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
목화 Gossypium hirsutum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12. 8. 21. 20:26
목화[木花] cotton. 면화(綿花), 학명은 Gossypium hirsutum L. (구 Gossypium indicum LAM.) 아욱과 목화속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90㎝. 열대에서는 다년생 목본식물로 180∼210㎝. 아프리카 남부 인도 원산. 인도에서는 기원전 3천년부터 재배되었으며, 《고려사》에 우리나라는 1363년(공민왕 12)문익점(文益漸)이 원나라에서 씨앗을 가져와 장인인 정천익(鄭天益)이 경상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서 처음 재배하였다. 꽃은 7월 하순에서 8월 하순에 걸쳐 개화하며, 꽃봉오리가 맺히고 난 뒤 꽃이 피기까지는 약 30일이 소요된다. 꽃에는 5매의 꽃잎과 3매의 꽃받침, 1개의 암술 및 약 130개의 수술이 있다. 자가수정을 한 후 커진 자방을 다래라 한다. 경산 전라에서..
-
무. 궁. 화. 꽃. 이 피었습니다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12. 7. 24. 22:20
무궁화 http://ktk84378837.tistory.com/2 1902년 대한제국 시절 프란츠 에케르트가 지은 최초의 애국가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사? / 셩슈무강(聖壽無疆)하사 / 해옥듀(海屋籌)를 산(山)갓치 싸으시고 / 위권(威權)이 환영(?瀛)에 뜰치사? / 오쳔만셰(於千萬歲)에 복녹(福祿)이 / 일신(日新)케 하소셔 /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에는 무궁화가 없다. 윤치호 작사한 것을 1936년에 안익태가 작곡하고 1948년 광복 이후 처음으로 불려졌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무궁화가 나라꽃으로 지정된 바는 없으나 월간 가드닝 2016년 8월호 최창호(천리포수목원 기획교육연구부장)에 의하면 "구한말 한국에서 20년을 살다 간 영국인 신부 리처드 러트..
-
수박풀 bladderweed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10. 7. 26. 12:27
수박풀 bladderweed, venice-mallow. 조로초(朝露草), 미호인(美好人), 야서과(野西瓜), 학명 Hibiscus trionum, 아욱과 무궁화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30-60cm, 흰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아래쪽 것은 난상 원형으로 갈라지지 않고, 중앙의 것은 5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위쪽의 것은 3갈래로 완전히 갈라진다. 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자루 끝에 1개씩 피며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전초(全草)를 野西瓜苗(야서과묘)라 하며 風熱咳嗽(풍열해수), 관절염, 화상을 치료한다. 잎이 수박의 그것과 흡사하므로 수박풀이라 한다. 수박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263 http://k..
-
벽오동(碧梧桐) & 오동(梧桐)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9. 9. 14. 17:06
벽오동(碧梧桐)은 아욱목 아욱과(벽오동과). Chinese parasol tree, 학명 Firmiana simplex . 오동(梧桐))나무는 통회식물목 현삼과. Korean Paulownia, 학명 Paulownia coreana, 아비도 어미도 다른 모양인데 이파리가 비슷하다고 우리나라 이름만 형제가 되었다. 중국과 일본에서의 오동나무는 벽오동을 뜻한다. 대나무 열매를 먹으며, 오동나무에 둥지를 튼다는 봉황은 벽오동을 뜻하는 것일 게다. 벽오동 https://youtu.be/E7zMbZhqvPs 일본 주화(鑄貨, coin)의 도안이나 총리의 문장(紋章)으로 사용하며, 화투 11월에 그림도 벽오동나무를 상징한 것이다. 벽오동 푸른 잎 / 강영환 꽃같던 함경도 아지매가 피난지 부산에서 허리 굽은 노파로 ..
-
어저귀 China jute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9. 8. 24. 11:33
어저귀 China jute, velvetleaf, 학명 Abutilon theophrasti Medicus, 경마(苘麻), 백마(白麻), 청마(靑麻), 아욱과의 한해살이풀로 인도가 원산.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00~200cm 정도이고 전체가 털로 덮여 있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심장상 원형으로 둔한 톱니가 있다. 8~9월에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배주 및 종자는 자방의 각실 및 분과에 수 개씩 들어 있으며 식물체 전체에 잔털이 밀생한다. 씨는 경실(苘實)인데 감기, 난산, 두통, 명목, 보혈, 설사, 시력감퇴, 신경통, 옹종에 사용한다. 어저귀가 뭐냐 기저귀와 관련 있을까? 구한말 또는 일제 초기에 멕시코로 이주한 한인 노동자들이 그곳에서 섬유작물로 재배되던 '에네껜'..
-
미국부용(芙蓉) Hibiscus oculiroseus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9. 7. 31. 13:22
미국부용 Rose mallow, Swamp rose mallow, Hibiscus oculiroseus Briton, 풀부용. 아욱과의 초본. mallow는 아욱이며 라틴어의 Hibiscus다. Swamp는 습지다. 꽃 색은 빨강색, 진분홍색, 분홍색, 흰색, 혼합색 등이 있다. 미국부용의 잎은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이에 비해 중국이 원산인 아욱과의 목부용 Hibiscus mutabilis. 부용(芙蓉)은 연꽃의 다른 이름이기도 한데 여기서는 연꽃을 닮은 나무꽃이라 하여 목부용이다. 유입된 지가 꽤 되었나 여기 저기 가로수로 꽃길을 조성한 데가 많다. 임보나 홍해리 시인은 부여 가는 길가에 심은 부용이 인상적이었나 보다. 임보는 흰 부용꽃을 보고 부소산(扶蘇山)의 혼백이라 비유했고, 홍해리는 5..
-
난쟁이아욱 Dwarf Mallow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9. 7. 27. 14:26
난쟁이아욱 Dwarf Mallow, 학명 Malva neglecta. 아욱과 아욱속의 두해살이풀. 길이 50㎝. 원형의 잎몸이며 기부는 깊은 심장형이다. 꽃은 마디에 2-5개 피고 백색 또는 홍자색의 맥이 있어 담홍자색을 띤다. 열매는 12-15개의 분과로 이루어진다. 표면에 털이 많다. 난쟁이아욱 : 꽃잎은 길이 1㎝내외로 꽃받침 길이의 2배이며 기부에 털이 없다. 수박풀 http://ktk84378837.tistory.com/2076 http://ktk84378837.tistory.com/1263 http://ktk84378837.tistory.com/3911 난쟁이아욱 http://ktk84378837.tistory.com/2051
-
수박풀 Hibiscus trionum초목류 wild flower/아욱과 Malvaceae 2009. 7. 9. 11:40
아욱과의 오이풀은 상긋한 오이냄새가 난다. 생강나무는 매콤하고도 향긋한 생강냄새가 난다. 수박풀은 수박냄새가 나지는 않는다. 수박풀은 단지 수박의 잎을 닮았을 뿐이다. 수염가래꽃이 수염처럼 생겼기에 붙은 이름과 같다. 2년 전이던가 대사연 1박2일 영월 촬영이 있었다. 동강사진축제를 볼겸 한반도 지형을 담아보기로 했다. 비가 억수로 쏟아지는 바람에 1박은 못하고 밤을 달려 내려온 아쉬운 날이었다. 점심을 곤드레나물밥으로 먹고 나왔는데 동강 물줄기를 바라보는 언덕에 수박풀이 보였다. 마침 열매가 맺혔기에 씨앗을 받아 정원에 뿌려보았다. 정원은 생땅이라 두어뼘 크다가 성장판이 닫히고 말았다. 게다가 방역을 자주 해 모기며 벌이며 나비며 살아있는 것이 없으니 꽃은 핀다 할망정 에휴, 저게 어찌 씨앗을 맺을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