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7. 8. 22. 22:28
여우콩 Winding snoutbean. 야황두(野黃豆), 야록두(野錄豆), 모야편두, 녹곽(鹿藿), 개녹곽(鹿藿), 학명 Rhynchosia volubilis Lour. 녹두, 야녹두, 야모두, 야황두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덩굴에는 밑을 향한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3개로 되어 있다. 꼬투리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2개의 종자는성숙하면 붉은빛이 돌고 터진다. 까만 종자가 달려 있는 모습이 앙징맞다. 진통, 양혈, 소종에 효과가 있다. 붉은 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com/1906 http://ktk84378837.tistory.com/2069 논개 http://ktk84378837.tistory.com/3492 흰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
-
큰달맞이꽃 Oenothera erythrosepala초목류 wild flower/바늘꽃과 Onagraceae 2007. 8. 22. 22:25
큰달맞이꽃 evening-primrose, 왕달맞이꽃. 바늘꽃과의 이년초. 학명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남미 칠레가 원산인 귀회식물. 뿌리는 굵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는 높이 70~14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로제트형으로 나오는 근생엽과 어긋나는 경생엽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로 피는 꽃은 황색이고 ‘달맞이꽃’보다 크다. 삭과는 4개로 갈라져서 많은 종자가 나오고 종자는 젖으면 점액이 생긴다. 암술이 수술보다 길이가 길고 열매의 털기부에 점이 있는 것이 ‘달맞이꽃’과 다르다. 어린잎과 꽃잎은 식용한다.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 하여, 감기로 열이 높고 인후염이 있을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
-
애기달맞이꽃 Oenothera laciniata초목류 wild flower/바늘꽃과 Onagraceae 2007. 8. 22. 22:20
명사십리 해변도로 따라 따라 가면해풍에 머릴 감고 옷깃 여미며 둔덕에 노오랗게 서 있는달맞이그 자태 하도 고와 역광 순광 다 담아보아도 어찌 범부의 손 허락이나할까멀리서 바라보며 그윽히 내려다보니이른 아침 눈물이 한 방울어가는 이 아무리 붙잡아도네 마음 알아줄 이 어디 있을까기다리다 하늘마저 검게 타고해안 모래톱에는 아예 단체로 목을 매는구나 애기달맞이 Oenothera laciniata Hill.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의 이년초. 6월 경에 황색꽃이 피고, 줄기는 약 40cm로 비스듬하며 털이 많이 나있다. 큰달맞이 http://ktk84378837.tistory.com/2761 http://ktk84378837.tistory.com/3884 씨방 http://ktk84378837.tistory...
-
우수리뒤영벌 Bombus ussurensis동물 Animal/벌 개미 각다귀(Hymenoptera) 2007. 8. 22. 22:17
이래서 여름은 좋다. 모래밭엔 순비기나무 보랏빛 꽃을 피우고 뒤영벌 윙윙거리며 양식을 나른다. 우수리뒤영벌 Bombus ussurensis. 벌목 꿀벌과. 몸길이 2cm. 암컷의 몸은 흑색이고, 머리 부분은 담황색의 긴 털이 밀생한다. 날개는 옅은 갈색이고 바깥 가두리는 특히 심하며 전체에 광택이 있다. 몸에는 길고 연한 털이 밀생하였고 앞다리와 가운데다리의 종아리 마디에는 흑갈색 털이, 발목마디에는 암적갈색 센털이 있다. 어리호박벌 http://ktk84378837.tistory.com/1298 http://ktk84378837.tistory.com/4845 우수리뒤영벌 http://ktk84378837.tistory.com/3888 좀뒤영벌 https://ktk84378837.tistory.com/7..
-
칡덩굴 Kudzu Vine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7. 8. 22. 22:17
칡 葛 Kudzu Vine. 학명 Pueraria lobate. 콩목 콩과의 목본성 덩굴식물.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로 이들 지역에서는 녹말을 함유한 식용뿌리와 줄기로부터 만들어지는 섬유를 얻기 위해 오랫동안 재배했다. 한방에서는 꽃 말린 것을 갈화(葛花), 뿌리 말린 것을 갈근(葛根)이라고 한다. 칡 줄기를 삶은 다음 껍질을 벗겨내 만든 하얀 섬유로 짠 옷감을 갈포라고 한다. 어린잎은 5월에 따서 나물로 먹으며 뿌리를 캐서 찧은 다음 물에 여러 번 담가 앙금을 가라앉혀 만든 녹말은 갈분이라고 한다. 갈화는 장풍(腸風)에, 짧게 썰어 말린 갈근은 치열·, 산열, 발한, 해열에 쓰인다. 등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51 http://ktk84378837.tistory.co..
-
나문재 Suaeda glauca초목류 wild flower/명아주과 Chenopodiaceae 2007. 8. 22. 22:15
나문재라는 이름의 유래가 신빙성 여부를 더나서 참 재미롭다. 가난한 어촌에서 이나물만 날마다 먹었다. 맛이 물려 늘 남는 채소가 되어 처움에 ‘남은채’라고 부르다가 나중에 ‘나문재’가 되었다. 나문재는 고혈압에 효과가 탁월하고 간에 쌓인 독을 풀어 간 기능을 회복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장 속에 쌓인 숙변과 노폐물을 분해하여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도 뛰어나다. 저 고려시대 우리네 서민들의 노래 속에 청산별곡[靑山別曲]을 소개한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라래 살어리랏다.(살고싶어라 살고싶어라 바닷가에 살고 싶어라) ☞ 나문재+ 굴과 조개(자연의 산물)'); return true;" onmouseout="nd(); return true;">나마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라래 살어리랏다. (나문재 굴 조개를 먹으..
-
순비기나무 Beach Vitex초목류 wild flower/마편초과 Verbenaceae 2007. 8. 22. 22:14
순비기나무 Beach Vitex.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 Vitex rotundifolia 제주도 방언의 숨비는 물질하던 해녀가 물밖으로 머리를 내밀며 숨을 쉬는 소리를 말한다. 이 숨비가 순비로 변해 순비기나무가 되었는데 모래땅에 몸을 숨긴모습이 마치 물질하는 해녀를 닮았다는 것이다. 순비기나무가 모래땅에 뿌리를 박고 몸체가 나오는 모습의 유사성에서 나온 이름이다.마편초과의 낙엽관목으로 단엽만형(單葉蔓荊), 만형자나무, 풍나무라고도 한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옆으로 자라면서 뿌리가 내린다. 꽃을 만형(蔓荊), 열매를 만형자(蔓荊子)라 하여 두통, 안질, 귓병에 쓴다. 순비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890 http://ktk843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