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
큰개별꽃 Giant false-starwort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1. 5. 20. 17:46
큰개별꽃 Giant false-starwort, 석죽과 개별꽃속의 다년생초. 학명 Pseudostellaria palibiniana. 줄기는 높이 10-20cm이며 겉에 털이 2줄로 난다.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에 항상 1개씩 달리고, 흰색이다. 꽃자루에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5-8장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3개다. 열매는 삭과이다. 큰개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778 http://ktk84378837.tistory.com/848 http://ktk84378837.tistory.com/3352 덩굴개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4730 개별꽃 http://ktk8437883..
-
벼룩나물 Stellaria alsine -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1. 5. 9. 12:58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벼룩만큼 작은 잎을 가진 나물에서 유래하는 구황식물이다. 벌금자리, 개미바늘, 애기별꽃 같은 방언이 있다. 학명 Stellaria uliginosa Murray, 우리말 고어는 국수청이. 중국명으로 雀舌草(que she cao)이며 일본명 노미노후수마(蚤衾, 조금)에 벼룩이 들어가 있다. 생약명은 천봉초(天蓬草)이며 傷風感冒(상풍감모), 이질, 痔漏(치루), 타박상을 치료한다. 개미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771 http://ktk84378837.tistory.com/4693 http://ktk84378837.tistory.com/1504 벼룩나물 http://ktk84378837.tistory.com/811 http://ktk84378837.ti..
-
유럽점나도나물 Cerastium lomeratum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1. 5. 6. 22:52
유럽점나도나물 sticky-mouseear, 구서권이(球序卷耳), 석죽과 두해살이풀인 점나도나물은 이름부터 기이하다. 학명 세라스티움(Cerastium lomeratum )은 그리스어의 Cerastes(뿔 모양)에서 유래하였다, 일본명 이채초(耳菜草)는 쥐의 귀 모양을 닮은 풀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는데, 우리말 점나도나물은 참 어렵게 다가온다. 높이 15~30cm 정도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상부에는 점질의 털이 밀생한다.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고 잎몸은 길이 7~14mm, 너비 3~7mm 정도의 난형으로 잔털이 있다. 4~5월에 백색으로 개화한다. 점나도나물과 비슷하지만 소화경이 꽃받침보다 짧거나 같고 선모와 퍼진 털이 밀생한다. 논둑 밭둑에서 많이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가축의 먹..
-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1. 4. 30. 15:07
큰개별꽃 Giant false-starwort, 석죽과 개별꽃속의 다년생초. 학명 Pseudostellaria palibiniana. 줄기는 높이 10-20cm이며 겉에 털이 2줄로 난다.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에 항상 1개씩 달리고, 흰색이다. 꽃자루에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5-8장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3개다. 열매는 삭과이다. 큰개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778 http://ktk84378837.tistory.com/848 http://ktk84378837.tistory.com/3352 개별꽃 http://ktk84378837.tistory.com/1540 덩굴개별꽃 http://ktk8437883..
-
별꽃과 쇠별꽃 구분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1. 4. 30. 14:43
위 별꽃은 암술대가 3갈래이다. 아래 쇠별꽃은 암술대가 5갈래이다.별꽃이 쇠별꽃 보다 먼저 핀다.잎줄기가 별꽃은 없고 쇠별꽃은 있다.별꽃은 줄기가 갈라짐이 없고 털이 보이지 않는다.쇠별꽃은 줄기가 두 갈래로 갈라지며 털이 보인다.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 water-stichwort, 콩버무리, 자초(滋草), 번루(繁縷), 계아장(鷄兒腸), 학명 Stellaria aquatic. 석죽과의 한두해살이풀. 5~6월에 백색의 오판화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취산 꽃차례를 이루는데 꽃이 피는데 암술대가 5갈래로 갈라진다. 8~9월에 달걀 모양의 삭과가 달려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생약명은 우번루(牛繁縷) 인데 비장, 신장, 대장경에 효험이 있다. 쇠별꽃 http://..
-
비누풀 Saponaria officinalis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0. 7. 26. 11:53
과례마을.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에 의해 미기록종으로 영종도에서 발견되었다고 공식 발표한 것이 금년 3월이다. http://kid.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07/2010030700539.html 비누풀 Soapwort. 거품장구채, 중심자목 석죽과 비누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허브식물. Soapwort, Bouncing bet, 석화(石花), 학명 Saponaria officinalis L. 유럽 원산. 높이 50-90㎝. 잎은 마주나기,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흰색, 연분홍색이고 줄기 끝에 모여 붙는다. 꽃받침은 5갈래, 꽃잎은 5장, 수술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모양이다. 뿌리나 잎을 끓여 비누로 사용했다고 해서 비누풀이다. 뿌리와 잎에..
-
가는장구채 Seoul catchfly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0. 7. 15. 10:47
가는장구채 Seoul catchfly, Slender catchfly,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의 한해살이풀, 학명 Silene seoulensis Nakai 산지의 숲 속 응달에서 자란다.높이가 50cm.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의 많은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종형이고 5갈래이다. 꽃잎도 5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종소명 seoulensis 은 서울선이란 뜻이며 한국 특산. • 장구채 : 산과 들에서 자라며, 키는 30~80㎝이다. 마디는 검은 자주색이 돌고, 꽃은 7월에 흰색으로 핀다. • 애기장구채 : 전체에 회색의 잔털이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2-8㎝, ..
-
패랭이꽃 Chinese pink초목류 wild flower/석죽과 Caryophyllaceae 2010. 7. 10. 22:27
패랭이꽃 Dianthus sinensis, 석죽화,(石竹花), 남천축초(南天竺草), 꽃패랭이, 참대풀이, 지여죽(枝如竹). 구맥(瞿麥), 마디마다 2장씩 마주나는데 댓잎피침형으로 잎자루는 없다. 6∼8월에 분홍색 꽃이 줄기 위쪽에서 약간 갈라진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핀다. 꽃받침은 원통형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그 밑에 있는 작은 꽃턱잎은 4개이다. 9∼10월에 익는 원통 모양의 삭과 안에는 검은 색의 씨앗이 들어 있다. 패랭이는 본래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상제가 썼던 모자다. 모양은 통용되는 갓과 비슷하나 가늘게 오린 댓개비를 재료로 만들었다. 선비들은 평상시에 쓰지 아니하였고, 상인(喪人)이 되어 삼년 상복기는 지냈으나 담제를 지내지 않은 사람이 외출할 때에 패랭이를 썼다. 상인과 천민에게는 패랭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