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꾸로여덟팔나비 Araschnia burejana동물 Animal/나비와 나방 butterfly & moth 2008. 5. 19. 11:25
거꾸로여덟팔나비 Araschnia burejana Bremer. 팔자나비, 꺼꾸로여덟팔나비, 5~6월과 7~8월 연 2회 발생한다. 야산의 계곡 주변에 서식한다. 큰까치수영, 쉬땅나무, 고추나무 등의 꽃에서 흡밀하며, 수컷은 습기 있는 땅바닥이나 돌 위에 잘 앉는다. 거북꼬리를 식초한다. 거꾸로여덟팔나비는 나랫날개 끝이 둥글고, 북방거꾸로여덟팔나비는 아랫날개 끝이 각진 부분이 있다. 나비박물관 http://ktk84378837.tistory.com/3830 거꾸로여덟팔나비 http://ktk84378837.tistory.com/3171 http://ktk84378837.tistory.com/4657
-
줄각시하늘소 Pidonia gibbicolis동물 Animal/딱정벌레 beetle 2008. 5. 19. 11:24
줄각시하늘소 Pidonia gibbicolis. 몸길이 8~13mm이다. 어른벌레의 딱지날개에는 세로로 2개의 황갈색줄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가슴은 사다리꼴과 유사하게 생겼으며 약간 찌그러진 형태이다. 긴알락꽃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2223 남색초원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3074 무늬곤봉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1394 민가슴하늘소붙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236 붉은산꽃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2020 벌호랑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3012 줄각시하늘소 http://ktk8437..
-
긴알락꽃하늘소 Leptura arcuata Panzer, 1793동물 Animal/딱정벌레 beetle 2008. 5. 19. 09:47
긴알락꽃하늘소 Leptura arcuata Panzer, 1793. 광대하늘소. 하늘소과. 5~8월에 나타난다. 몸길이 12.0~18.0mm. 머리와 앞가슴등판은 검은색이다. 다리와 더듬이는 연갈색이다. 이마와 정수리에는 큰 점각들이 밀생한다. 딱지날개에는 다양한 패턴의 줄무늬가 있지만, 전형적으로 바탕은 검은색이며, 4개의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찔레꽃을 밝히는가 보다. 하늘소과의 곤충으로 알록달록 이쁜 무늬가 있어 긴알락꽃하늘소라 이름하였다. 긴알락꽃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2223 http://ktk84378837.tistory.com/3173 붉은산꽃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533 http://ktk84378837.tist..
-
암먹부전나비 Cupido argiades동물 Animal/나비와 나방 butterfly & moth 2008. 5. 19. 09:40
먹부전나비과의 암먹부전나비는 날개에 박힌 검정 무늬가 작다. 이에 비해 먹부전나비는 무늬가 굵고 크다. 유충은 토끼풀, 조록싸리,·냉이 ·개망초, 멍석딸기등의 꿀을 빤다. 암먹부전나비 Cupido argiades (Pallas, 1771) . 제비숫돌나비, Short-tailed blue. 암컷의 날개 윗면이 먹처럼 검어서 암먹부전나비라 불린다. 크기 20~30mm. 3~9월 사이에 출현한다. 숲 가장자리의 양지바른 초지에 서식한다. 매듭풀, 갈퀴나물을 식초로 한다. 수컷은 날개 윗면의 색상이 청람색이나 암컷은 흑갈색이다. 나비박물관 http://ktk84378837.tistory.com/3830 먹부전나비 http://ktk84378837.tistory.com/856 암먹부전나비 http://ktk84..
-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5. 17. 11:58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다년초. ‘미나리’와 ‘아재비’의 합성어이다. ‘아재비’가 붙으니 미나리와 모양은 비슷지 않으니 생태가 비슷해서 온 이름일 것이다. 식물에 독성이 있어 잘못 먹었던 아이들이 죽었기 때문에 아이를 잡는 ‘아잽이’란 단어가 붙었다는 설도 있다. 줄기 속이 비어 있어 애기가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다는 뜻으로 애기젓가락풀이라고도 한다. 꽃잎에 광택이 있으므로 유독성 식물이란 뜻이다. 햇볕이 잘 들고 적당히 물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미나리아재비와 같은 속에 속하는 식물에 바위미나리아재비, 구름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 기는미나리아재비, 왜젓가락나물, 개구리자리, 개구리갓, 매..
-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5. 17. 11:56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 길이가 5m. 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로 粘魚鬚(점어수)라는 한자명이 있다. 길이 5m 내외로 벋어가며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고 가지는 딱딱하며 녹색이다. 꽃은 6월에 피고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검은빛의 열매가 아름다우며 생울타리를 만들면 경관이 아름답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852 http://ktk84378837.tistory.com/2321 청미래덩굴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3457 http://ktk84378837.t..
-
벌깨덩굴 Nettle-leaf mint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5. 17. 11:54
벌깨덩굴 Nettle-leaf mint. 줄방아나물. 학명 Meehania urticifolia. 꿀풀목 꿀풀과 벌깨덩굴속의 다년초. 잎은 깻잎을 닮았고 줄기를 뻗으니 벌깨덩굴이라고 하는가? 산지의 응달에서 자라며 네모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린다. 잎은 삼각형의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 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잎 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4송이씩 달리는데 연한 자줏빛이며 자색 점들과 흰 털이 있다. 유사한 종으로는 흰벌깨덩굴과 붉은벌깨덩굴이 있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밀원식물. 벌깨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2199 http://ktk84378837.tistory.com/3178 꽃이름 외우듯이 / 이해인 우리 산 우리 들에 피는 ..
-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08. 5. 17. 11:54
논밭의 언저리에서 나물 같지도 않은 풀이 업신여김을 받았는지나도 나물이라고 소리치고 있다. 학명 Cerastium holosteoides 석죽과의 두해살이풀인 점나도나물은 이채(耳菜), 권이(卷耳), 파파(婆婆), 지갑채(指甲菜)라고도 한다. 학명에 세라스티움(Cerastium)은 그리스어 Cerastes(뿔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니 꽃이 피기전 봉오리의 모습에서 유래된 이름인가 싶다. 일본명인 이채는 잎새 모양이 쥐의 귀를 닮았다는 뜻이겠다. 밭이나 들에서높이 15∼25cm로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가축의 먹이로도 쓰인다. 북점나도나물, 북선점나도나물, 유럽점나도나물, 각시통점나도나물 등이 있다. 유럽점나도나물은 꽃자루가 꽃받침에 비하여 짧고, 점나도나물은 꽃받침보다 길게 나온다. 유럽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