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큰애기나리 Disporum viridescens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30. 11:55
큰애기나리 virescent-fairybells. 죽림소(竹林搔), 백미순(百尾筍), 보주초(寶珠草), 녹화보탁초, 중애기나리, 백합과 애기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높이 30-70cm.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3-5맥이 맥위에 반달형 또는 작은 돌기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고 수술은 6개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根莖(근경) 및 根(근)을 石竹根(석죽근)이라 하며 虛損咳喘(허손해천), 痰中帶血(담중대혈), 腸風下血(장풍하혈), 食積腸滿(식적장만), 폐결핵, 폐기종, 장염, 대장출혈, 치질을 치료한다. 애기나리 http://ktk84378837.tistory.com/80..
-
조막손을 떠올리는 고사리 Bracken.초목류 wild flower/고사리과 Pteridaceae 2008. 4. 30. 10:05
마눌님이 좋아 죽는다. 몇 년만에 이렇게 많은 고사리를 꺾었다고 행복해 한다. 마눌님이 좋다니까 나도 참 좋다. 고사리 Bracken.. 오각(烏角), 소각(小角), 고사리근(高沙利根), 궐채(蕨菜), 학명은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키 80~100cm. 잎자루가 길고 곧게 선다. 3회 깃꼴겹잎인데 넓은 달걀 모양의 삼각형으로서 끝이 짧고 뾰족하며 딱딱한 가죽질이다.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잎맥은 2개씩 2~3회 갈라진다. 5~6월에 포자잎에 갈색의 포자주머니 무리가 달리는데 잎 뒷면의 가장자리에 붙어 서로 이어졌으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 포막처럼 포자주머니들을 덮는다. 포막은 투명하고 털이 없다. 생약명 궐근(蕨根)이며 ..
-
땅비싸리 kirilow indigo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4. 29. 13:52
땅비싸리 kirilow indigo. 논싸리, 젓밤나무, 황결(黃結), 고두근(苦豆根), 콩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흔히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양면에 털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5~6월에 길이 2cm 정도 되는 엷은 자홍색 꽃이 피고 10월에 길이 3~5.5cm 정도 되는 선형의 협과가 달려 익는다. 꽃차례가 잎보다 2배 정도 긴 큰땅비싸리, 잎 뒷면에 털이 없는 민땅비싸리가 있다. 주로 부인과 질환과 악성 피부염증을 다스린다. 유사종으로 꽃이삭이 잎보다 2배 정도 긴큰땅비싸리, 잎 뒷면에 털이 없는민땅비싸리가 있다. 이 식물 집안 이름을 대표하는 학명이 인디고훼라(Indigpfera)인데 이 말은 우리가 흔히 쪽빛이라고 표현하는 남색염료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쪽’이라는 식물 뜻을 ..
-
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f. albiflora Tuyama초목류 wild flower/용담과 Gentianaceae 2008. 4. 29. 13:32
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f. albiflora Tuyama 용담과 용담속의 두해살이풀. 큰구슬붕이에 비해 꽃부리가 순백색이다. 용담과의 두해살이풀로 크기에 따라 큰구슬붕이와 구슬붕이로 구분하고 봄구슬붕이도 있다. 인엽용담(鱗葉龍膽), 암용담, 자화지정, 구슬봉이라고도 한다. 자화지정 [紫花地丁] 은 자주빛 꽃을 울러 이르니 무턱대고 쓸 말은 아니다. 양지바른 들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석용담(石龍膽)이라 하여 충수염, 결핵성림프선염에 소염 효과가 있고, 종기, 악창, 안구 충혈에 사용한다. 구슬붕이 http://ktk84378837.tistory.com/4710 http://ktk84378837.tistory.com/2309 http://ktk84378..
-
뽀리뱅이 oriental-hawksbeard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4. 29. 10:08
보리뱅이, 황가채, 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하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인 뽀리뱅이는 첫발음이 미묘하다. 어린 순을 나물로 식용한다. 뽀리뱅이 oriental-hawksbeard 박주가리나물, 박조가리나물, 학명 Youngia japonica (L.) 고채약(苦菜藥), 귀전평자(鬼田平子), 황과채(黃瓜菜). 국화과 뽀리뱅이속의 이년초. '뽀'는 '길다'는 뜻이고 '뱅이'는 '줄기 끝에 달리는 풀' 이므로 유래한다고도 하고, 보리밭에 잘 자라므로 뽀리뱅이라고도 한다. 높이 15-100cm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줄기잎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7-8mm.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항바이러스와 항종양 성분이 혈액을 순화시키고, 설사를 치료하며, 감기약으로 쓰인다. 화상, 대..
-
선밀나물 Japanese Greenbrier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29. 09:55
몸이 붓는 증상을 치료하고 근육과 관절의 동통과 사지마비, 폐결핵에 사용한다. 선밀나물 cat-brier, Japanese Greenbrier, 용수초(龍須草), 우미절(牛尾節), 학명 Smilax nipponica Miq.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다년초. 높이 1m.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맥은 5-7개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수꽃의 화피는 옆으로 퍼지며 암꽃의 화피는 배모양이다. 밀나물과 비슷하지만 덩굴성이 아니고 서서 자라므로 선밀나물이라고 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根莖(근경) 및 根(근)을 牛尾菜(우미채)라 하며 舒筋(서근), 活血(활혈), 經絡流通(경략유통),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足腰(족요)의 筋骨疼痛(근골동통)을 치료한다. 선밀나물..
-
왕둥굴레 Robust solomon's seal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4. 28. 21:10
왕둥굴레 Robust solomon's seal. 백합과 둥굴레속의 다년초. 학명 Polygonatum robustum. 울릉도에 자생한다. 높이 50-90cm로 위쪽이 비스듬하게 자라며, 겉에 능선이 없다. 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9-15장이 어긋난다. 잎자루는 길이 8mm쯤으로서 뚜렷하다. 꽃은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1-3cm의 꽃대에 2-5개가 피며, 녹색이 도는 흰색이다. 화관은 통 모양이다. 열매는 둥근 장과이며 검게 익는다. 根莖(근경)을 玉竹(옥죽)이라 하며 주로 심장 질환과 호흡기 질환 즉 건해, 당뇨병, 번갈, 산후허로, 소변간삽, 폐결핵, 협심증을 다스린다. 둥글레 http://ktk84378837.tistory.com/688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
-
개양귀비(楊貴妃) Papaver rhoeas초목류 wild flower/양귀비과 Papaveraceae 2008. 4. 28. 21:03
개양귀비 corn-poppy. 꽃양귀비, 백반교(百般嬌), 금피화(錦被花), 학명 Papaver rhoeas.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로 앵속, 약담배, 아편꽃이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의외로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다. 아편(阿片)은 양귀비과의 2년생초인 양귀비(Papaver somniferum)의 즙액을 굳힌 것이다. 중국 당나라 현종의 황후이며 최고의 미인이었던 양귀비에 비길 만큼 꽃이 아름답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그리스신화에는 곡물과 대지의 여신인 데메테르(Demeter)가 저승의 지배자인 하데스(Hades)한테 빼앗긴 딸 페르세포네(Persephone)를 찾아 헤매다가 이 꽃을 꺾어서 스스로 위안을 찾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중추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진통, 진정, 지사 효과를 내므로 복통,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