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비파(枇杷)나무 Liquat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12. 6. 20:55
비파 이파리가 비파(琵琶)를 닮아 비파(枇杷)나무가 되었다던가. 이유미에 의하면 중국의 옛 이야기가 전해온다. 조조가 이 나무열매를 아껴 그 수를 헤아린 후 보초를 세워 지켰는데, 한 병사가 몰래 따먹었다고 한다. 돌아와서 비파의 열매 수가 모자람을 안 조조는 “나무가 여러 불화의 원인이 되니 베어버리라”고 말했다. 열매를 따먹은 병사는 “맛있는 열매가 달리는 나무를 왜 아깝게 베어버립니까”라고 한마디를 했다. 그러자 조조는 이내 그 병사가 범인임을 알고 죄를 내렸다는 이야기이다. 말을 아끼라는 교훈이 비파나무의 맛있는 열매 속에 담겨 있는 것이다. 요즘은 웰빙시대의 귀족 과일로 개발되어 완도 고흥 등 남부 지역에서 재배가 늘어나고 있다. 비파[枇杷]나무 Loquat, Japanese-medlar. 학명..
-
분홍찔레 Rosa rubiginos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11. 17. 21:15
분홍찔레 sweet briar. 학명 Rosa rubiginosa L.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 유럽 서아시아 원산. 높이 2~3m. 줄기에는 선모가 있고 가시가 많이 난다. 소엽은 5~9개이며 난형이고 선모가 있으며 톱니가 있고 문지르면 사과향이 난다. 5~10월 사이에가지 끝에서 2~7개가 분홍색으로 피며 5개의 꽃잎이며 수술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주황색으로 익는다. 한밭수목원. 돌가시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220 http://ktk84378837.tistory.com/106 http://ktk84378837.tistory.com/2161 찔레꽃 http://ktk84378837.tistory.com/1477 열매 http://ktk84378837.ti..
-
오엽딸기 Five-palmate-leaf rasp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9. 14. 16:35
오엽딸기 Five-palmate-leaf raspberry.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아관목(亞灌木). 높이 10-20㎝. 잎은 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손모양겹잎으로 결각상이며 겹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짧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려서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은 5개이다.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두릅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168 http://ktk84378837.tistory.com/4605 독활 http://ktk84378837.tistory.com/4147 http://ktk84378837.tistory.com/2660 오갈피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884 http://ktk84378837.tistory.com/592 h..
-
큰뱀무 씨방 Geum aleppicum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8. 28. 22:45
큰뱀무 Geum aleppicum Jacq. 장미과 뱀무속의 다년초. 높이가 30-100cm. 전체에 옆으로 벌어진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수과, 겉에 황갈색 털이 있다. 잎은 식용하고 全草(전초)를 五氣朝陽草(오기조양초)라 하며 祛風(거풍), 除濕(제습), 活血(활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큰뱀무 씨방 http://ktk84378837.tistory.com/1141 큰뱀무 http://ktk84378837.tistory.com/731 http://ktk84378837.tistory.com/2186 미나리아재비 http://ktk84378837.tistory.com/272 털미나리아재비 http://ktk84378837.tistory.com/8..
-
산(山)오이풀 Korean mountain burnet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8. 25. 17:09
산(山)오이풀 Korean mountain burnet. 옥찰(玉札), 백지유(白地楡), 삽지유(澁地楡), 학명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백지유(白地楡, Bai-Di-Yu), 산자(酸赭), 지유(地楡), 황근자(黃根子), 장미과 오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60cm 정도며 털이 없다. 4~6쌍의 소엽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경생엽은 보다 작다. 8~9월에 개화하는 가지 끝에 달리는 원주형의 꽃차례는 길이 5~10cm 정도이고 홍자색의 꽃이 위에서부터 핀다. 수술이 6~12개이고 잎의 톱니가 크고 포가 크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모든 오이풀의 근경을 地楡(지유)라 하며 대장염, 대하증, 동상, 비뉵혈, 산후복통, 살갗이 튼 데, ..
-
서양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8. 25. 16:31
서양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는 1.5∼2m. 줄기는 밤색이며 광택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길이 4∼4.5㎝ 정도이다. 잎의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곁눈은 꽃으로 되고 4∼5월에 짧은 가지에서 4∼6개의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털이 있다. 꽃잎은 흰색/분홍색이고 5개로서 거꿀달걀꼴이거나 타원형이며 길이 4∼6㎜이다. 암술대는 수술보다 짧으며 열매는 골돌로서 털이 없고 9월에 익는다.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팝나무라고 하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359 http:..
-
물양지(陽地)꽃 Potentilla cryptotaeniae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8. 25. 16:29
물양지(陽地)꽃 Marsh cinquefoil, nippon-cinquefoil. 학명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지봉자(地蜂子), 치자연(雉子筵), 장미과 양지꽃속의 다년초. 높이 30~100cm. 깊은 산 기슭의 냇가에서 자라며 7-8월에 황색으로 핀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구내염, 구충, 복통, 설사, 이질, 지혈, 창독, 항균, 해독에 도움을 준다. 양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1571 http://ktk84378837.tistory.com/2532 솜양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4712 세잎양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803 세잎양지꽃 http://ktk84378..
-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8. 25. 16:28
고산의 습지에 사는 물싸리는 장미과다. 물은 습지에 서식한다는 뜻이나 싸리는 무얼까. 본래 싸리나무는 콩과이니 장미과의 물싸리와는 연결 고리가 없다. 일본에서 금노매(金露梅)라 하니 금빛 이슬 머금은 매화다. 쉽게 말해 매화를 닮은 노란꽃 즉 노란매화이다. 그렇다면 '싸리'는 어데서 왔노? 물싸리 Shrubby cinquefoil. 학명 Potentilla fruticose, 장미과 양지꽃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5m. 잎은 어긋나기로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3~7개(보통5개)이며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 잔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황록색이다. 수과는 달걀꼴로 7 ~ 9월에 성숙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은물싸리라고 한다. 물싸리 http://ktk843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