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
판목 板木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8. 9. 21:15
상제집략 판목(喪祭輯略 板木) 유형문화재21호. 벼슬 않고 오직 성리학과 문학에만 전념한 무와(無窩) 권순경(權舜經, 1676-1744)의 글을 새긴 판목으로 모두 66판 132으로 이루어졌다. 총4권으로 1-3권은 상례, 4권은 제례로 사계 김장생이 펴낸 상례비요와 함께 우리나라 전통 상제례에 관한 사항을 계통적으로 정리해 연구의 중요한 자료다. 판목의 본체는 배나무, 마구리는 소나무로 되어 있다. 선사박물관 보존되어 있다. 서구 흑석동산97 용천연고 판목(龍川聯稿 板木) 유형문화재22호. 용천연고는 권순경(權舜經, 1676-1744)이 저술한 권1무와고(無窩稿), 동생 권순기(權舜紀)가 지은 권2 약계교(藥溪稿), 차남 권흡)權熻)의 글을 모은 권3오헌고(捂軒稿) 등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863..
-
영양 서석지(英陽 瑞石池)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5. 22. 11:33
경정(敬亭) 연못을 중심으로 서쪽에 경정, 북쪽에 주일재가 배치되어 있다. 주일재(主一齋) 정영방은 성리학자다. 돌 하나, 나무 한 그루, 꽃과 풀, 모든 물상이 성리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는 자신의 원림을 이루는 모든 것에 이름을 부여하고 '경정잡영(敬亭雜詠) 32수를 시로 남겼다. 경북 영양 연당리에서 태어나고 자란 정영방 선생의 12대 후손 안동대교수 정영수가 『시와돌의정원』을 헤르몬하우스에서 출간하였다. 경정 모서리에서 후문과 헛간과 방이 보인다. 경정 : 지당을 내려다보며 인품을 수양하는 정자, 주일재: 사우단에 접한 서재, 서하헌 : 주일재 한쪽에 있는 노을이 깃든 마루, 사우단 : 매,송,국,죽의 네 벗을 위해 쌓은 단, 서석지 : 상서러운 돌이 가득한 지당, 정문 : 서석지 옆 경..
-
나성동 독락정(獨樂亭) 역사공원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5. 11. 18:12
독락정(獨樂亭). 2013년 겨울에 와서 일출촬영을 한 기억이 있다. 고려 후기 충신이자 부안임씨 전서공파 파조인 임난수(林蘭秀 1342~1407) 장군의 절개와 의리를 기리기 위하여 아들 임목이 조선 세종 19년(1437)에 지은 정자로 그 후 여러 차례 고쳤다. 임난수 장군은 고려 공민왕 때 최영 장군과 함께 탐라를 정벌하여 큰 공을 세우고 전서(각부의 장관)의 벼슬에까지 올랐으나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한 하늘에 두 임금을 모실 수 없다 하여 벼슬을 사양하고 지금의 세종시 연기면 양화리로 낙향하여 생애를 마쳤다. 독락정은 생사축와형(生蛇逐蛙形,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고자 강가까지 쫓아 내려온 형국)으로 금강가 언덕 끝에 금강을 내려다보고 서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으로 후열 가운데 ..
-
동학사(東鶴寺) 숙모전 삼은각 동계사 춘향대제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5. 5. 16:05
동학사(東鶴寺) 숙모전에서 숙모전 삼은각 동계사 춘향대제(음력3월15일) 소식이 있어 내달렸다. 추향대제는 10월24일. 오늘부터 조계종 산하 65개 전국의 사찰에서 문화재관람료가 면제되어 무료 입장이다. 숙모전 삼은각 동계사가 있으므로 서원이나 향교가 아닌 사찰에 홍살문이 있는 이유이다. 사잣밥 / 이재봉 어머니의 밥그릇엔 항상 밥이 남아있었다 식사를 하실 때마다 밥 한 숟갈을 남겨놓곤 하셨다 봄비가 하염없이 내리던 삼우제날 어머니 무덤에 어머니가 남겨 놓은 사잣밥을 가득 차려놓았다 -시집명 : 지구의 아침, 2023, 부크크 숙모전 제관 명단. 숙모전(肅慕殿). 충남문화재자료 67호. 숙모전은 단종(端宗)과 정순왕후(定順王后)를 모신 정전(正殿)과 그 양 옆으로 당시 충의절신들을 모신 동ㆍ서의 양무(..
-
김집(金集) 사당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3. 31. 17:02
김집(金集) 사당. 연산면 임1길 109 성태봉 아래 외길을 돌고 돌아 찾았다. 외삼문이 반기는데 차 두어 대가 주차해 있으니 촬영에 방해가 된다. 홍살문이 보인다. 1990년에 중건하였다. 홍살문은 홍전문(紅箭門), 홍문(紅門)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의 전통 대문(大門)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어떤 지역이 신성하거나 구격(具格)이 맞는 장소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지로 세우던 문이다. 이런 붉은 문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왕릉과 같은 묘지나 향교, 서원, 궁궐 및 관아 등의 정문에서 볼 수 있다. 안채 행랑채 행랑채 사이로 보이는 안채 김집 사당, 충남도문화재자료 제24호. 본래 돈암서원 옆에 있었는데 1880년(고종17)에 연산 임리 숲말에 있던 돈암서원을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함께 옮겨와 김집 종가 뒤편..
-
하동 악양루(岳陽樓)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3. 3. 19. 19:30
하동에 악양루가 있었어? 북새통인 홍쌍리매실가에서 놓친 단체기념사진을 촬영할만한 곳에 내려 달라는 부탁을 잊지 않고 내린 곳이 여기다. 기사가 초행길이라니 알고 멈춘 곳은 아니겠지만 눈썰미가 있어 보였다. 얼마나 고맙던지 내리면서 인사를 하였다... 하동 동정호(洞庭湖)와 악양루(岳陽樓), 1937년 지역인사 손영민, 이태성, 박준구가 아미산 아래 중건하고 10년 뒤 미점리 도로변에 있던 것을 2012년 동정호가 있는 이곳으로 이건하였다. 하동 악양루를 유호인이 노래하였다. 등악양루登岳陽樓 / 뇌계㵢谿 유호인兪好仁(1445~1494) 형초등림지(荊楚登臨地) 남쪽 하동의 악양루에 올라와 보니 군산일발흔(君山一髮痕) 군산은 터럭처럼 보일 듯 말 듯하네 조회침곤축(潮回浸坤軸) 조수는 돌아들어 지축을 푹 적시고..
-
최익현 선생 묘(崔益鉉先生墓)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2. 12. 8. 23:22
최익현선생묘(崔益鉉先生墓). 조선 후기의 학자이며 충신이었던 면암(勉菴) 최익현(1833∼1906) 선생의 묘소이다. 어렸을 때부터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고 14세 때 대학자 이항로 선생의 가르침을 받아 철종 6년(1855)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종 10년(1873)에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재건과 서원 철폐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려 대원군 정권이 무너지는 계기를 마련했으나, 상소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그 후 3년간의 유배생활을 통해 관직생활에 대한 뜻을 접고 위정척사론자로서의 길을 선택하였다. 이 후 일본과의 강화도 조약 체결, 단발령 실시, 불법적인 을사조약 체결 등을 반대하는 상소를 통해 강력한 위정척사론을 주장하면서 나라의 자주권을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1906년 제자 임병찬과..
-
영주 소수서원 紹修書院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2. 10. 21. 21:02
경염정(景濂亭)과 은행나무 보호수. 경염정은 휴식공간으로 원생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정자로 중종38년(1543)에 백운동서원과 함께 건립되었다. 경염(景濂은 북송의 염계 주돈이를 추모한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오마이뉴스에서는 이를 두고 '사대의 냄새가 스며 있다'고 하였다). 현판 중 해서 현판은 이황의 글씨이고 초서 현판은 이황의 제자인 고산 황기의 글씨이다. 내부에는 이황, 주세붕의 시판이 걸려 있다. 경렴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죽계를 끼고 주변을 조망하기에 좋아 원생이나 유림의 모임은 물론 시화개최, 풍류와 심신 수양의 공간이 되었다. 은행나무 보호수. 지정번호 11-28-8-14 지정일자 1982 수령500년, 소재지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84 부후부(腐朽部)를 방부처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