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래덩굴
-
산장산 産長山초목류 wild flower/종합세트 synthesis 2017. 5. 21. 18:24
산장가든의 바위취. 꽃잎이 큰大자를 닮아 大文字草. 가막살나무. 수피가 검기는 하니 가막살나무 이름이 쉽게 전달된다. 청가시덩굴. 산장산에서 내려다보는 대전교도소. 수용정원은 4만 6600명인데 2016년 기준 5만 7096명으로 수용률이 122.5%에 달한다고. 법치가 잘 이루어지는 나라? 개울에 보이는 건 온통 물냉이군락이다. 큰주홍부전나비 날개색이 선명하다. 유럽의 지붕색과 오렌지군단 네델란드가 떠오른다. 배추흰나비. 옻나무. 한자어로 칠목(漆木)이라 한다. 배스낚시에 열중인 처녀낚싯꾼. 『신증동국여지승람』(진잠)에 "산장산(産長山)은 현 서쪽 5리에 있는데 진산이다. 산허리에 바위 하나가 있는데 세간에 전하기를 계룡(鷄龍)이 이 바위에서 나왔다 하여 이름 붙였다 한다. 바위취 - 유희봉 숲 속 물..
-
청미래덩굴 Smilax china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15. 6. 2. 21:43
청미래덩굴 Chinaroot. 황우근(黃牛根), 토복령(土茯苓), 우여량(禹余粮), 비해(萆薢), 발계(菝葜), 금강과(金剛果), 과산룡(過山龍), 학명 Smilax china. 청미래덩굴은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충청도에서는 명감나무라 불렀다. 망개나무는 경상도에서 부르는 모양인데 망개나무는 따로 있으니 쓰지 않는게 좋겠다. ‘청가시덩굴’과 비슷하지만 열매가 붉고 산형으로 달린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소금에 절여 망개떡을 해 먹기도 하고 쌈으로 먹기도 한다. 뿌리를 발계, 토복령이라 하며 이뇨,·해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피부염, 종기에 사용한다. 퉁갈나무. 망개나무 같은 방언이 있는데 망개나무는 따로 있으니 사용하지 않는게 좋겠다. 청미래덩굴 http:/..
-
명감 Chinaroot.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12. 11. 5. 21:30
청미래덩굴 Chinaroot. 황우근(黃牛根), 토복령(土茯苓), 우여량(禹余粮), 비해(萆薢), 발계(菝葜), 금강과(金剛果), 과산룡(過山龍), 학명 Smilax china. 청미래덩굴은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충청도에서는 명감나무라 불렀다. 망개나무는 경상도에서 부르는 모양인데 망개나무는 따로 있으니 쓰지 않는게 좋겠다. 충청도에서는 붉은 열매를 명감이라 하여 따 먹었다. ‘청가시덩굴’과 비슷하지만 열매가 붉고 산형으로 달린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소금에 절여 망개떡을 해 먹기도 하고 쌈으로 먹기도 한다. 뿌리를 발계라 하며 이뇨,·해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에 사용한다. 옥천에서.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
-
청미래덩굴 Smilax china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11. 4. 26. 17:11
청미래덩굴 Chinaroot. 황우근(黃牛根), 토복령(土茯苓), 우여량(禹余粮), 비해(萆薢), 발계(菝葜), 금강과(金剛果), 과산룡(過山龍), 학명 Smilax china. 청미래덩굴은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충청도에서는 명감나무라 불렀다. 망개나무는 경상도에서 부르는 모양인데 망개나무는 따로 있으니 쓰지 않는게 좋겠다. 충청도에서는 붉은 열매를 명감이라 하여 따 먹었다. ‘청가시덩굴’과 비슷하지만 열매가 붉고 산형으로 달린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소금에 절여 망개떡을 해 먹기도 하고 쌈으로 먹기도 한다. 뿌리를 발계라 하며 이뇨,·해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에 사용한다.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852 ht..
-
청미래덩굴 Chinaroot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9. 4. 28. 15:47
청미래덩굴 Chinaroot. 황우근(黃牛根), 토복령(土茯苓), 우여량(禹余粮), 비해(萆薢), 발계(菝葜), 금강과(金剛果), 과산룡(過山龍), 학명 Smilax china. 청미래덩굴은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충청도에서는 명감나무라 불렀다. 망개나무는 경상도에서 부르는 모양인데 망개나무는 따로 있으니 쓰지 않는게 좋겠다. 충청도에서는 붉은 열매를 명감이라 하여 따 먹었다. ‘청가시덩굴’과 비슷하지만 열매가 붉고 산형으로 달린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소금에 절여 망개떡을 해 먹기도 하고 쌈으로 먹기도 한다. 뿌리를 발계라 하며 이뇨,·해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에 사용한다.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852 ht..
-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5. 17. 11:56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 길이가 5m. 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로 粘魚鬚(점어수)라는 한자명이 있다. 길이 5m 내외로 벋어가며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고 가지는 딱딱하며 녹색이다. 꽃은 6월에 피고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검은빛의 열매가 아름다우며 생울타리를 만들면 경관이 아름답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852 http://ktk84378837.tistory.com/2321 청미래덩굴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3457 http://ktk84378837.t..
-
명감 Smilax china 눈속에 묻힌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8. 3. 6. 18:34
망개나무는 경상도 지역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잎에 팥속을 넣은 쌀떡을 싸서 망개떡을 만든다. 충청지역에선 명감이라고도 한다. 본명은 청미래덩굴. 2월의 하늘은 시샘이 왜 이리 많은 걸까? 내원사로들어서는길가 숲을 이렇게 아름답게 꾸미는 재주를 한껏 부리다니 ... 청미래덩굴 Chinaroot. 황우근(黃牛根), 토복령(土茯苓), 우여량(禹余粮), 비해(萆薢), 발계(菝葜), 금강과(金剛果), 과산룡(過山龍), 학명 Smilax china. 청미래덩굴은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청미래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852 http://ktk84378837.tistory.com/2321 청미래덩굴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34..
-
민청가시덩굴 열매 Smooth Siebold's greenbrier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07. 10. 30. 22:45
민청가시덩굴 Smooth Siebold's greenbrier. 백합과 청미래덩굴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 길이가 5m. 야산에 여름에 피는 연녹색의 산형 꽃은 청미래덩굴과 비슷하지만 열매는 전혀 다른 청가시덩굴이 발목을 잡는다. 청미래덩굴의 열매는 명감이라고 해서 빨갛게 익어 가는 이 오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해준다. 경상도에서는 청미래덩굴의 잎에 떡을 싸서 망개떡을 만들어 특산품으로 판매하고 있다.청가시덩굴의 열매는 크기도 작고 검정색이라 그냥 지나치기 일쑤다.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로 멜쑨, 밀순, 실순(제주) 같은 향명이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철조망, 울타리 같은 곳에 심어 생울타리를 만들면 경관이 아름답다. 줄기에 가시가 있는 청가시덩굴이 있다. 보문산에서. 청미래덩굴 http://k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