 해서 하늘나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하늘나리에 비해 날개하늘나리에 ‘날개’라는 말이 붙은 것은 줄기에 물고기 지느러미처럼 생긴 날개가 나 있기 때문이다. 키는 30~80㎝이며 잎은 잎자루가 없이 뾰족하다. 7~8월에 꽃이 피는데 황적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꽃은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1~6개가 우산 모양으로 위를 향해 핀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곧게 선다. 날개하늘나리 http://ktk84378837.tistory.com/3053 중나리 http://ktk84378837.tistory.com/694 ht..
-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e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22. 12:36
위는 고운식물원에서 담은 삿갓나물인데 아래 삿갓나물 크기의 10/1 크기밖에 안된다. 애기삿갓나물이라고 해야하나? 어린순은 나물로 먹지만 유독성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조휴(蚤休)라는 약재로 쓰는데, 천식·종기·만성기관지염에 효과가 있고 외상 출혈과 어혈성 통증에 사용한다. 아래는 수락계곡에서 첨 만난 삿갓나물에 예나 지금이나 가슴이 뛰는 건 마찬가지. 근데 어김없이 찾아오는 머피의 법칙 계곡바람 잦아들기를 기다리다 못해 김밥을 꺼내들고 먹는데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구름과 바람과 ... 맞아, 내일은 전국적으로 비가 온댔지? 점심이 끝나도 바람은 더 분다. 세상에 쉬운 일 하나 없지. 사진 한 장 찍는데도 이리 힘들어서야, 원. 에라, 한 장이라도 걸리는 게 있겠지 했더니 웬걸 설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