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
향기카네이션 Dianthus caryophyllu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4. 4. 8. 23:16
향기카네이션 Dianthus caryophyllus L. 석죽과, 유럽 아시아 서부 원산. 학명은 Dianthus caryophyllus L. 유럽과 아시아 서부가 원산지이며, 20세기에 라틴어 carneus에서 유래되었다. 옛 명칭은 코러네이션(coronation)이다. 달콤한 향기가 있는 꽃은 7, 8월에 핀다. 흰색에서 분홍색, 빨간색, 줄무늬, 자주색 등이다. 1910년경 미국의 한 여성이 어머니를 추모하기 위하여 흰카네이션을 교인들에게 나누어 준 뒤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에 사랑과 존경과 감사의 뜻으로 붉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아 드리고 있다. 관상용 이외에 차로도 즐길 수 있는데 요도염, 방광염, 시력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세종수목원.
-
안개꽃 annua-baby’s-breath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3. 4. 26. 21:32
안개꽃 annua-baby’s-breath, baby’s-breath, 학명 Gypsophila elegans.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 정도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마주나는 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약간 육질이고 분록색이다. 꽃은 흰색이고 절화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한창 꽃이 피어날 때는 안개가 서린 것처럼 희뿌옇게 된다고 하여 안개꽃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깁소필라 Gypsophila 는 석회질의 토양에 잘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서 이 꽃의 성질을 잘 말해 주고 있다고 한다. 안개꽃 / 복효근 꽃이라면 안개꽃이고 싶다 장미의 한복판에 부서지는 햇빛이기보다는 그 아름다움을 거드는 안개이고 싶다 나로 하여 네가 아름다울 수 있다면 네 몫의 축복 뒤에서 나는 안개처럼 스러지는..
-
탈리눔 파니쿨라툼 리몬 Talinum paniculatum Limon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22. 9. 2. 23:11
탈리눔 파니쿨라툼 리몬 Talinum paniculatum Limon, fameflower, Jewels of Opar, 산지카, 안개꽃 닮아 열매안개, 잎안개, 하제란, 황제꽃. 자금성 부근에서 약용 재배하므로 자금성(紫禁城), 土人参. 오후 3시경 핀다고 세시화라기에 설마, 웃어넘겼다. 꽃집이 오가는 길목인지라 오전에 봐도 봉오리뿐 늦은 오후에 가도 봉오리뿐 당최 꽃을 볼 수가 없었다. 어느날 속는셈 치고 부러 세 시에 갔다, 진짜 꽃이 피었다. 신기하다. 작고 연악해 세시화(細視花). 열매가 보석같다고 오팔보석. 안개꽃 닮았다고 잎안개꽃이란 이명이 따라 붙는다. 석죽목 탈리눔과. 직경5mm의 진분홍꽃이 피고 씨방은 붉은색 구슬처럼 변한다. 씨앗으로 번식한다. 꽃말은 맑은 마음, 깨끗한 마음, ..
-
분홍장구채 Pink catchfly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7. 9. 4. 22:14
식장산. 한 발 늦었지만 그나마 다행인가. 땅 좁은 줄 알고 미리부터 높은산 척박한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안분과 배려와 용기. 분홍장구채 Pink catchfly, 구슬꽃대나물, 애기대나물 같은 이명이 있다. 학명 Silene capitate,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의 여러해살이풀. 계곡과 산지의 양지바른 바위틈에서 자라며 높이 30~45㎝이다. 줄기에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이다. 꽃은 7~9월에 분홍색으로 핀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겉에 10개의 맥이 있다. 꽃잎은 5개인데 끝이 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익으면 벌어져 씨를 퍼뜨리는 삭과(殼果)로 달걀 모양이다.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갯장구채 http://ktk843..
-
가는장구채 Silene seoulensi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6. 10. 6. 21:18
가는장구채 Seoul catchfly, Slender catchfly,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의 한해살이풀, 학명 Silene seoulensis Nakai 산지의 숲 속 응달에서 자란다.높이가 50cm.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의 많은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종형이고 5갈래이다. 꽃잎도 5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종소명 seoulensis 은 서울선이란 뜻이며 한국 특산. 장태산. 장구채 http://ktk84378837.tistory.com/1028 http://ktk84378837.tistory.com/4336 http://ktk84378837.tistory.com/3732 갯..
-
긴잎큰개미자리 Sagina maxima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6. 9. 14. 23:34
긴잎큰개미자리 Sagina maxima, 중심자목 석죽과 개미자리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5-25cm이고 밑에서 가지를 치며 털이 없다. 잎은 아래에서 모여 나며, 실 모양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잎은 5장, 흰색이고 꽃받침잎보다 길이가 약간 짧거나 거의 같다. 수술과 암술은 각각 5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울릉도. 개미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771 http://ktk84378837.tistory.com/4693 http://ktk84378837.tistory.com/1504 긴잎큰개미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7648 벼룩나물 http://ktk84378837.t..
-
울릉장구채 Ulleung catchfly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6. 9. 12. 17:22
울릉장구채 Ulleung catchfly, 학명 Silene takesimensis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50cm. 잎은 마주나기하고 선상 피침형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의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려서 원뿔모양꽃차례를 만든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쐐기모양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진다. 삭과는 타원형이며 종자는 콩팥모양이다. 바위 겉에 난다. 한국특산식물이다. 울릉도에서. 장구채 http://ktk84378837.tistory.com/4336 http://ktk84378837.tistory.com/3732 갯장구채 http://ktk84378837.tistory.com/111 끈끈이장구채 http://ktk84378837.tis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