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6. 15:38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朝鮮木萩. 학명의 ‘Lespedeza’는 프랑스의 식물학자인 앙드레 미쇼를 후원하던 미국 동부의 스페인 통치자 체스페데스(Cespedes)를 잘못 적은 데에서 유래했고, ‘maximowiczii’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막시모위쯔(Maximowicz)를 기념하여 붙인 것이다. 잎은 3개가 모여나는데 잔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는 고운 털이 있다. 6~7월에 피는 꽃은 끝과 밑이 뾰족하다. 꽃은 적자색, 홍자색, 연한 홍색으로 섞여 아름답다. 열매는 9~10월에 콩꼬투리 모양으로 익는다. 수피는 섬유로, 잎은 사료용, 꽃은 밀원식물, 전초는 이뇨제, 신장염 치료에도 사용한다. 회초리, 빗자루, 울타리, 사방조림용으로도 사용한다. 개싸리 htt..
-
모시풀 Boehmeria nivea초목류 wild flower/쐐기풀과 Urticaceae 2008. 8. 16. 15:37
모시풀 China grass. 쐐기풀과 모시풀속의 다년생 초본식물. 모시, 저마(苧麻) , 학명은 Boehmeria nivea (L.) GAUDICH. 동아시아 원산, 키 1.5∼3m.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원형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뿔모양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차례가 엽병보다 짧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다. 줄기를 섬유로 만들어 방직원료로 사용한다. 잎은 모시떡의 주원료로 사용하고, 뿌리를 이뇨 및 통경제로 쓴다. 전라도, 충청남도 등지가 주산지이며 특히 한산모시(韓山紵)가 유명하다. 거북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661 좀깨잎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814 뽕모시..
-
도깨비바늘 Spanish Needle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8. 16. 15:36
도깨비바늘 Spanish Needles,귀침초, 파파침, 맹장초, 참귀사리, 바늘닥사리, 학명 Bidens bipinnata L. 국화과의 일년초. 노란꽃잎이 3~5개, 씨 끝에 3~4개의 가시가 있고 안쪽에 아래를 향한 까끄라기가 있어 옷이나 털에 잘 붙는데서 유래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생즙은 독벌레에게 물렸을 때나 상처에 바른다. 간의 섬유증을 치료한다. 도깨비바늘 http://ktk84378837.tistory.com/3860 http://ktk84378837.tistory.com/2808 https://ktk84378837.tistory.com/1099 울산도깨비바늘 http://ktk84378837.tistory.com/4373 http://ktk84378837.tistory.com/4..
-
며느리밑씻개 Prickle tearthumb초목류 wild flower/마디풀과 Polygonaceae 2008. 8. 16. 15:35
며느리밑씻개에서 암내가 흘렀을까. 나나니등에 한 마리가 날아들었다. 며느리밑씻개 Prickle tearthumb, 자삼(刺蓼), 사광이아재비, 마디풀과 덩굴성 일년초. 사각으로 모가 진 능선을 따라 예리한 갈고리형 가시(逆刺)가 거꾸로 나 있다. 잎자루에 역자(逆刺)가 있고, 탁엽초(托葉鞘)는 신장형(腎臟形)이다. 고부(姑婦)갈등을 반영하는 식물의 이름에는 며느리밑씻개와 며느리배꼽, 이외에도 며느리밥풀 등이 있다. 처가살이하던 시절에는 구부(舅婦)갈등도 있었는지 사위질빵이며 할미밀망 이름을 가진 식물도 있다. 며느리배꼽 http://ktk84378837.tistory.com/1344 며느리배꼽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4866며느리배꼽 & 며느리밑씻개 http://kt..
-
층층[層層]이꽃 littleflower-bugleweed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8. 16. 15:33
층층이꽃 littleflower-bugleweed 층층꽃, 꽃층층이꽃, 자주층꽃, 층꽃, 풍수채(風輸菜). 꿀풀과의 다년초. 고지담(苦地膽), 구탑초(九塔草), 대화풍윤채(大花風輪寀), 풍륜채(風輪菜). 꽃은 7-8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위쪽에 층층이 달리고 붉은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붉은색을 띠며, 5갈래로 갈라지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밀원용이나 관상용, 사료용으로 사용한다. 감기, 개선, 결막염, 소아경풍, 소풍해표, 신장염, 위장염 등에 사용한다. 층층이 http://ktk84378837.tistory.com/4225 http://ktk84378837.tistory.com/2810 http://ktk84378837.tistory.com/624 층층이 & 산층층이 http://ktk84378..
-
덩굴팥 Phaseolus calcaratus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2. 14:54
덩굴팥 Phaseolus calcaratus. 홍두(紅豆), 적두(赤豆), 주적두(朱赤豆),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풀밭에서 길이가 2∼3m 정도 자란다. 어긋나며 달걀꼴 또는 사각 모양의 달걀꼴인 작은 잎이 3장씩 달리고 잎자루가 길다. 8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총상 꽃차례로 1~3개씩 달린다. 양성화이다. 10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새팥과 비슷한 여우팥은 잎이 마름모꼴이다. 씨를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감기, 산후부종, 소변불통, 소종양, 수종, 옹종, 중독, 지방간, 행혈, 황달에 도움을 준다. 열매를 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지만 꽃은 어떻게 구분할까? 꼬투리가 굵고 짧은 것은 콩이고 가늘고 짧은 팥이겠다. 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com..
-
좀깨잎나무 Spicate Falsenettle초목류 wild flower/쐐기풀과 Urticaceae 2008. 8. 12. 14:50
좀깨잎나무 Spicate Falsenettle. 학명 Boehmeria spicata, 쐐기풀과 모시풀속의 낙엽 활엽 반관목. 높이 50 ~ 100cm. 잎은 마주나기하고 사각상 달걀꼴이며 끝이 갑자기 꼬리처럼 길어지고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꽃은 암수한그루 혹은 암수딴그루이며 7~8월에 피며 암꽃차례는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수꽃차례는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긴 거꿀달걀형이고 털이 있다. 어린 순은 봄에 나물로 식용한다. • 왜모시풀 :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 개모시풀 :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 거북꼬리 :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
수염(鬚髥)가래 Lobelia chinensis, Chinese Lobelia초목류 wild flower/숫잔대과 Lobeliaceae 2008. 8. 12. 14:48
수염(鬚髥)가래 Lobelia chinensis, Chinese Lobelia, 사리초(蛇利草), 반변란(半邊蘭), 급해색(急解索), 세미초(細米草), 과인초(瓜仁草), 반변하화(半邊荷花), 카이젤 수염만큼 카리스마는 없어보이지만 뽐새는 비슷하다. 초롱꽃과 숫잔대속의 여러해살이풀. 논둑과 습지에서 3∼15cm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0-20cm로 가지가 갈라지며 밑부분은 누워 자라며 곳곳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9월에 피며, 흰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화관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아래쪽으로 치우치고 좌우대칭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중국에서는 독사에 물리거나 벌에 쏘였을 때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