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준길
-
중봉(重峯) 조헌(趙憲)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1. 11. 20. 21:40
신도비-충북유형문화재 제183호. 표충사 들어가는 입구에 신도비는 인조27년(1649)에 세웠다. 김상헌이 짓고 송준길이 쓰고 김상용이 전액(篆額)을 썼다. 신도비 내용은 중봉의 가계, 성장과정, 학업, 급제와 관직생활, 불교배척, 올곧은 심성, 왜적침입 예견, 청주성 탈환, 금산전투 순절, 추증(追贈), 치제(致祭), 배향 등을 기록하고 있다. 홍살문 충의문 현판은 옥천군수였던 유봉열의 서 조헌시비 지당(池塘)에 비 뿌리고 양류(楊柳)에 내 끼인 제 사공(沙工)은 어디 가고 빈 배만 매였난고. 석양(夕陽)에 무심한 갈며기난 오락가락 하노매 *지당(池塘)-못, 연못 *양류(楊柳)-버드나무 *내-뿌옇게 낀 안개 *끼인 제-끼었는데 * 갈며기-갈매기 *하노매-하는구나 표충사-조헌 순절후 선조41년(1608)..
-
상주 정경세 종가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0. 11. 20. 21:33
흥암서원(興岩書院) 돌 때부터 배가 출출했다. 배고픔을 지천통나뭇집에서 해결하고 나서니 솔바람도 좋은데 사이사이로 때깔을 잃어가는 단풍이 아름다우나 애처롭다. 솟을대문, 안쪽에서 보니 와송(瓦松)이 잔뜩 향을 피웠다가 후생을 위해 말라가고 있다. 우복종가 산수헌(山水軒) 종부의 넉넉하고 수줍은 웃음은 3년 전에도 아름다웠다. 바싹 마른 시래기에서 구수한 향이 바스락거린다. 청간정(聽澗亭)이라 이름 짓고 시냇물소리를 벗삼아 독서하던 계정(溪亭), 달랑 1칸짜리 멋드러진 초옥이다. 우곡잡영 20절(愚谷雜詠二十絶)의 제11경인 계정은 사위인 송준길의 송준길행초동춘당필적(宋浚吉 行草 同春堂筆跡)에 필사되어 전해지고 있다. 시원한 대산루(對山樓)는 팔작지붕을 한 기와집으로 단층을 연결한 이층누각의 T자형으로 유명..
-
상주 흥암서원(興巖書院)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0. 11. 15. 17:12
흥암서원(興巖書院) 현액 진수당에 이양례 수필가(좌)와 강형일 시인(중)과 백제문화원 부원장(우)이 포즈를 취했다. 흥암서원 진수당(進修堂), 진수당은 강당으로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를 개최하거나 유림의 회합 및 학문강론 장소로 사용되어 왔다. 흥암서원(興巖書院), 충청인으로 김장생의 문하이며 노론의 대표적 성리학자인 동춘당 송준길(宋浚吉, 1606∼1672) 한 사람을 배향한 것은 지방유림의 공의였다하나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그 연유를 살펴보건대 당파를 떠나 동인인 정경세가 서인인 김장생과는 친분이 있었는데 그를 만나러 왔을때 막내딸 신랑감 추천을 부탁하였다. 김장생은 제자인 송시열, 이유태, 송준길을 소개하였고 면접..
-
대전 소대헌, 호연재 고택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8. 6. 22. 22:36
소대헌, 호연재 고택, 송준길의 손자 송병하가 건축하고 그의 아들 소대헌 송요화가 이축하여 부인 호연재와 살던 집이다.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의 뒤를 잇는 호연재 김 씨(1681~1722)는 244수의 한시를 남겼다. 예전에 송용억 가옥이라고 했고 문이 닫혀 있어 밖에서 기웃거렸던 기억이 있다. 국가민속문화재 제290호 배롱꽃 만발하는 여름 어느날 강강술래 행사가 있으니... 소대헌, 호연재고택 작은사랑채인 오숙재(寤宿齋). 당호인 오숙재(寤宿齋)는 송요화의 아들인 송익흠(宋益欽, 1708~1757)의 호인데 깨어 있을 때에도 잠을 잘 때에도 항상 공부를 한다는 뜻이다. 선비정신! 개망초가 무성한 소대헌, 호연재고택 안채 뒤꼍의 장독대와 터줏가리. 터줏가리는 일반적으로 서너 되들이의 옹기나 질그릇 단지에 벼..
-
상주 사람 우복 정경세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7. 12. 4. 23:41
우복(牛腹)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고택을 탐방하는 날이다. 대산루(對山樓)는 팔작지붕 기와집으로 단층에 연결한 2층 누각의 T자형으로 유명하다. 정경세가 독서, 강학 및 책을 보관하던 곳이다. 우복동천(牛腹洞天)이라 할만큼 멋진 곳이다. 동천이란 하늘에 잇닿는 땅, 신선이 사는 곳, 별천지, 仙景의 뜻이 있으며, 중국의 백석산에 흰 돌이 많고 아름다운 데서 유래한다. 육동천 삼동문(六洞天 三洞門)인 백석동천(白石洞天)은 북한산에, 청계동천은 세검정에, 수락동천은 수락산에 있으며, 최초의 동천(646년)인 자장동천이 통도사 주변에, 화개동천이 화개사 주변에, 적벽동천이 화순에 있다. 팔작지붕의 대산루(對山樓)의 모습과 현판. 이름부터 소박하기 이를데 없다. 그는 도학(道學)이 정몽주에서 시작..
-
대전 비래사(飛來寺)와 옥류각(玉流閣)문화 culture/불교문화 Buddhist culture 2017. 8. 11. 00:08
비래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조선 효종2년인 1651년 무염스님이 제작하였는데 유형문화재 제30호이었다가 2014년 보물 제1829호로 승격되었다. 비로자나불은 손 모양이 특이한 지권인(智券印)인데 금강계(金剛界) 대일여래(大日如來)가 만드는 인상(印相)이란다. 오른손이 왼손 엄지를 감싼 모습인데 비래사의 지권인은 반대로 왼손이 오른손을 감싸고 있어 고창 선운사 비로자나불과 비슷하다. 오른손은 불계를 왼손은 중생계를 나타내며 법으로써 중생을 구제한다는 의미라고 하나 손의 위치가 다르니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혼란스럽다. 중화 3년(883)에 제작됐다는 묵서명이 발견된 해인사 목조비로자나좌불은 보물 제1778호이다. 지난 목요일에 식장산 산행을 하던 중 소낙비로 불어난 계곡이 폭포수가 되었기..
-
대전 송애당 松崖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9. 13:03
조선 효종 때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송애당(松崖堂) 김경여가 지은 팔작지붕 형태의 별당이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호종하였다가 환도 후 비분강개하여 벼슬을 버리고 귀향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호 역시 '눈서리를 맞아도 변치 않는 소나무의 굳은 절개와 우뚝 선언덕의 굳센 기상을 마음에 간직하겠다'는 뜻이다. 대전시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월류정 http://ktk84378837.tistory.com/1707 http://ktk84378837.tistory.com/4344 이지당 http://ktk84378837.tistory.com/1845 남간정사 http://ktk84378837.tistory.com/4417 http://ktk84378837.tistory.com/407 http:/..
-
대전 쌍청당 雙淸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7. 22:07
은진송씨대종가 안내문은 세워져 있으나 다른 문화재처럼 문이 굳게 잠겨 있고 문틈을 기웃거리니 사람 사는 흔적이 보인다.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의 당호는 원일당인데 사랑채이다. 은진 송씨 중시조이며 여말선초에 부사정(副司正, 종칠품의 무관직)을 지낸 쌍청당 송유(宋愉)가 회덕으로 낙향한 후 세종 14년(1432)에 건립한 별당이다. 조선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였다고 한다. 왕비 신의왕후의 아들인 이방원이 왕위에 올라 신덕왕후 흔적지우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중종 19년(1524)에 1차 중수를 거친 이래 총 7차례에 걸쳤고 지금의 집은 후손인 이사동으로 옮겨진 절우당의 주인 송담 송남수(宋柟壽)에 의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