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7. 21. 12:43
멍석딸기 Small-leaved raspberry, 백사파(白蛇波), 홍매소(紅梅消), 번둥딸기, 멍두딸기, 덤불딸기, 학명 Rubus parvifolius. 장미과 >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0cm. 꽃은 5 ~ 6월에 피고 연분홍색이며 꽃잎은 붉은색이며 위를 향한다. 열매는 둥글며 붉은색으로 7 ~ 8월에 성숙한다. 全草(전초)는 호전표라 하며 생약명은 산매(山莓)인데 吐血(토혈), 打撲刀傷(타박도상),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이질, 痔瘡(치창), 疥瘡(개창), 나력을 치료한다. 거제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4462 맛노랑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694 곰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
-
털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7. 21. 12:37
딱지꽃 Chinese cinquefoil. 갯딱지, 딱지, 호미초(虎眉草), 계조초(鷄爪草), 번백초(翻白草), 소모약(小毛藥), 위릉채(萎陵菜)·동녹풀. 학명 Potentilla chinensis. 장미과의 다년초. 잎은 어긋나며 15~29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6~7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피고 7~9월에 열매가 익는다. 딱지는 상처가 아물면서 생기는 막, 종이를 접어 만든 장난감, 영수증이나 공문서의 속어, 거북이나 갑각류의 등을 감싸는 껍질 등을 이른다. 딱지꽃은 무슨 유래를 가지고 있을까?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주로 신경계, 순환계 질환, 거풍, 지혈, 해독,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 딱지꽃 http://ktk84378837.tistory.com/4114 http://ktk..
-
앵두(櫻桃) Prunus tomentos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7. 10. 21:49
앵두는 한자어 앵도(櫻桃)에서 왔다.음운학상으로는 모음조화 때문이다. 앵두 같은 입술은 얼마나 선정적이냐. 앵두나무 Prunus tomentosa, Nanking Cherry.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학명 Prunus tomentosa 앵도(櫻桃)>앵두가 되었다. 키는 3m.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1~2송이씩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한국과 중국이 원산. 조선시대 양반가에서는 형제의 우애를 상징하므로 앵두나무를 심었다. 한방에서는 앵두가 청량제이고, 독이 없으며 비기(脾氣)를 돕고 안색을 곱게 만든다고 한다. 앵두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27 http://ktk84378837.tistory.com/1606 http://ktk84378837.tist..
-
쉬땅나무 False spirae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6. 29. 09:39
쉬땅나무 False spiraea. 장미과 쉬땅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개쉬땅나무, 청쉬땅나무, 밥쉬나무, 성모진주매, 학명 Sorbaria sorbifolia (L.) 높이 2m. 작은 잎은 13-23장이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고 지름 5-6mm이다. 수술은 40-50개이며 꽃잎보다 길다. 열매는 골돌이며, 긴 원형이고 9월에 성숙한다. 경피(莖皮)를 진주매(珍珠梅)라 하며 活血(활혈), 祛瘀(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어 골절, 타박상을 치료한다. 꽃모양이 수수의 이삭을 닮아 쉬땅나무 혹은 수수깡을 닮았는데 평안도 사투리가 "쉬땅"이라서라는 출처 불명의 유래가 전한다. 개쉬땅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767 h..
-
가락지나물 Anemone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6. 6. 21:50
가락지나물 Creeping cinguefoil. klein-cinquefoil, 쇠스랑개비. 지오가(地五加), 오성초(五星草), 사가(蛇街), 사함(蛇含), 포지위릉채(匍枝委陵菜), 학명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장미과의 다년초. 습기가 많은 산기슭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다섯 갈래로 갈라진 잎의 모습이 손가락을 편 모양이서 유래된 이름이다. 어떤 이는 이 꽃으로 가락지를 만들어 끼었다, 꽃의 모습이 가락지 같다든가 하는 유래를 이야기 하는데 설득력이 약하다. 쇠스랑개비라고도 하는데 이는 농기구의 일종인 쇠스랑(소시랑)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나물이므로 어린 잎을 식용할 수 있다. 전초 말린 것을 사함(蛇含)이라 하여 발열, 경기, 인후염, 종기, 습진에 처방한다. 짓 찧어 그..
-
개소시랑개비 spreading 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6. 5. 09:36
개소시랑개비 carpet-cinquefoil, spreading cinquefoil, 큰양지꽃, 수소시랑개비, 개쇠스랑개비. 조천위릉채(朝天委陵菜). 학명 Potentilla supina L. 본초명 복위릉채(伏委陵菜), 치자연(雉子筵). 장미과 양지꽃속의 한두해살이풀. 원줄기는 30~60cm. 모여 나는 근생엽과 어긋나는 경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2~4쌍의 소엽이 있다. 5~7월에 개화하며 꽃은 황색이다. 7-10월에 익는 열매는 수과, 끝에 가로로 난 날개가 있다. 어린순을 식용하고 건위, 보음도, 산증, 익중기, 폐결핵에 효능이 있다. 개소시랑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108 http://ktk84378837.tistory.com/1448 좀소시랑개비 http://k..
-
찔레꽃 baby brier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5. 27. 21:59
찔레꽃 baby brier. 상장미(棠薔薇), 야장미(野薔薇), 들장미, 학명 Rosa multiflora. 학명 Rosa multiflora Thunb. 장미과 장미속의 낙엽성 관목. 높이 2m. 소엽은 5 ~ 9개로 타원형이며 꽃은 5월에 개화하며 지름 2cm로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로 붉은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열매는 영실(營實)이라 하여 “각종 종기와 성병이 낫지 않는 것과 머리에 나는 부스럼과 백독창(白禿瘡) 등에 쓴다.” 뿌리는 “열독풍으로 종기가 생긴 것을 치료하며, 적백이질과 혈변으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고, 어린이가 감충(疳蟲)으로 배가 아파하는 것을 낫게 한다.” 薔薇花(장미화)는 暑熱吐血(서열토혈), 口渴(구갈), 瀉痢(사리), 말라리아, 刀..
-
흰해당화 海棠花 Rosa rugosa alb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0. 5. 27. 21:47
해당화 海棠花, 학명 Rosa rugosa f. alba. 배회화(徘徊花), 玫瑰),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바닷가의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잘 자란다. 키 1∼1.5m. 어긋나며 5∼9개의 작은 잎은 거꿀달걀꼴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5∼7월에 6~9cm인 짙은 홍색 또는 붉은 자주색의 오판화가 새로 나온 가지 끝에 1∼3송이씩 달려 피는데 향기가 진하다. 꽃잎은 5개인데 넓은 거꿀달걀꼴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은 많고 꽃밥은 황색이다. 8월에 지름 2~3cm의 둥근 수과가 달려 황적색으로 익는데 흰 씨가 6~8개 들어 있다. 꽃은 향수의 원료로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뿌리를 매괴근(玫瑰根)이라 하며 주로 운동계, 부인과 질환을 다스리며, 혈증에 효험이 있다.해당화 http://ktk8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