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미꽃 Pulsatilla koreana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5. 17. 08:47
할미꽃을 보면 거짓말 쬠 보태서 눈물이 울컥 솟는다. 직장 잡고 첫 해 겨울방학. 혼자 몸에 객지서 뭐 하나 부모님 할머님 계신 고향집엘 가야지. 그런데 이상도 하지 가기가 싫은 거야. 일주일을 버티다 아무래도 의무감 같은 것이 꿈틀거려 도저히 참을 수가 없어 갔지. 그런데 할머님께서 곡기를 끊고 누워계신지 일주가 됐다는 거야. 병원엘 모시고 갔으면 좋겠는데 난 아버님에게 미루고 있었지. 할머니는 딱 일주 후에 세상을 뜨셨어. 나의 팔할을 길러주신 할머니는 그렇게 가셨어. 이후 한동안 나는 무척이나 괴로워 했지. 할미꽃 http://ktk84378837.tistory.com/347 http://ktk84378837.tistory.com/3189 http://ktk84378837.tistory.com/45..
-
솜방망이 ragwor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16. 12:49
솜방망이 ragwort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구설초(拘舌草), 산청채(山靑菜), 정미청(精米靑), 풀솜나물이라고도 한다. 학명 Tephroseris kirilowii 전체가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여 있어 솜방망이라고 부른다. 건조한 양지에서 높이 20∼65cm까지 자란다. 원줄기에 흰색 털이 빽빽이 나고 자줏빛이 돈다.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꽃 부분을 거담제로 사용한다. 높은산 습지에서 자라는 물솜방망이, 솜털이 없는 민솜방망이, 잎이 가는 가는솜방망이 등이 있다. 솜방망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307 http://ktk84378837.tistory.com/4598 http://ktk84378837.tistory.com/3192 물솜..
-
장대나물 Tower Mustard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5. 16. 11:11
한국특산종으로 참장대나물이라고도 한다. 장대나물 Tower Mustard. 학명 Arabis glabra Bernh., 북한명 깃대나물. 본초명 남개채(南芥菜), 십자화과 장대나물속의 두해살이풀. 높이가 60~120cm.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며 첫 해에는 로제트형이고 이듬해에 추대하여 자란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경생엽은 털이 있으나 윗부분의 경생엽은 털이 없고 작아진다. 5~6월에 총상꽃차례에 백색의 꽃이 핀다. 각과는 길이 4~6cm 정도이며 원줄기와 평행하고 2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흩어진다. 이 외에도 두해살이풀인 자주장대나물이 있다. 장대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1456 http://ktk84378837.tistory.com/3193 산장대 http://ktk..
-
산달래 Allium macrostemon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5. 16. 11:01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소산(小蒜), 야산(野蒜), 산산(山蒜) 등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는 5∼12cm이고 여러 개가 뭉쳐난다. 잎과 알뿌리 날것을 오이와 곁들여 소금과 고춧가루 뿌리고 기름 한 숟가락 넣어 무침으로 먹는게 개인적으로 젤 맛있다. 또한 된장국이나 찌게에 넣어도 그 향기로운 맛에 혓바닥이 녹아난다. 마늘의 매운맛 성분인 알리신이 들어 있어 약간 맵다. 비늘줄기를 소산(小蒜)이라 하여 여름철 토사곽란과 복통을 치료하고, 종기와 벌레에 물렸을 때 쓰며, 협심통에 식초를 넣고 끓여서 복용한다. 대파 http://ktk84378837.tistory.com/293 차이브 골파 http://ktk84378837.tistory.com/4642 산부추 http://ktk84378837..
-
컴프리(comfrey)초목류 wild flower/지치과 Borraginaceae 2008. 5. 16. 10:41
컴프리 comfrey. 러시안컴프리, 학명 Symphytum officinale ,유럽이 원산인 지치과 컴프리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60∼9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거친 흰색 털이 빽빽이 있다. 7~8월에 피는 꽃은 자주색, 연한 홍색, 백색 등이며 밑을 향한다. 열매는 4개의 분과로 되며 분과는 난형이다. 뿌리와 잎을 식용하기도 한다. Comfrey는 프랑스어로 '병을 다스린다'뜻 "기적의 풀", "밭의 우유', 야채의 왕" 등으로 불리울 만큼 영양성분이 뛰어난 영초(靈草)이다. 잎과 뿌리를 감부리(甘富利)라 하여 건위에 효과가 있고 소화 기능을 향상시키며, 위산과다, 위궤양, 빈혈, 종기, 악창, 피부염에 사용한다. 모래지치 http://ktk84378837.tistory.com/1493..
-
구천폭포(九泉瀑浦)와 계곡풍경 landscape 2008. 5. 14. 15:04
ND필터가 있었으면 했는데 CPL 필터로 아쉬움을 달랬다. 봄가뭄이 심해서 수량이 부족하다. 무주 구천동. 무주구천동 / 강해림 내 가는 길이 길이거니, 첩첩산중 마음이 내어준 구불텅한 길 따라 가을 숲길을 걸었습니다 스쳐지날 때마다 산죽(山竹)은 물결소리를 냅니다 혹 잘못 들어선 길은 아닌지, 염(念)도 행려도 물소리에 실려가고 어디론가 가야겠는데 저 반쯤 채색한 시간이 풀어내는 그늘 속에서 잠시 서 있었습니다 왜 산은 저 잡목들 무수히 방목하고도 품안에 든 가파름 하나로 화엄에 들지 못하고 메아리만 키우는지, 숲속의 길들은 모두 산정으로만 닿아 있는지 내 의문 속 뒹구는 도토리들 도란도란 저희들끼리 다정합니다 나무들 비탈에 서서 다시 신열에 뜨고, 단 한번도 제 의지대로 타오르지 못한 내 마음 골짜기..
-
팥배나무 Korean Mauntain Ash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4. 14:31
팥배나무 Korean Mauntain Ash, 학명 Sorbus alnifolia. 감당(甘棠), 당이(棠梨), 두이(豆梨). 화추(花楸). 장미과 마가목속의 교목. 열매자루에 팥배 열매가 수백 수천 개씩 열려 있는 모습은 흔한 표현으로 가히 환상적이다. 꽃은 하얗게 피는 모습이 배나무 꽃을 닮았다 하여 팥배나무라 부른다. 열매는 작아도 배나 사과처럼 과육을 가진 이과(梨果) 다. 과실을 水楡果(수유과)라 하며 血虛(혈허)로 인한 勞倦(노권-過勞(과로))을 치료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돌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38 팥배나무 http://k..
-
야광나무 Siberian Crab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4. 14:06
야광나무 Siberian Crab, 亞棠梨, 당리자, 평과목, 장미과 사과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야광나무는 밤에 야광주와 같은 빛을 낸다는 뜻이다. 5월경 야광나무는 온통 흰 꽃으로 뒤집어쓴다. 잎과 함께 피므로 초록색이 조금씩 섞여 있기도 하다. 키 10여 미터, 지름은 한 뼘이 넘는다. 중부지방의 산에서 흔히 만날 수 있으며, 화려하고 예쁜 꽃으로 벌을 불러들여 수정을 하는 대표적인 충매화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고, 다섯 장의 꽃잎이 펼쳐지면 지름이 3센티미터 정도 된다. 열매는 콩알만 한 크기이며 붉은빛이 노랗게 익는다. 긴 열매 자루에 3~5개씩 밑으로 처져 초겨울까지 매달려 있어서 산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비타민 C가 풍부하고 食積(식적)을 消去(소거)하고 瘀血(어혈)을 疏散(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