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
-
등심붓꽃 narrowleaf sisyrinchium초목류 wild flower/붓꽃과 Iridaceae 2023. 6. 14. 22:08
등심붓꽃 narrowleaf sisyrinchium, Blue-eyed Grass, 골붓꽃, 붓꽃과 등심붓꽃속의 다년초. 학명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북미 원산. 골풀의 생약명도 등심인데 스티로폼 같은 골풀의 속 즉 골속을 꺼내어 기름에 적셔 등잔의 심지를 돋우었던 것에서 유래하는 말이다. 등심붓꽃의 이명이 골붓꽃이기도 하다. 높이 10~20cm. 5~6월에 개화한다. 2~5개씩 달리는 꽃은 지름 15mm 정도이고 자주색 또는 백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다. 잎이 선형이고 줄기에 좁은 날개가 있다. 백일해, 위중열, 인후염, 절상, 주독, 창달, 토혈, 편도선염, 폐렴, 해소에 도움을 준다. 한밭수목원.
-
자주루드베키아 Echinacea angustifolia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23. 6. 14. 22:00
자주루드베키아 Echinacea angustifolia, Echinacea purpurea. 에키네시아 Echinacea, 드린국화. 자주천인국. 국화과의 다년초. 북미 중앙아프리카 원산. 키150cm. 속명의 Echinacea는 그리스어 echinos(거친 털이 있다)의 뜻으로 화탁의 끝이 날카로운 데서 유래. 꽃은 7~10월에 핑크색, 진분홍색으로 설상화 꽃잎은 5~8cm로 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중심부 관상화는 금속성 광택이 있으며 자갈색(紫褐色)이 난다. 인디언들은 뱀에게 물렸을 때나 곪은 상처 치료에 사용했다고... 한밭수목원.
-
자주개자리 alfalf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23. 6. 14. 21:56
자주개자리 alfalfa. 자주꽃자리풀. 콩목 콩과 개자리속의 다년초. 학명 Medicago sativa L. 지중해 원산.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되었다. 높이 30-100cm,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 있고 잔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협과이다. 땅을 기며 노란꽃을 피우는 개자리에 비해 비해 꽃이 자주색이고 열매에 가시가 없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전초(全草)를 紫苜蓿(자목숙)이라 하며 五臟(오장)을 利(이)하고 惡性熱毒邪氣(악성열독사기)를 제거하고 尿酸性 膀胱結石(요산성 방광결석)을 치료한다. 도안동.
-
스코틀란드엉겅퀴 Silybum marianum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23. 6. 14. 21:50
스코틀랜드엉겅퀴. 흰무늬엉겅퀴, milk thistle, St. Mary’s thistle, Blessed thistle, Holy thistle 등 여러 이름을 갖고 있다. 지중해 유럽 원산의 국화과 두해살이풀이며 스코틀랜드의 국화(國花)이다. 학명 Silybum marianum, 진통, 소화, 이뇨, 지혈에 효과 있다. 추출물인 실리마린은 식이보충제와 항산화작용이 뛰어나다. 한밭수목원. 북유럽에서는 엉겅퀴를 천둥의 신 토르의 꽃이라고 하여, 이 꽃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벼락 맞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엉겅퀴를 한약재로 사용할 때는 대계(大薊)라 부른다. 얼핏 엉겅퀴와 비슷해 보이지만, 엉겅퀴보다 작은 조뱅이(크기 25~50cm)는 소계(小薊)라고 한다. 대계는 '호랑이 호'자를 써서..
-
점균 Slime Mold초목류 wild flower/버섯 mushroom 2023. 6. 12. 22:35
점균류(Slime Mold)는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자를 생성하는 진핵생물을 한데 아우르는 분류군이다. 점균류는 습기 있고 부패한 유기물질이 많이 있는 곳에 서식하는데, 산에 올라가다가 죽은 나무나 낙엽 더미를 잘 관찰해보면 발견할 수 있다. 굉장히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진핵생물이고 매우 독특하고 다양한 생활사를 가지는 등 생물 진화의 나름 승자이기도 하다. 이 원생생물들은 한때 균류로 분류되었으나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슬라임으로는 이끼벌레류와 같은 태형동물 등이 있는데, 이상증식을 하면서 자주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곰팡이와 비슷해보여서 균류(fungi)로 오해를 받기도 하기만 이동을 할 수 있고 먹이를 포식하는 행동을 보이는 등 곰팡이와는 다르다. 포자를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