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참골무꽃 Scutellaria strigillosa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23. 7. 3. 19:06
참골무꽃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갯골무꽃. 한신초(韓信草), 꿀풀과 골무꽃속의 다년초. 높이 40cm.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둥글며 양면에 털이 다소 있거나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으로서 상부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밑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서고 수술은 4개이다.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모서리를 따라 위를 향해 잔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분과이며 둥근 돌기가 있다. 유사종인 왜골무꽃은 털이 약간 있고 능선에만 위를 향한 털이 있다. 한밭수목원. 골무 / 오정방 한 번이라도 껴본 적이 있는가 귀..
-
방풍 防風초목류 wild flower/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 2023. 7. 2. 23:05
방풍 防風 Peucedanum japonicum, 진방풍(眞防風), 산방풍(山防風)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미역방풍, 목단방풍(牧防風), 일본전호. 식방풍(植防風), (방풍나물) ,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해방풍(海防風), 빈방풍(濱防風), 해사삼-cretiaoh님 차용 방풍꽃 / 김내식 세차게 몰아쳐서 눈을 못 뜨는 모래바람 속 부르르 몸서리치면서도 피는 꽃이 있습니다 파도가 끊임없이 모래언덕을 덮어 씌워도 굴하지 않고 솟구쳐 오릅니다 삼년대한 가뭄에도 두레박 끈을 깊숙이 내려뜨려 물을 길어 올립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 어디에 있으랴만 갈매기 바라보며 앉은뱅이로 꽃피웁니다
-
지모 知母 Anemarrhena asphodeloides초목류 wild flower/백합과 Liliaceae 2023. 7. 1. 22:23
지모 知母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백합과의 다년초. 피[血]의 근원[母]을 보충해 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 난다. 바깥부분에서 올라오는 외생엽, 정상엽, 내생엽으로 구분되는데 정상엽이 가장 크다. 잎은 장협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5월 하순경부터 녹색의 꽃대가 올라와 수상화서를 이룬다. 줄기 70cm. 꽃은 이삭 부분에 2-3개씩 모여 피며 올라간다. 수술 3개 암술1개 꽃밥은 녹황색이다. 열매는 황갈색 꼬투리 모양이며 씨앗이 3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황갈색으로 짧고 굵다. 뿌리는 소갈, 발열, 팔다리나 몸이 부기를 치료하고 사기(邪氣)를 몰아낸다. 한밭수목원.
-
아마란스 Amaranthus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23. 6. 25. 22:27
흑석리. 아마란스 Amaranthus, Amaranth. 남미안데스 원산 고대 그리스어로 ‘영원히 시들지 않는 꽃’에서 유래했다. ‘신이 내린 곡물’이라 불릴 정도로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슈퍼 곡물중 하나.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뇨와 고혈압에 좋다. 잎을 샐러드나 고기·생선 요리에 곁들여 먹는다. 씨앗이 작아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쌍청회관.
-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초목류 wild flower/나도밤나무과 Sabiaceae 2023. 6. 23. 22:37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무환자나무목 나도밤나무과의 낙엽소교목. 높이10m. 합대나무. 산기슭 양지분포. 새순의 줄기가 학의 다리처럼 길다고 유래된 이름인데 겉모습이 참죽나무 순과 비슷하여 혼동된다. 겨울눈에도 노란빛을 띤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1회 깃꼴겹잎이며 9∼15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합다리나무’라는 국명 외에 정태현 조선삼림식물도설(1942)에서는 ‘합대나무’라고도 하였고, 제주도에서는 ‘합순낭’이라 한다. 제주도 방언에서는 ‘학(鶴)’을 ‘합’이라 하고 ‘나무’를 ‘낭’이라고 한다. 이 외에 지역에 따라 합잘나무, 하부다리, 합다리, 갓다리, 박다리꽃 등 다양하게 부른다. 종소명 oldhamii는 영국 왕립식물원 Kew Gard..
-
냉초 冷草 siberian-veronicastrum초목류 wild flower/골풀과 Labiatae 2023. 6. 21. 16:34
냉초 冷草 siberian-veronicastrum, 시베리아파파납, 좁은잎냉초, 민들냉초, Blackroot. 윤엽파파납(輪葉婆婆納), 산편초(山鞭草), 숨위나물. 현삼과 냉초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속명 베로니카스트룸(Veronicastrum)은 성 베로니카(St.Veronica)에서 왔으며 종명 시비리쿰(sibiricum)은 시베리아 지방을 의미한다. 시베리아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높이 1-1.5m이다. 잎은 마디마다 3-9개씩 돌려나며, 긴 타원형 또는 넓은 선형이다. 잎 끝이 매우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이삭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붉은 보라색 또는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길이가 ..
-
푸조나무 Scabrous aphananthe초목류 wild flower/느릅나무과 Ulmaceae 2023. 6. 20. 13:28
소쇄원 입구에서 대숲보다 먼저 만난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검북낭, 개팽나무. 조엽수(糙葉樹, Muku tree), 느릅나무과 푸조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높이 20m, 어긋나기로 잎은 얇고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꼴이고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월경에 녹색으로 핀다. 열매는 핵과이며 난상구형이고 그물 같은 무늬가 없는 것이 팽나무와 다르다. 검은 열매는 먹는다. 요통에 효과가 있다. 속명 아파난테(Aphananthe)는 꽃(anthos)이 뚜렷하지 않다는 뜻(aphanes)의 합성어로 희랍어에서 유래한다. 나무 이름이 푸조라니 참 이색적이고 신기하다. 이름의 유래를 알 수 없지만 낯설지는 않다. 푸조, 프랑스산 세단(sedan)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네이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