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일본의 매화 운용매 雲龍梅 Tortuous Dragon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4. 2. 25. 12:33
2월 21일 도쿄에서 만난 백매. 2월 22일 오차노사토 회유식정원에서 만나 홍매. 1월 13일 오사카성에서 만난 운용백매(雲龍白梅). 매실나무 '토투어스 드래곤 Prunus mume ''Tortuous Dragon', 인공이 아닌 자연적으로 가지가 꼬불꼬불한 것이 특징이다. 가지가 자연적으로 휘어져 마치 용이 헤엄치는 것 같거나 구름위의 용 모습같다고 중국에서는 용유매(龍游梅)라 하고, 일본에서는 운용매(雲龍梅)라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매실나무 '토투어스 드래곤' 이라고 등록되어 있다. 송수권이 제주에 자생하는 향전매 (香篆梅) 에 반하여 고전소설 배비장전에 등장하는 배비장과 애랑을 등장시켜 지은 시를 음미해 보자. 배비장과 애랑을 떠올린 시상이 생각할수록 흥미롭다. 서울 봉은사 운용매가 유명하다. 일..
-
가침박달나무 Exochorda serrat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4. 2. 18. 11:02
가침박달 Common Pearlbush. 유앵(柳櫻), 장미과 가침박달속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 높이 1 ~ 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5월 중순~ 6월에 피고 백색이며 3 ~ 8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도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날개가 달리고 7월 ~ 8월 중순에 익는다. 이름은 박달이지만 자작나무과가 아닌 장미과이다. 털가침박달은 잎의 뒷면에 털이 많은데 함경도에서 자란다. 가침은 실로 감아 꿰낸다는 뜻인데 5칸으로 나뉘어진 씨방의 모습이 그렇다는 뜻이고, 수질이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물론 집안도 달라서 가침박달은 장미과이며 박달나무는 자작나무과다.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
-
새들의 양식 피라칸다 Narrow Firethorn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18. 11:30
마이산 금당사. 피라칸다 Narrow Firethorn, Firethorn, 학명 Pyracantha angustifolia, 중국 원산. 장미과 피라칸타속의 상록성 닉엽활엽관목. 높이 1-4m.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 뒷면은 털이 있어 흰빛이 돈다. 꽃은 5-6월에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흰색 또는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납작하고 10월에 등황색 또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적양자(赤陽子)라고 하여 소화, 염증, 건위, 설사, 이질 등에 치료약으로 쓴다. 중국피라칸다의 본명은 착엽화극(窄葉火棘), 즉 좁은 잎에 주황색 열매가 달리는 가시나무란 뜻이다. 서양피라칸다는 열매가 더 붉고 거의 모여 있는 경향이 강하다. 피라칸다 http://ktk84378837.tistory.c..
-
찔레꽃 열매 Rosa multiflor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7. 12:03
찔레꽃 baby brier. 상장미(棠薔薇), 야장미(野薔薇), 들장미, 학명 Rosa multiflora. 학명 Rosa multiflora Thunb. 장미과 장미속의 낙엽성 관목. 높이 2m. 소엽은 5 ~ 9개로 타원형이며 꽃은 5월에 개화하며 지름 2cm로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로 붉은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찔레나무를 숙주로 기생하는 찔레별사탕혹벌이 충영을 만든다. 찔레별사탕혹벌 열매는 영실(營實)이라 하여 “각종 종기와 성병이 낫지 않는 것과 머리에 나는 부스럼과 백독창(白禿瘡) 등에 쓴다.” 뿌리는 “열독풍으로 종기가 생긴 것을 치료하며, 적백이질과 혈변으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고, 어린이가 감충(疳蟲)으로 배가 아파하는 것을 낫게 한다.” 薔薇花(..
-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열매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7. 11:20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황매화의 한 품종이다. 황매화는 열매를 맺지만 죽단화는 암술과 수술이 대부분 꽃잎으로 바뀌어 열매를 맺지 않는다. 박상진은 '우리나무이름사전'에서 '옛날에 임금님이 이꽃을 보고 선택하여 심게하면 어류화(御留花), 선택하지 않고 내보낸 나무는 출단화(黜壇花),라고 불렀는데, 이 출단화에서 변한 이름으로 짐작'했다. 출처: https://ktk84378837.tistory.com/10142 [시사랑꽃사랑:티스토리] 황매화 & 겹황매화 http://ktk84378837.tistory.com/1574 열매 http://ktk84378837.tistory.com/5421 겹황매화 http://ktk84378837.tistory.com/812..
-
가침박달 열매 Common Pearlbush (柳櫻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4. 12:13
가침박달 열매 Common Pearlbush. (柳櫻), 장미과 가침박달속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 높이 1 ~ 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5월 중순~ 6월에 피고 백색이며 3 ~ 8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도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날개가 달리고 7월 ~ 8월 중순에 익는다. 이름은 박달이지만 자작나무과가 아닌 장미과이다. 털가침박달은 잎의 뒷면에 털이 많은데 함경도에서 자란다. 자작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70 http://ktk84378837.tistory.com/4749 물박달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165 http://ktk8437..
-
아그배나무 Siebold's crab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4. 12:07
아그배나무 Siebold's crab, Toringo crab, Three-lobe crabapple, 장미과 사과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학명 Malus sieboldii (Regel) Rehder 높이 2 ~ 10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잎자루에도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지만 점차 백색으로 변하고 꽃잎은 타원상이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4 ~ 6mm로 홍색 또는 황홍색이고 9 ~ 10월에 성숙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돌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38..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11. 4. 11:36
팥배나무 Korean Mauntain Ash, 학명 Sorbus alnifolia. 감당(甘棠), 당이(棠梨), 두이(豆梨). 화추(花楸). 장미과 마가목속의 교목. 열매자루에 팥배 열매가 수백 수천 개씩 열려 있는 모습은 흔한 표현으로 가히 환상적이다. 꽃은 하얗게 피는 모습이 배나무 꽃을 닮았다 하여 팥배나무라 부른다. 열매는 작아도 배나 사과처럼 과육을 가진 이과(梨果) 다. 과실을 水楡果(수유과)라 하며 血虛(혈허)로 인한 勞倦(노권-過勞(과로))을 치료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http://ktk84378837.tistory.com/1712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4396 http://ktk843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