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
산딸기 Wild Strawberrie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7. 4. 08:50
산(山)딸기 Raspberry, Wild Strawberries, wild blackberry, 흰딸, 함박딸, 참딸, 학명 Rubus crataegifolius Bunge.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 잎은 손바닥모양으로 3 ~ 5개로 갈라지며 갈퀴 같은 가시가 있다. 하얀색 꽃은 지름이 2cm로 6월에 피고 꽃잎은 타원형이다. 열매는 둥글고 붉은색으로 7 ~ 8월에 성숙한다. 거제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4462 맛노랑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694 곰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2111 멍석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744 http://ktk..
-
분홍찔레 sweet briar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6. 12. 15:35
분홍찔레 sweet briar. 학명 Rosa rubiginosa L.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 유럽 서아시아 원산. 높이 2~3m. 줄기에는 선모가 있고 가시가 많이 난다. 소엽은 5~9개이며 난형이고 선모가 있으며 톱니가 있고 문지르면 사과향이 난다. 5~10월 사이에가지 끝에서 2~7개가 분홍색으로 피며 5개의 꽃잎이며 수술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주황색으로 익는다. 서대산에서. 돌가시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220 http://ktk84378837.tistory.com/106 http://ktk84378837.tistory.com/2161 찔레꽃 http://ktk84378837.tistory.com/1477 열매 http://ktk84378837.ti..
-
일본조팝나무 Japanese Spirae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6. 12. 15:13
일본조팝나무 Japanese Spiraea.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줄기는 모여 나고 높이 1m에 달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 또는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연한 분홍색, 드물게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우산모양꽃차례에 달린다. 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359 http://ktk84378837.tistory.com/1576 공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279 꼬리조팝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22 http://ktk84378837.tistory.com..
-
왕벚나무 버찌 Japanese Cherry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6. 7. 20:13
왕벚나무 Japanese Cherry, Yoshino Cherry, 일본앵화(日本樱花), 학명 Prunus yedoensis.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15m.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상 달걀꼴이고 뒷면의 맥 위와 잎자루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이중 거치 발달했다. 꽃은 4월 초 ~ 중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백색 또는 홍색이고, 짧은 편평꽃차례에 3 ~ 6개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6 ~ 7월에 검은색으로 성숙한다. 왕벚으로 대표되는 일본이 아니었던가. 그러나 1939년에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가 제주도의 벚나무를 조사하다가 드디어 제주도 왕벚이 일본 왕벚의 부모임을 밝혀냈다. 그러함에도 지금까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음은 심히 유감스런 일이다. P.lan..
-
산사나무 山楂 Crataegus pinnatifid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5. 29. 15:57
위는 횡성휴게소 아래는 내린천산사나무 山楂 Chinese Hawthorn. Hawthorn, 아가위나무, 찔구배나무, 애광나무, 산표자(山票子), 적조자(赤棗字),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장미과 산사나무속 낙엽 활엽 소교목. 잎은 어긋나며 삼각 모양의 달걀꼴로서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5월에 가지 끝에서 산방 꽃차례로 흰색의 오판화가 달려 핀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 조각과 더불어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20개이며 꽃밥은 붉은색이다. 9~10월에 지름 1.5cm 정도의 둥근 이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흰색의 반점이 있다. 열매를 산사자라 하는데 특히 우리나라 것은 토산사(土山査), 중국 것은 산사육(山査肉)이라 한다. 간경변증, 강심제, 강장..
-
솜양지꽃 discolor-cinquefoil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5. 29. 15:48
솜양지꽃 discolor-cinquefoil. 칠양지꽃, 닭의발톱, 닭의밑씻개, 토채(土菜), 욱소삼(郁蘇蔘), 학명 Potentilla discolor Bunge. 본초명 계각초(鷄脚草), 번백초(翻白草), 토율(土栗), 바닷가와 산이나 들의 양지 바른 곳에 자란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전체에 솜 같은 털이 밀생하여 분백색을 나타내며 원줄기는 높이 15~40cm 이다. 어긋나는 근생엽은 3~4쌍의 소엽이 있다. 경생엽은 3출엽이고 소엽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7월에 개화하는 취산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수과는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전초를 蒜白草(번백초)라 하며 淸熱(청열), 해독, 止血(지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솜양지꽃 http://ktk84378837.tisto..
-
마가목(馬牙木) Sorbus commixt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5. 19. 20:53
수락계곡 입구. http://ktk84378837.tistory.com/4675 마가목 Japanese Mountain Ash 장미과의 묘목. 학명 Sorbus commixta. 돋아오르는 새싹이 말의 이빨처럼 힘차게 보인다 하여 마아목(馬牙木)이었는데 쉬운 마가목(馬價木)으로 변했다. 잡화추, 일본화추라고도 부른다. 동의보감에 열매는 정공등(丁公藤)은 폐결핵증세, 부종, 진해, 거담, 비염 등에 좋다. 흰머리를 검게 하고 풍사(風邪)를 물리치기도 한다 하여 무차병 벌목으로 울릉도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했다는 기사가 있었고, 인제 백담마을에서 마가목문화축제를 열기도 한다. 설악산 마가목 / 김승기 고향 설악은 마가목이 지천이지 산마가목 민둥마가목 잔털마가목 왕털마가목 당마가목 흰털당마가목 녹마가목 차빛..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13. 5. 16. 10:45
팥배나무 Korean Mauntain Ash, 학명 Sorbus alnifolia. 감당(甘棠), 당이(棠梨), 두이(豆梨). 화추(花楸). 장미과 마가목속의 교목. 열매자루에 팥배 열매가 수백 수천 개씩 열려 있는 모습은 흔한 표현으로 가히 환상적이다. 꽃은 하얗게 피는 모습이 배나무 꽃을 닮았다 하여 팥배나무라 부른다. 열매는 작아도 배나 사과처럼 과육을 가진 이과(梨果) 다. 과실을 水楡果(수유과)라 하며 血虛(혈허)로 인한 勞倦(노권-過勞(과로))을 치료한다. 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79 아그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5401 돌배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838 팥배나무 htt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