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
안개꽃 annua-baby’s-breath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5. 5. 18. 15:02
안개꽃 annua-baby’s-breath, baby’s-breath, 학명 Gypsophila elegans.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 정도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마주나는 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약간 육질이고 분록색이다. 꽃은 흰색이고 절화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한창 꽃이 피어날 때는 안개가 서린 것처럼 희뿌옇게 된다고 하여 안개꽃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깁소필라 Gypsophila 는 석회질의 토양에 잘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서 이 꽃의 성질을 잘 말해 주고 있다고 한다. 보탑사. 물안개 http://ktk84378837.tistory.com/4172 http://ktk84378837.tistory.com/5938 안개꽃 http://ktk84378837.tistor..
-
자주덩굴별꽃 Purple-stem berry catchfly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4. 10. 13. 20:52
자주덩굴별꽃 Purple-stem berry catchfly. 석죽과 덩굴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길이가 1.7m.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모양이며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잎의 색깔은 자주색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에 꽃이 1개씩 옆을 향해 달린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 씨방은 1실이다. 全草(전초)를 和筋草(화근초)라 하며 구토, 尿閉(요폐), 風寒氣痛(풍한기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조령산. 덩굴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5367 자주덩굴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6158 덩굴별꽃 / 김승기 꽃이 덩굴지면 별이 되는가 별이 덩굴지면 꽃이 되는가 낮에는 꽃이었다가 밤에는 별이었다가 밤낮으로 지상..
-
털동자꽃 Brilliant Campion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4. 6. 5. 12:06
털동자꽃 Brilliant Campion. 호동자꽃, 석죽과 동자꽃속의 다년초. 학명 Lychnis fulgens. 전체에 길고 연한 흰 털이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100cm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6-8월에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를 이루어 달리며 주홍색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막질이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5장으로 납작하게 벌어지고 끝이 깊게 2갈래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5개다. 열매는 둥근 타원형의 삭과다. 씨는 검은색에 가깝고 작으며 겉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 가는동자꽃 : 전체에 역향이며 털이 나고, 줄기는 모가 진다.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5-10㎝이다. • 제비동자꽃 ..
-
패랭이꽃 Dianthus sinensi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3. 11. 14. 20:58
패랭이꽃 Dianthus sinensis. 석죽화(石竹花), 남천축초(南天竺草), 꽃패랭이, 참대풀, 지여죽(枝如竹), 구맥(瞿麥). 학명 Dianthus chinensis, 석죽과 패랭이꽃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30cm 정도이며, 6~8월에 연한 붉은색의 꽃이 가지 끝에 핀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모두 5장이다. 9∼10월에 원통 모양의 삭과를 맺는다. 한방에선 7~8월에 꽃과 열매가 달린 전초를 瞿麥(구맥)이라 하며 치습제, 사습제, 소염제, 이뇨제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 갯패랭이꽃는 바닷가에 자라고, 난장이패랭이꽃은 백두산지역의 고산에 분포하고, 술패랭이꽃은 꽃잎에 술이 달렸다. 양산 강선대에서. 술패랭이 http://ktk84378837.tistory.com/4789 http://ktk84..
-
덩굴별꽃 열매 Cucubalus baccifer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3. 10. 28. 13:54
덩굴별꽃 열매 Cucubalus baccifer 일본구조만, 덩굴별. 석죽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길이가 1.7m. 덩굴줄기에 잎이 마주나며 꽃은 한송이씩 옆을 향해 달린다. 잎은 마주나며 끝은 뾰족하고 맡은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가 된다. 7~8월에 개화하며 흰꽃이 가지 끝에 한송이씩 옆을 향해 핀다. 열매는 삭과인데 지름 6∼8mm로 둥글고 검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둔한 돌기가 있으며 흑갈색이다. 全草(전초)를 和筋草(화근초)라 하며 구토, 尿閉(요폐), 風寒氣痛(풍한기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전체에 꼬불꼬불한 털이 나 있다. 자주덩굴별꽃은 줄기와 잎이 자주색이다. 덩굴별꽃 씨앗 http://ktk84378837.tistory.com/5367 덩굴별꽃 http://ktk84378837.tistor..
-
동자꽃 lobate-campion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3. 9. 2. 22:16
덕유산. 동자꽃 lobate-campion. 참동자, 전추라(剪秋羅), 전하라(剪夏羅), 학명 Lychnis cognate. 석죽과 동자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 40~100cm 정도이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5~8cm, 너비 2~5cm 정도의 난상 타원형으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황록색이다. 7~8월에 개화하며 원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소화경에 1개씩 달리는 꽃은 진한 적색이다. 삭과는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고 많은 종자가 있다. ‘털동자꽃’과 달리 전체에 털이 적고 꽃잎은 얕게 갈라지며 꽃받침의 길이가 2~3cm 정도로 더 길다. 연한 잎과 줄기를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감한, 두창, 해독, 해열에 효과를 보인다. 백우산에서. • 가는동자꽃 : 전체에 역향이며 털이 나고..
-
대나물 Oldhamiana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3. 8. 26. 11:50
대나물 gypsophyll, Oldhamiana, 은호(銀胡), 토삼(土參). 사석죽(絲石竹), 은하시호(銀厦柴胡), 석죽과의 다년초. 학명 Gypsophila oldhamiana 북한명 마디나물. 해안지방의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없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3~6cm, 너비 5~10mm 정도의 피침형이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6~8월에 개화한다.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백색의 꽃이 많이 달린다. 삭과는 둥글며 4개로 갈라진다. 연한 잎과 줄기를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이북ㅇ에 분포하고 잎의 너비가 1~3cm 이상이며 밑부분이 넓어서 원줄기를 감싸는 것을 가는대나물이라고 한다. 한약명은 은시호(銀柴胡)로 열을 내리는데 효능이 있다. 울릉도에서. 끈..
-
우단동자꽃 Rosa Campion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3. 6. 21. 20:28
로사 캠피온(Rosa Campion;우단동자꽃). 잎이 촛불심지로 알맞아 램프꽃, 선옹초(仙翁草), 학명 Lychnis coronaria L. Silene coronaria L. 영명 Dusty-miller, Mullein-pink, Rose Campion, 일본명 취선옹(醉仙翁) 또는 수선옹(水仙翁). 석죽과의 다년생초. 전체에 비단처럼 부드러운 흰 솜털(羽緞)이 빽빽하게 나고 동자꽃 모양이므로 우단동자라 한다유럽 남부와 서아시아 원산의 플란넬초(전체가 면모로 쌓여 부드러운 감촉). 크기는 30-70cm. 꽃은 6∼7월에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피는데, 지름 3cm 정도로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잎 5개, 수술 10개, 암술대 5개이며 꽃받침통은 길이 1.5cm 정도로서 뚜렷한 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