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팥꽃나무 Daphne genkwa초목류 wild flower/팥꽃나무과 Thymeleaceae 2008. 4. 28. 20:50
팥꽃나무 Daphne genkwa, 높이 1m.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이다. 거수(去水), 두원(杜元), 원화(芫花), 다프네(Daphne)는 희랍신화에 나오는 아폴론의 끈질긴 구애를 피하여 월계수가 되어버린 아름다운 여신 다프네에서 따왔다. 꽃은 3 ~ 5월에 개화하며 연한 보랏빛의 붉은색으로 잎보다 먼저 전년지 끝에서 3 ~ 7개씩 산형으로 달린다. 팥을 심는 시기에 팥과 비슷한 색깔의 꽃을 피운다 하여 팥꽃나무, , 이때쯤 조기가 잘 잡힌다 하여 조기꽃나무라고도 한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백색이며 투명하고 잘 결실되지 않는다. 조기꽃나무, 이팥나무라고도 하는데 수수꽃다리와 흡사하다. 팥꽃나무라는 향명으로 부르기도 하니 혼동하기 쉬울 듯. 팥꽃나무는 잎과 동시에 꽃이 나고 수..
-
흰대극(大戟) Euphorbia esula초목류 wild flower/대극과 Euphorbiaceae 2008. 4. 28. 20:09
흰대극(大戟) Euphorbia esula.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해안이나 들에 산다. 높이 20-40cm.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고 꽃 위의 술이 큰 창(戟)처럼 갈라져 있어 불려진 이름일까 싶다. 총포조각은 황색이며 콩팥모양이다. 어린 잎을 식용한다. 생약(生藥)으로 쓰는 대극은 뿌리를 말려 鷄腸狼毒(계장랑독)이라 하며 치습(治濕) ·사수제(瀉水劑) ·류머티즘 ·치담(治痰)에 사용한다. 암대극 http://ktk84378837.tistory.com/174 민대극 http://ktk84378837.tistory.com/1503 흰대극 http://ktk84378837.tistory.com/3294
-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Korean Epimedium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4. 28. 18:24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Korean Epimedium. 이름은 삼지구엽초인데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라니 말이 어렵다. 학명 Epimedium koreanum Nakai. 잎이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다. 음양곽으로 더 익숙한 이름이다. 선령비(仙靈脾)라고도 한다.높이가 30cm. 5월에 황백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7월에 익는데 골돌과이다. 맛은 좀 달고 깊은 느낌이었다.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다. 민간에서는 음위(陰謄), 신경쇠약, 건망증, 히스테리, 발기력 부족 등에 사용한다. 또한 술을 담가서 마셔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삼지구엽초 http://ktk84378837.tistory.com/793 http://ktk84378837.tistory.com..
-
점박이천남성(天南星) Arisaema peninsulae초목류 wild flower/천남성과 Araceae 2008. 4. 28. 15:59
점박이천남성(天南星) Variegate jack-in-the-pulpit. 천남성과 천남성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risaema peninsulae Nakai 높이 20-80cm.잎은 2개이고 첫째 잎은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5-14개로서 긴 타원형이다.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피며 불염포(佛焰苞)는 윗부분이 약간 자줏빛이 돌며 판통이 녹색이고 구연(口緣)이 밖으로 말린다. 꽃차례의 연장부는 위가 약간 앞으로 굽는다. 열매는 장과로서 수축면(穗軸面)에 밀집하며 빨갛게 익는다. 덩이뿌리를 天南星(천남성)이라 하며 中風痰涎(중풍담연-중풍으로 痰(담)이 가득 참),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반신불수, 癲癎(전간), 경련, 파상풍, 風痰眩暈(풍담현운), 喉痺(후비), 나력, 癰腫(옹종), 타박골절, 蛇,毒蟲..
-
노루삼 asian-baneberry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4. 28. 15:50
노루삼 asian-baneberry. 류엽승마, 마미승마(馬尾升麻), 녹두승마,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의 다년초. 높이 40-70cm. 잎은 2-3장이 줄기에 붙는데, 2-4번 3갈래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총상꽃차례에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꽃이 피자마자 떨어지며 작아서 꽃잎은 수술처럼 보인다. 열매는 장과이며 검게 익는다. 열매가 붉은빛 또는 흰빛인 것을 붉은노루삼이라고 한다. 잎 모양과 꽃차례 모양이 촛대승마와 비슷하다. 根(근) 및 根莖(근경)을 綠豆升麻(녹두승마)라 하며 感冒(감모), 두통, 신경통, 咳嗽(해수), 백일해, 기관지염을 치료한다. 그런데 노루삼이 무슨 말이지? 잎이 산삼의 잎과 유사하게 생겨 노루가 먹는 삼이라 하는 말과, 꽃이 노루의 꼬리를 닮아서 라는 설이 있..
-
큰두루미꽃 Maianthemum dilatatum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28. 15:26
큰두루미꽃 학명 Maianthemum dilatatum 백합과 두루미꽃속의 다년초. 높이 8-25cm. 큰두루미꽃은 두루미꽃보다 크다는 뜻을 지닌 꽃이다.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두루미꽃은 높은 산의 침엽수 숲속에서 자란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한줄기에 10여 개 정도가 달린다. 5월에 이 꽃이 군락을 이루고 피어 있는 모습을 보면 마치 하얀 두루미 떼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열매는 8~9월경에 적색으로 달리고 있다. 두루미 머리와 목을 닮았고, 잎과 엽맥의 모양이 두루미가 날개를 펼친 모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그럴듯 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잎의 경우 두루미꽃은 길이 2~5㎝, 나비 1.5~4㎝인 반면, 큰두루미꽃의 잎은 길이가 3~10㎝, 폭은 2.5~8㎝이다. 특히 두루미..
-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초목류 wild flower/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2008. 4. 28. 10:19
당매자나무 Poiret Barberry, 학명 Berberis poiretii,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당소벽(唐小檗), 소얼(小櫱), 산석류(山石榴), 중국매자. 높이는 1.0-1.5m. 잎은 어린가지에서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뭉쳐난다. 4~5월에 노란 꽃이 앞면에 붉은색을 띠며 열매는 9월에 타원형으로 붉게 익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삼과침(三顆針)이라고 하는데 이질, 장염, 황달, 후두염, 안구 충혈 등에 효과가 쓴다. 산매자나무는 진달래과이니 혼동하지 않도록.매자나무 구분 http://ktk84378837.tistory.com/268 당매자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299 일본매자 & 당매자 http://ktk84378837.tis..
-
배나무 Pyrus pyr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4. 23. 14:58
배나무 pear, pear tree, 이목(梨木), 장미과 배나무속의 교목성 낙엽과수. 학명 Pyrus pyrifolia. 잎은 어긋나고 달걀꼴이며 바늘 모양의 톱니가 있다. 4~5월에 하얀꽃이 피는데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씩인데 꽃받침 조각은 길게 뾰족하고 꽃잎은 달걀을 닮은 원형이다. 9월에 둥글고 커다란 황록색의 핵과가 다갈색으로 익는다. 생약명은 이과(李果)이며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이탈리아가 세계 최고의 배 생산국이며 중국·미국이 그뒤를 따른다. 제목이 배꽃타령이지만 배꽃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배꽃같이 흰 큰애기의 얼굴을 배꽃에 비유한 유희요이다. 양소운과 김정숙이 소리한 황해도 민요로 오래되진 않은 것 같다는 분석이다. http://preview.britannica.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