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3. 7. 2. 10:12
노각나무 korean mountain camellia.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노각나무속의 교목. 나무의 수피가 사슴 무늬 비슷한 녹각(鹿脚)이 노각이 되었다. 한자어로 금수목(錦繡木)이라 할만큼 수피가 아름답고, 이는 모과나무의 수피와 비슷하다. 높이 7 ~ 15m. 잎은 타원형이고 어긋나고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6월 말 ~ 8월 초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5각형의 삭과이며 황적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꽃이 동백과 흡사하여 학명을 Stewartia pseudocamellia 혹은 Stewartia koreana NAKAI.라 한다.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468번지 하림공원의 노각나무 숲이 유명하다. 간기능 강화, 위암, 위염, 위궤양에 도움을 준다. 한밭수목원. 노각나..
-
비쭈기나무 Japanese Cleyer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3. 4. 25. 21:19
겨울눈의 모습이 비쭉 나와 부르게 된 이름이며 빗죽이나무, sakaki.라고 한다. 비쭈기나무 Japanese Cleyera. 학명 Cleyera japonica Thunb. 차나무목 차나무과 비쭈기나무속의 소교목. 높이 10m.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에 타원상 도란형이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었다가 점차 누런빛이 돈다. 열매는 장과로 난형이며 검게 익는다. 후피향나무에 비해 꽃밥에 털이 있고 밑씨는 씨방의 가운데에 붙으며 열매는 장과로 검은색으로 익는다. 사스레피나무에 비해 잎은 톱니가 없고 꽃은 양성으로 암술대가 길므로 구분된다. 신사(神社)의 신전에 바치는 제물에 쓰이는 귀한 나무이므로 일본명은 신(榊)이다. 불단에는 밀(樒)이라고 쓰는 붓순나무를 신에게 드리는 신성한 나무로 생각한다. 차나무..
-
노각나무 korean mountain camelli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3. 4. 25. 21:06
노각나무 korean mountain camellia.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노각나무속의 교목. 나무의 수피가 사슴 무늬 비슷한 녹각(鹿脚)이 노각이 되었다. 한자어로 금수목(錦繡木)이라 할만큼 수피가 아름답고, 이는 모과나무의 수피와 비슷하다. 높이 7 ~ 15m. 잎은 타원형이고 어긋나고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6월 말 ~ 8월 초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5각형의 삭과이며 황적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꽃이 동백과 흡사하여 학명을 Stewartia pseudocamellia 혹은 Stewartia koreana NAKAI.라 한다.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468번지 하림공원의 노각나무 숲이 유명하다. 간기능 강화, 위암, 위염, 위궤양에 도움을 준다. 노각나무 http:..
-
겹동백 Camelli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3. 3. 29. 20:01
동백(冬柏) Camellia. 산다목(山茶木). 해홍화(海紅花).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동백나무속의 상록소교목. 바닷가에 살며 겨울에 꽃을 피워 동백(冬柏)이라 불린다. 학명 Camellia japonica. 꽃은 붉은색이지만, 흰색이나 분홍색 꽃도 있다. 높이 7m. 잎의 앞면은 광택이 나고 뒷면에는 노란색이 섞인 황록색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있다. 꽃잎은 5~7장이고 흰색 꽃이 피는 흰동백나무, 일년생 가지와 잎 뒷면의 맥상 및 씨방에 털이 있는 애기동백나무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갈색 씨앗이 들어 있다. 열매에서 기름을 짜서 동백기름이라 하여 머리를 치장하였다. 동박새는 겨울에는 동백꽃의 꿀을 빨아먹는다. 품종개량이 많이 이뤄진 대표적 원예품종이기도 하다. 대나무, 소나무, 매화나무를..
-
사스레피나무 Japanese Eury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3. 3. 27. 15:15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야차(野茶). 무치러기나무, 세푸랑나무, 가새목,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 1m.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 초에 전년도 가지에서 아래를 향해 피며 연한 황록색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枝葉(지엽) 또는 과실을 인목(獜木), 영목이라 하며 祛風(거풍), 除濕(제습), 消腫(소종), 지혈의 효능이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구좌읍 쪽으로 이어진 해안도로에 군락이 아름답다. 우묵사스레피는 잎이 말려 우묵하다고 붙은 이름이다. 청산도. 사스레피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53 http://ktk84378837.tistory.com/4..
-
동백 冬柏 Camelli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3. 1. 22. 11:53
동백(冬柏) Camellia. 산다목(山茶木). 해홍화(海紅花).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동백나무속의 상록소교목. 바닷가에 살며 겨울에 꽃을 피워 동백(冬柏)이라 불린다. 학명 Camellia japonica. 꽃은 붉은색이지만, 흰색이나 분홍색 꽃도 있다. 높이 7m. 잎의 앞면은 광택이 나고 뒷면에는 노란색이 섞인 황록색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있다. 꽃잎은 5~7장이고 흰색 꽃이 피는 흰동백나무, 일년생 가지와 잎 뒷면의 맥상 및 씨방에 털이 있는 애기동백나무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갈색 씨앗이 들어 있다. 열매에서 기름을 짜서 동백기름이라 하여 머리를 치장하였다. 동박새는 겨울에는 동백꽃의 꿀을 빨아먹는다. 품종개량이 많이 이뤄진 대표적 원예품종이기도 하다. 대나무, 소나무, 매화나무를..
-
차나무 tea-plant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2. 10. 10. 15:36
아래는 7월 중순의 보성다원 차나무 Camellia sinensis. Thea Bohea, 아차(芽茶), 고차(苦茶), 아초(芽草), 차수엽(茶樹葉), 학명 Thea sinensis, 중국 원산. 진달래목 차나무과 동백나무속의 상록관목. 크기는 약 2m~15m.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서 톱니가 있고 광택이 있다. 10~11월에 흰색 또는 엷은 홍색의 꽃이 지름 3~5cm의 크기로 피는데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서 1~3송이씩 달리고 향기가 있다. 10월경에 삭과가 다갈색으로 익는다. 다반사(茶飯事), 차례(茶禮) 등의 단어를 통해서 차를 마시는 일은 우리는 오래전부터 일상적으로 흔히 있어왔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은 약 2,400년 전부터 차를 음료로 마시거나 약으로 써왔다. 우리나라에선 에 김수로 왕..
-
후피향厚皮香나무 Naked-anther Ternstroemia초목류 wild flower/차나무과 Theaceae 2012. 6. 29. 22:53
후피향厚皮香나무 Naked-anther Ternstroemia. 차나무목 차나무과 후피향나무속의 상록교목. 학명 Ternstroemia gymnanthera. 후박피 향기가 난다거나 혹은 두터운 수피에서 향기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15m. 잎은 어긋나고 가지 끝에 모여 나며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채가 나며 뒷면은 황록색이다. 꽃은 7월에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위쪽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전라남도(보길도)와 제주도에 자생한다. 비쭈기나무에 비해 동아가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으며, 꽃이 다소 크고, 꽃받침과 꽃잎이 마주나며, 수술대에 털이 없으므로 구분된다. 문화동에서. 비쭈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