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xyphyllum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8. 13. 20:27
도둑놈의갈고리 Big-leaf tick clover, 학명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장미목 콩과 도둑놈의갈고리속의 여러해살이풀. 열매에 난 잔가시가 옷에 잘 달라붙어 도둑놈의갈고리라는 이름을 얻었다. 높이 60~90cm. 꽃은 7~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꽃받침은 얕은 열편으로 갈라지고 꽃부리는 나비형이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하고 2마디로 선글라스 모양이다. 도둑놈의갈고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024 http://ktk84378837.tistory.com/4100 개도둑놈의갈고리 http://ktk84378837.tistory.com/516
-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7. 20. 13:23
무창포에 돌아보니 콩과의 낙엽소교목인 자귀나무가 군데군데 보인다. 눈앞에 보이는 갈라지는 바다의 앞섬을 배경으로 넣어보았다. 날이 궂어선지 아침기운인지 딱 떨어지지 않고 어두운 것이 흠이다. 자귀나무라 하는 이유는 밤이면 잎이 접혀져 잠을 자는 귀신 같다고 해서다. 다른 이름으로 합환목·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저녁이면 잎이 마주 접히기 때문에 금슬 좋은 남녀의 정을 덧붙인 것이다. 소가 잘 먹는 다고 소쌀나무라 하는 지역도 있다. 연분홍 꽃은 수십여 개의 가느다란 실이 모여 산형으로 퍼진다. 자귀나무 mimosa tree. Silk Tree. 밤에 잎을 오무리고 자는 모습이 잠 자는 귀신 같다 혹은 남녀가 화합하는 상징적 의미로 야합수(夜合樹), 合歓木, 合婚樹. 유정수 같은 한자어가 생겼다...
-
붉은덩굴강남콩 Phaseolus multiflorus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7. 13. 08:37
강낭 은 강남(江南)에서 온 말이다. 한반도에서 강남은 한강을 이르니 강남과 강북의 경제와 교육 격차가 커서 문제인 나라가 우리나라다. 강안콩의 강남은 중국의 양쯔강 이남을 가리키는 말이다. 강남은 기온도 높고 비도 많아 농사가 잘 된다. 강북은 기온이 낮고 비가 적고 황무지다. 남미에서 강남을 거쳐 한반도에 정착한 콩 강낭콩은 색깔이 이국적이다.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면은 ... 하는 강남아리랑의 강남도 이 강남이다. 한반도 날씨가 추워지는 중양절이면 갔다가 날이 풀리는 삼짓날이면 어김없이 돌아와 처마밑에 둥지를 틀던 그 제비를 볼 수 없으니 격세지감이다. 강남아리랑은 장사익의 아리랑을 통해서 널리 알려졌다. 장사익의 아리랑 정이월 다가고 삼월이라네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면은 이땅에도 또다시 봄봄이..
-
갈퀴나물 & 넓은잎갈퀴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7. 11. 22:12
갈퀴나물은 갈퀴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이 나물의 어디에 갈퀴가 있지? 고부라진 덩굴손을 가르키는 걸까? 갈퀴 외에도 등갈퀴와 가는갈퀴와 네잎갈퀴가 있다. 등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4112 http://ktk84378837.tistory.com/618 http://ktk84378837.tistory.com/1275 갈퀴덩굴 http://ktk84378837.tistory.com/4762 http://ktk84378837.tistory.com/3800 http://ktk84378837.tistory.com/2120 광릉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1289 노랑갈퀴 http://ktk84378837.tistory.com/5083 네잎갈퀴 ..
-
나래완두(豌豆) Korean bird vetch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6. 22. 13:44
나래완두 Korean bird vetch, 긴잎새완두, 학명 Vicia hirticalycina,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cm. 잎은 어긋나기하며 3-5쌍의 소엽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에 덩굴손이 없다. 꽃은 5월에 자주색으로 2-5개의 꽃이 달린다. 협과는 선형이다. 남부의 들과 숲 속에 난다. 완두에는 날개가 없는데 일본 이름에서 특색을 잘못 택하여 전해진 이름이라고 한다. 종소명 hirticalycina 는 hirti(hairy) +calycina(calyx)의 합성어로 꼬받침에 털이 있다는 뜻이다. 연리갈퀴는 꽃자루가 길고소엽이 6개이다, 가는갈퀴나물과 비슷하다. 완두 http://ktk84378837.tistory.com/3124 갯완두 http://ktk84378837...
-
서양벌노랑이 Bird’s foot trefoil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6. 15. 09:00
벌개미취, 벌등골나물, 벌깨덩굴, 벌사초 등의 이름으로 보아 벌 즉 들에 핀 노랑꽃에서 유래하는 이름이겠다. 노랭이가 되었더라면 큰일이었겠다. ~랭이, ~갱이 접미사가 붙어 좋은 이름이 없다. 이념의 골이 깊은 좁은 땅에서는 색깔 있는 삶도 쉽지 않을 듯. 그래서 노랑이는 발음상 약간의 불편이 있기는 해도 요 꽃에 딱인 이름이다. 어법상으로는 노랑이도 노랭이도 맞는 말이다. 노랑이는 속이 좁거나 인색한 사람을 뜻하니 흔히 노랭이라 부르는 사람이다. 털이 노란 개도 노랑이, 색깔이 노란 물건도 노랑이다. 노랭이는 물잠자리의 애벌레나 노랑이를 가르키는 말이다. 이 노랑이가 뜨거운 해를 견디지 못하나 한쪽은 익어 붉은 빛이다. 사료로 쓰기도 하고 뿌리는 강장제며 해열제로 사용한다고. 참 귀엽게도 생기고 앙증맞..
-
자주(紫朱)개자리 alfalfa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6. 11. 14:58
자주개자리 alfalfa. 자주꽃자리풀. 콩목 콩과 개자리속의 다년초. 학명 Medicago sativa L. 지중해 원산.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되었다. 높이 30-100cm,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 있고 잔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협과이다. 땅을 기며 노란꽃을 피우는개자리에 비해 비해 꽃이 자주색이고 열매에 가시가 없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전초(全草)를 紫苜蓿(자목숙)이라 하며 五臟(오장)을 利(이)하고 惡性熱毒邪氣(악성열독사기)를 제거하고 尿酸性 膀胱結石(요산성 방광결석)을 치료한다. 자주개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2148 http://ktk84378837.tistory.com/4776 잔개자리 http:..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초목류 wild flower/콩과 Leguminosae 2009. 6. 7. 20:23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朝鮮木萩. 학명의 ‘Lespedeza’는 프랑스의 식물학자인 앙드레 미쇼를 후원하던 미국 동부의 스페인 통치자 체스페데스(Cespedes)를 잘못 적은 데에서 유래했고, ‘maximowiczii’는 러시아의 식물학자 막시모위쯔(Maximowicz)를 기념하여 붙인 것이다. 잎은 3개가 모여나는데 잔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는 고운 털이 있다. 6~7월에 피는 꽃은 끝과 밑이 뾰족하다. 꽃은 적자색, 홍자색, 연한 홍색으로 섞여 아름답다. 열매는 9~10월에 콩꼬투리 모양으로 익는다. 수피는 섬유로, 잎은 사료용, 꽃은 밀원식물, 전초는 이뇨제, 신장염 치료에도 사용한다. 회초리, 빗자루, 울타리, 사방조림용으로도 사용한다. 늦싸리나무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