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멍석딸기 Small-leaved raspb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0. 17:23
멍석딸기 Small-leaved raspberry, 백사파(白蛇波), 홍매소(紅梅消), 번둥딸기, 멍두딸기, 덤불딸기, 학명 Rubus parvifolius. 장미과 >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0cm. 꽃은 5 ~ 6월에 피고 연분홍색이며 꽃잎은 붉은색이며 위를 향한다. 열매는 둥글며 붉은색으로 7 ~ 8월에 성숙한다. 全草(전초)는 호전표라 하며 생약명은 산매(山莓)인데 吐血(토혈), 打撲刀傷(타박도상),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이질, 痔瘡(치창), 疥瘡(개창), 나력을 치료한다. 거제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4462 맛노랑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694 멍석딸기 http://ktk84378837.tistory...
-
벌씀바귀 Ixeri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10. 17:02
벌씀바귀 Ixeris. 들씀바귀, 가새씀바귀, 몸에서 나오는 흰 액이 쓰기 때문에 유동(遊冬), 고채(苦菜) 등으로 부른다. 논둑이나 밭둑에서 흔하게 자라는 국화목 국화과 벌씀바귀속의 이년초. 높이 15-40cm. 뿌리잎은 길이 10-20cm,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밑이 화살 모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4-6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노란색 머리모양꽃이 모여서 산방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수과이고 깊은 홈과 날카로운 날개가 있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간경화, 건위, 고미, 구내염, 만성기관지염, 식욕촉진, 이질, 종창, 진정, 청열양혈, 최면, 해독에 좋다. 씀바귀 http://ktk84378837.tistory.com/954 http:..
-
닥나무 Paper Mulberry초목류 wild flower/뽕나무과 Moraceae 2008. 5. 10. 16:32
아시아 원산의 닥나무는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저상(楮桑)이라고도 한다. 닥나무를 이용해 종이를 만들려면줄기를 잘라솥에 넣고 증기로 두 시간 정도 찐 다음 꺼내어 껍질을 벗긴다. 인피섬유(靭皮纖維)라는 이 질기고 튼튼한 짧은 세포는그대로 말리면 흑피(黑皮)라 하여 하급지의 원료로 사용한다. 표피를 긁어 벗긴백피(白皮)는창호지, 서류용지, 지폐 등의 원료로 쓰인다. 610년에 고구려의 담징이 일본에 제지기술을 전수했다는 일본서기의 기록을 보면 종이의 역사가 꽤나 깊다. 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 열매는 양기부족, 수종의 치료제로 쓴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옛날에는 닥나무 껍질의 섬유로 저포(楮布)라는 베를 짰다고 한다. 닥나무 오디는 산딸기와 흡사한데 맛은 달고 부드럽다. 닥나무 Paper Mulbe..
-
자운영(紫雲英) chinese-milkvetch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5. 10. 16:14
자운영(紫雲英) chinese-milkvetch. 원산지가 중국인 자운영은 콩과식물로 미포대(米布垈), 연화초(蓮花草), 홍화채(紅花菜), 쇄미제(碎米濟), 야잠두(紫雲英), 야화생이라고도 한다. 학명 Astragalus sinicus, 키는 10~25cm, 어긋나고 작은 잎 9~11개로 구성된 1회 홀수 깃꼴겹잎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고 녹비로 사용하기도 한다. 풀 전체를 해열, 해독, 종기, 이뇨에 약용한다. 뿌리에 뿌리혹박테리아가 붙어서 공중 질소를 고정시키며 꽃은 중요한 밀원식물이다. 무수동 자운영을 보러가는 중 현수막 홍보물이 나부끼는데 구름이 요동 치고 바람이 심하여 기분은 다운이다.10일(토)부터 제1회 산서동 자운영꽃 축제를 한다기에 그래? 하루 먼저 찾아가면 사람도 없겠다 사..
-
지칭개 lyrate-hemistepta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8. 5. 7. 08:35
지칭개 lyrate-hemistepta. 이호채(泥胡菜).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90~160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 5~7월에 개화한다. 두상화는 연한 자주색이다.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 암갈색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종기, 악창, 유방염 등에 사용한다. 외상출혈이나 골절상에 짓찧어 붙인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치루에 달인 물로 환부를 닦는다. 흰색 꽃이 피는 흰지칭개가 소요산에서 자란다. 지칭개 http://ktk84378837.tistory.com/3238 그래도 만나야 할 사람 - 바람의칸타타. 23 / 송문헌 솔숲을 지나 자색지칭개 오라지게 피어난 들녘 풀숲 돌계단을 내려서는 저 들짐승 흰뼈의 그림자 외..
-
오동나무 Royal Paulownia초목류 wild flower/현삼과 Scrophulariaceae 2008. 5. 6. 19:43
현삼과의 오동나무는 옛 이름이 머귀나무였다. 오동(梧桐:머귀)를 합하여 오동나무라고 불렀다. 한말 가객인 김수장의 시에 이란 시조가 있는데 언어유희가 아주 재미롭다. 머귀 여름은 동실동실 보리 뿌리는 맥근맥근 풋나뭇동과 쓰던 수셤이요 젊은 노송에 작은 대추로다 이중에 계명화죽처는 곳대곳이라 하더라 오동나무 열매인 "머귀 여름"을 한자로 쓰면 동실이 된다. 이것과 오동 열매의 모양을 형용한 의태어 "동실동실"을 일치시켜 부른 것이다. 고려 말의 다정가(多情歌)로 유명한 이존오는 다음과 같이 머귀를 노래였다. 바람에 우는 머귀 베어 내어 줄 매오면 해온남풍(解慍南風)에 순금(舜琴)이 되련마는 세상에 알이 없으니 그를 슬허하노라. 김천택의 시조에도 머귀가 나오는데, 가을 밤 칭 긴 져에 님 싶각이 더욱 깁다 ..
-
덜꿩나무Erosum Viburnum와 둘째아들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08. 5. 6. 17:01
군인 간 둘째로부터 전화가 왔다. 43일만에 들어보는 목소리는 어린 티가 덜 배어났다. 지금은 모르겠는데 신병훈련소에서의 훈련은 좀 빡셌다고 한다. 그 빡셌다는 말이 가슴을 아리게 한다. 첫째는 군산에서 6주만에 정기적으로 휴가를 나왔기에 몰랐던 여린 감정이라고나 할까. 24년 전 내가 가평에 갓 설립된 제3하사관학교에 차출되어 6개월 훈련을 마친 후 면회가 허용되었을 때 아마 살아서 가장 먼 길을 여행하셨을 아버지와 큰고모 두 분이 오셔선 거칠어진 내 손을 보더니 아무런 말도 못하시곤 눈물을 흘리시던 기억이 선연하다. 남들은 육군본부에도 국방부에도 카투사에도 사령부에도 잘 배치되던데 왜 내집 아이들이나 주변 사람들은 모두들 전방부대 근무를 하는 지도 의문이다. 예비군 훈련 첨 나갔을 때 총 구경도 못하..
-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6. 15:02
오이풀 Burnet-bloodwort. 지우초, 수박풀, 외순나물, 학명 Sanguisorba officinalis L. 샐러드의 재료로 사용해서 salad burnet. 산지의 물 빠짐이 좋은 풀숲에서 자란다. 잎을 뜯어 비비면서 냄새를 맡으면 오이 냄새가 나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150㎝. 7~9월에 붉은색 꽃이 피고 하나의 긴 꽃대 주위로 꽃자루가 없는 것들이 많이 달린다. 드라이플라워(dry flower)처럼 종이 같은 질감이 난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사각형이다. 오이풀은 맛은 쓰고 달고 시며 뿌리는 지유(地楡)라고 하여 지혈 해독 수렴 소종작용을 한다. 낭창낭창하기로는 가는오이풀, 시원하게 생긴 녀석은 큰오이풀, 멋을 한껏 부린 산오이풀, 긴오이풀이 있는데 가장 멋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