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기
-
새깃유홍초 留紅草 cypress vine초목류 wild flower/메꽃과 Convolvulaceae 2011. 9. 26. 21:52
새깃유홍초 留紅草 cypress vine, 누홍초(縷紅草), 금풍모(金風毛), 면병봉(綿屛封), 취령초(翠翎草), 학명 Quamoclit pennata. 잎은 어긋나며 잎몸이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7~8월에 깔때기 모양의 붉은색 또는 흰색 꽃이 피고 10월에 달걀꼴의 삭과가 달린다. 둥근잎유홍초와 구별하기 위해 새깃유홍초라고도 부른다. 생약명은 유홍자(留紅子) 이며 변비, 복통, 사하, 소종양, 위통, 이뇨, 학질에 사용한다. 유홍초 http://ktk84378837.tistory.com/492 단풍잎유홍초 http://ktk84378837.tistory.com/982 둥근잎유홍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041 메꽃 http://ktk84378837.tistor..
-
만삼 蔓蔘 Pilose bellflower초목류 wild flower/초롱꽃과 Campanulaceae 2011. 8. 29. 09:04
만삼 蔓蔘 Pilose bellflower. 蔓蔘은 덩굴삼이란 뜻. 황삼(黃蔘), 삼승더덕, 초롱꽃과 더덕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덩굴줄기는 길이 1~2m 정도로 전체에 털이 있고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뿌리는 길이 30c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마주난다. 잎몸은 난형으로 양면에 잔털이 많다. 잎의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7~8월에 피는 꽃은 녹색을 띠는 황백색이다. 더덕에 비해 뿌리가 곤봉모양이고 잎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길고 화관에 반점이 없으며 끝이 자색을 띠지 않고 종자에 날개가 없다. 꽃잎에 무늬와 반점이 없는 것이 더덕이나 소경불알과 다르다. 뿌리를 당삼(黨蔘) 또는 만삼이라 하며 주로 건강 생활을 돕고, 순환계·호..
-
산꿩의다리 Tuberous-root meadow-rue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11. 8. 23. 13:52
산꿩의다리 Tuberous-root meadow-rue. 개삼지구엽초, 산가락풀,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다년초. 학명 Thalictrum tuberiferum Maxim. 높이 20-60cm,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처럼 한 면에 배열하고, 흰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납작한 편이다. 꿩의다리 5종 http://ktk84378837.tistory.com/1996 산꿩의다리 http://ktk84378837.tistory.com/582 . 금꿩의다리 http://ktk84378837.tistory.com/4224 은꿩의다리 http://ktk84378837.tis, tory.com/2673 연잎꿩의다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85 좀꿩의다리 http:..
-
타래난 Spiranthes sinensis초목류 wild flower/난초과 Orchidaceae 2011. 7. 7. 19:36
타래난초(蘭草) Spiranthes sinensis. 잎은 뿌리와 줄기에서 나오는데 소라껍질처럼 나선 모양으로 꼬여 달리면서 올라간다. 줄기잎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6~8월에 분홍색 꽃이 나선 모양으로 꼬인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한쪽 옆을 향해 달려 핀다. 8~9월에 타원형의 삭과가 달린다. 생약명은 반룡삼(般龍蔘) 이며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염증에 효험이 있다.타래난초 http://ktk84378837.tistory.com/656 타래난초 & 흰타래난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331 흰타래난초 http://ktk84378837.tistory.com/2903 http://ktk84378837.tistory.com/529 타래난초 / 작은초가..
-
석잠풀 Stachys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11. 7. 4. 12:25
석잠풀 Stachys japonica Miq. 배암배추, 뱀배추, 민석잠풀, 학명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키는 30~60㎝ 꿀풀과의 다년초. 동아시아, 시베리아 분포. 석잠(石蠶)은 본래 물여우를 가르킨다. 물여우는 날도랫과 곤충의 애벌레다. 석잠풀은 뿌리가 하얗고 누에처럼 생겨서 생긴 이름이다. 석잠풀은 습기가 있는 산자락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의 모서리와 잎뒤의 맥에 털이 있으면 개석잠풀이고, 전체에 털이 많은면 털석잠풀이다. 한방에서 초석잠이라 하여 열을 내리게 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하는데 사용한다. 유사종에 학명을 Stachys officinalis 라 하는 베토니(betony)가 있다. 베토니라는 이름은 켈트어로 머리라는 뜻의 'bew'..
-
매화노루발 Chimaphila japonica -초목류 wild flower/노루발과 Pyrolaceae 2011. 6. 13. 15:40
노루발풀과는 달리 매화꽃을 닮은 매화노루발. 매화노루발 Winter lover. 풀차, 학명 Chimaphila japonica. 진달래목 노루발과 매화노루발속의 상록다년초. 높이 5~10cm. 바닷가의 숲속 반그늘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넓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낮은 톱니가 있다. 두꺼운 각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이해 마치 작은 나무처럼 강인해 보이기도 한다. 꽃이 매화처럼 아름답다고 해서 ‘매화’가 붙여진 이름으로 지름은 1㎝ 정도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주걱노루발, 함경도 백두산에서 자라는 호노루발이 있다.노루발 http://ktk84378837.tistory.com/1383 매화노루발 http://ktk84378837.tistory.com/714 매화노루발 ..
-
애기나리 fairy-bells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11. 5. 9. 14:07
애기나리 fairy-bells. 가지애기나리, 보주초(寶珠草), 석죽근(石竹根), 백합과 애기나리속이 다년초. 학명 Disporum smilacinum. 높이 20~40cm 정도로 1~2개의 가지가 있다. 어긋나는 잎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5~6월에 개화하며 꽃은 가지 끝에 1~2개가 밑을 향해 달린다. 6개의 꽃잎은 피침형으로 흰색이다. 열매는 지름 7mm 정도로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큰애기나리와 비슷하지만 꽃이 희고 씨방이 도란형이고 암술대가 씨방보다 2배로 긴 점이 다르다.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줄기와 뿌리에 독이 있다. 둥굴레와 비슷하니 조심해야 한다. 강장, 건비소적, 나창, 냉습, 명안, 윤폐지해, 자양에 효능을 보인다. 애기나리 http://ktk8437883..
-
바위솔 Rock pine초목류 wild flower/돌나물과 Crassulaceae 2010. 10. 9. 23:36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돌나물과의 다년초. Rock pine, 지붕지기. 산지의 바위 겉이나 지붕 위의 습한 기왓장에서 자란다. 8~9월에 개화하며 길이 6~15cm 정도의 총상꽃차례에 화경이 없는 백색의 꽃이 핀다. 본초명이 와송(瓦松), 와위(瓦葦), 향천초(向天草)이며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痢(혈리), 간염, 말라리아, 熱淋(열림), 치질, 습진, 癰毒(옹독), 화상 등을 치료한다. 바위솔 http://ktk84378837.tistory.com/1014 둥근바위솔 http://ktk84378837.tistory.com/979 좀바위솔 http://ktk84378837.tistory.com/1155 와송 http://ktk84378837.tistory.com/25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