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서원
-
영주 소수서원 紹修書院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2. 10. 21. 21:02
경염정(景濂亭)과 은행나무 보호수. 경염정은 휴식공간으로 원생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정자로 중종38년(1543)에 백운동서원과 함께 건립되었다. 경염(景濂은 북송의 염계 주돈이를 추모한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오마이뉴스에서는 이를 두고 '사대의 냄새가 스며 있다'고 하였다). 현판 중 해서 현판은 이황의 글씨이고 초서 현판은 이황의 제자인 고산 황기의 글씨이다. 내부에는 이황, 주세붕의 시판이 걸려 있다. 경렴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죽계를 끼고 주변을 조망하기에 좋아 원생이나 유림의 모임은 물론 시화개최, 풍류와 심신 수양의 공간이 되었다. 은행나무 보호수. 지정번호 11-28-8-14 지정일자 1982 수령500년, 소재지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84 부후부(腐朽部)를 방부처리하였다...
-
파평윤씨 종학당(宗學堂)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22. 6. 24. 12:01
종학당(宗學堂),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39-6 (노성면 병사리 95-1). 1625년 인평대군의 스승이었던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 1596~1668)가 자녀교육을 위해 세웠다. 그는 돈암서원에 배향된 기호학파의 거두 김장생(金長生)의 제자이기도 하다. 백록당 정수루 종학당 보인당을 합쳐 종학원이라 한다. 파평윤씨 문중의 교육기관으로 윤석열대통령 당선축하 현수막이 펄럭이고 있다. 파평은 오늘날 파주의 옛지명이다. 보인당 원래 노성면 두사리 물레고개에 본당과 동서재를 갖춰 학문을 연구하고 운영하던 건물을 이곳으로 옮겨왔다. 정수루, 병산서원의 만대루를 보는 느낌이 살짝 왔다. 앞건물이 정수루, 뒷건물이 백록당이다. 오가백록(吾家白鹿, 주자가 살던 지명으로 윤씨문중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백록처럼 고결하게..
-
세종 합호서원 合湖書院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7. 12. 29. 15:37
세종시 두번째 답사지는 안향을 배향한 합호서원(合湖書院)이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호. 합호서원은 금강상류와 미호천이 만나는 꼭지점 부근인 합강리에 위치하므로 합강서원(合江書院)이라 해도 될 것을 합호서원이라 한 연유는 무엇일까. 합호서원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주자학을 소개한 안향(安珦1243~1306)의 영정을 후손인 안경신, 안경인, 안경정등이 1716년(숙종42)에 모셨으나 고종때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39년 다시 세운 내력이 있다. 솟을삼문인 흥학문(興學門) 너머로 합호서원 편액이 보인다. 합호서원 성의재 안향의 영정을 배향한 합호사(合浩祠) 사람이 안살아 폐쇄된 합강리경로회관 옥상에 올라가니 전경이 보였다. 안씨세거비와 망향비가 보인다. 서원이 있고 합강리경로회관이 있으니 사람이 ..
-
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7. 9. 27. 00:56
소수서원 입구에서 엣지있는 모습으로 수문장 노릇을 하고 있는 훤출한 키의 미남송. 소수서원 강학당인 백운동. 보물 제1403호로 지정되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하나. 조선 중기 풍기군수인 주세붕(周世鵬)이 고려말 문인인 안향(安珦)을 제사하기 위해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다. 송나라의 주희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본따서 세웠다. 안향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리학을 도입한 공이 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훗날 풍기군수를 하면서 사액을 요청하여 ‘紹修書院(소수서원)’이라는 명종 임금의 어필(御筆) 현판과 함께 서적과 토지, 노비를 하사받는다. 소수(紹修)는 무너진 유학을 다시 이어 닦게 한다는 뜻의 '기폐지학 소이수지(旣廢之學 紹而修之)에서 따왔다고 한다. 백운동서원은 조선 최초의..
-
솔아 솔아풍경 landscape 2009. 12. 28. 17:16
대둔산의 설송(雪松). 세한도, 이재(彛齋) 권돈인(權敦仁, 1793-1859), 제목 옆에 장무상망(長毋相忘, 서로 오래 잊지 말자) 인장이 찍혀 있다. 추사와 절친이었으며 제목은 추사의 글씨로 추정된다. 철종때 영의정, 순흥도호부(현 영주 안정면 동촌 조개섬) 귀양시 소수서원 학자수림을 보고 그려 제주에서 귀양사는 추사에게 발문 받아오고 추사도 이를 바탕으로 세한도를 그렸다. 행진번(권오용) (daum.net) 세한도(1844), 김정희, 종이에 수묵, 23.3x108.3cm, 소장종이에 수묵, 23.3x108.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180호. 제주에 유배간 추사에게 제자 이상적이 보내준 경세문편이란 책을 받고는 세한도를 선물하면서 장무상망(長毋相忘) 인장을 찍어 보냈다. 장무상망은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