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
긴강남차 決明子 Cassia tor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9. 6. 09:41
긴강남차의 씨앗을 결명자라 한다. 결명자([決明子])라는 이름은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결명자로 차를 차를 끓여 마시는데,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으며 약성은 달고 쓰고 짜며 약간 차다.[甘苦鹹微寒] 약리효과는 혈압 강하, 이뇨, 통변, 자궁수축작용과 피부진균 억제, 코레스테롤 강하 등의 기능이 있다고 한다. 주민들이 지금은 사라져버린 문화동 철도의 빈터에다 해마다 무단으로 심어 기르고 있다. 결명자를 볼 때마다 떠오르는 청아 청아 애고 불쌍한 심청아다. 눈 먼 아버지의 눈을 띄어주겠다고 공양미 삼백 석에 인당수 깊은 물에 뛰어들었겠다. 이 이야기는 조선사회가 만들어낸 지배논리가 깔려 있음이 틀림없다.. 충으로 대변되는 관료사회와 효로 내세우는 상민사회의 질서를 확고히 하는데..
-
나비나물 Two-leaf vetch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30. 09:38
나비나물 Two-leaf vetch.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에서 흔하게 1미터 정도 자란다. 한 쌍의 마주한 잎의 모습이 나비같다 하여 나비나물이라 한다. 꽃은 8월에 홍자색의 접형(蝶形)으로 피며 열매는 완두콩같이 생겼다. 어린 잎을 식용하고 새잎(若葉(약엽))을 歪頭菜(왜두채)라고 하며 補虛(보허), 頭韻(두운)을 치료한다. 잎의 크기에 따라 큰나비나물과 애기나비나물이 있고, 꽃의 색깔에 따라 흰나비나물이 있다. 식장산. 등갈퀴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4112 http://ktk84378837.tistory.com/618 가는등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4762 http://ktk84378837.tistor..
-
팥 red bean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27. 14:54
팥 red bean. 소두(小斗), 홍두(紅豆), 잔두(殘豆), 미두(眉豆), 주적두(朱赤豆), 학명 Phaseolus angularis. 핕의 꽃을 팥노굿, 콩의 꽃을 콩노둣이라 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작은 잎이 달리는 3출 겹잎이다. 8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콩 꽃보다 큰 4~6개(2~3쌍)의 나비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은 5~7마디의 가지에서부터 피기 시작한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이 얕게 갈라진다. 8∼9월에 가늘고 긴 원통 모양의 두과를 맺는다. 〈명물기략(名物紀略)〉에 반두(飯豆)가 팟>팥이 되었다. 농촌진흥청에서 최근에 개발한 푸른 팥을 연두라 하고 콩나물을 연두채라고 한다. 생약명은 적소두(赤小豆)이며 주로 이비인후과,..
-
새콩 Amphicarpaea bracteate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9. 22:20
이 섹시함을 보아라.콩과의 한해살이풀에는 새콩, 돌콩이 있는데 똑같이 자주색 꽃을 피운다.새콩은 꽃모양이 새처럼 날렵하고 잎이 크며 마름모꼴에 가깝다.돌콩의 작은잎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2미터 가량 자라고 다른 물체를 감는다.콩과의 한해살이풀인 팥에는 예팥, 새팥, 여우팥이 있다. 8~9월에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앞에서 보아 달팽이처럼 돌아가면 예팥, 안돌아가면 새팥, 예팥과 여우팥은 꽃모양이 같은데 잎이 작으면 여우팥이다. 콩이든 팥이든 잎은 3출엽이다.새팥은 잎이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여우팥은 잎이 마름모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새콩 Edgeworth's hogpeanut, edgeworth-amphicarpaea. Trisperma hogpeanut, 학명 Amphicarpa..
-
돌콩 Glycine soja Siebold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9. 22:12
돌콩 Wild soya bean. 야황두(野黃豆), 야모두(野毛頭), 산황두(山黃豆), 학명 Glycine soja Siebold & Zucc. 장미목 콩과 콩속 덩굴성 한해살이풀. 길이가 2m. 잎은 어긋나기하고 우상(羽狀)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다. 길이 6mm 정도의 아주 작은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5갈래이며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로서 각 2개로 갈라진다. 협과는 황갈색의 거센털이 있으며 2-4마디이고 9월에 성숙한다. 野大豆藤(야대두등)은 비경(鼻經)을 다스린다. 붉은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com/1906 http://ktk84378837.tistory.com/2069 논개 http://k..
-
큰낭아초[狼牙草] Indigofera pseudo-tinctorial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6. 15:43
큰낭아초 狼牙草 Indigofera pseudo-tinctorial, 탄두자(炭豆紫), 철소파(鐵掃把), 일미약(一味藥), 키 2m.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5~11개이고 타원형을 닮은 거꿀달걀꼴 또는 타원형 및 긴 타원형이다. 7~8월에 연한 적자색 또는 연한 황색으로 피는데 꽃이 총상 꽃차례로 달린다. 9~10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다. 인동초, 골담초, 만병초, 죽절초와 함께 낭아초 역시 초(草)가 아닌 나무. 생약명 마극(馬棘)은 주로 소화기 질환과 악성 종양에 효험이 있다. 감기, 강장보호, 기관지염, 문둥병, 복부팽만, 소종양, 소화불량, 유행성감기, 이뇨, 임파선염, 자한, 치질에 효능이 있다. 큰낭아초 http://ktk84378837.tistory.com/627 ..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6. 15:38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朝鮮木萩. 학명의 ‘Lespedeza’는 프랑스의 식물학자인 앙드레 미쇼를 후원하던 미국 동부의 스페인 통치자 체스페데스(Cespedes)를 잘못 적은 데에서 유래했고, ‘maximowiczii’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막시모위쯔(Maximowicz)를 기념하여 붙인 것이다. 잎은 3개가 모여나는데 잔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는 고운 털이 있다. 6~7월에 피는 꽃은 끝과 밑이 뾰족하다. 꽃은 적자색, 홍자색, 연한 홍색으로 섞여 아름답다. 열매는 9~10월에 콩꼬투리 모양으로 익는다. 수피는 섬유로, 잎은 사료용, 꽃은 밀원식물, 전초는 이뇨제, 신장염 치료에도 사용한다. 회초리, 빗자루, 울타리, 사방조림용으로도 사용한다. 개싸리 htt..
-
덩굴팥 Phaseolus calcaratus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8. 8. 12. 14:54
덩굴팥 Phaseolus calcaratus. 홍두(紅豆), 적두(赤豆), 주적두(朱赤豆),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풀밭에서 길이가 2∼3m 정도 자란다. 어긋나며 달걀꼴 또는 사각 모양의 달걀꼴인 작은 잎이 3장씩 달리고 잎자루가 길다. 8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총상 꽃차례로 1~3개씩 달린다. 양성화이다. 10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새팥과 비슷한 여우팥은 잎이 마름모꼴이다. 씨를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감기, 산후부종, 소변불통, 소종양, 수종, 옹종, 중독, 지방간, 행혈, 황달에 도움을 준다. 열매를 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지만 꽃은 어떻게 구분할까? 꼬투리가 굵고 짧은 것은 콩이고 가늘고 짧은 팥이겠다. 강낭콩 http://ktk8437883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