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
맨드라미 cock’s-comb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2. 9. 14. 16:08
맨드라미 cock’s-comb. Celosia cristata, 꽃이 수탉의 벼슬과 같다 하여 계관화(鷄冠花), 계공화(鷄公花), 계두(鷄頭)라고도 한다. 학명 Celosia cristata. 비름과의 한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90cm. 맨드라미라는 이름은 닭의 볏이라는 강원도 방언의 면두에서 유래해 면두리, 맨들로 변했다고 알려져 있다. 꽃의 모양은 닭의 볏을 표상하는데, 닭은 조선시대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선비들에게 입신양명의 상징이었다. 당시 선비들은 닭의 볏을 학문적 성취와 출세에 견주었고, 때로 닭의 볏을 닮은 맨드라미 꽃을 화폭에 옮기었다. 줄기는 곧게 서고 흔히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씨를 청상자(靑箱子) 혹은 유관실(類冠實)이라고 하여 주로 피부과, 비뇨기 질환, 내장출혈, 안과 질..
-
쇠무릎 twotooth-achyranthes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1. 11. 18. 20:21
쇠무릎 twotooth-achyranthes. 우석(牛夕), 백배(百倍), 접골초(接骨草), 학명 Achyranthes japonica. 줄기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튀어나왔다고 쇠무릎이래 ㅋㅋ 본초명은 계교골(鷄膠骨), 우슬(牛膝), 토우슬(土牛膝), 후비초(喉痹草) 키 60~120cm. 잎은 마주나고 8~9월에 녹생으로 개화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주로 비뇨기, 신경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리며, 부인과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한방에선 그 뿌리를 우슬(牛膝)이라 하여 요퇴부와 허리 이하 다리의 통증과 타박염좌에 사용한다..우슬을 재료로 우슬 식혜를 만드는데 수문사설과 조선요리제법에 소개되어 있다.겨울인 줄도 모르고 아직도 싱그럽다. 저러다 서리 한 방에 초토화될 텐데. 며칠 전엔 여뀌며 나팔꽃이며 철쭉이..
-
천일홍 千日紅 globe-amaranth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1. 9. 26. 21:54
기차가 서지 않는 용궁역에 사람이 있을리야.사람 없는 곳에 꽃인들 천일동안 필리야. 용궁 문지기 청룡만이 여의주만 희롱하랴. 천일홍 千日紅 globe-amaranth. 천금홍(千金紅), 학명 Gomphrena globosa L. 북한명 천날살이풀, 곤수화(滾水花), 장생화(長生花), 천일홍(千日紅), 화구화(火球花), 비름과의 하루해살이풀. 중남미 원산. 전체에 털이 있고 높이 40cm.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짧다. 잎몸은 긴 타원형이다. 꽃은 7~10월에 피고 가지 끝에 1개의 두상꽃차례가 달리며 잎 같은 포가 받치고 있다. 꽃색은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인 것도 있다. 불상을 장식하는 꽃이다. 열매에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기침, 거담, 백일해, 이질 등에 약효가 있다. 예천. 천일홍 연가 / 최범..
-
촛불맨드라미 Feather Cockscome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0. 10. 23. 20:38
촛불처럼 보이나요? 촛불맨드라미 Feather Cockscome, Celosia cristata, 불꽃맨드라미, 횃불맨드라미, 미니맨드라미, 석죽목 비름과 맨드라미속의 한해살이풀. 인도 원산. 비구니절 7~8월 개화, 맨드라미 http://ktk84378837.tistory.com/4197 촛대맨드라미 http://ktk84378837.tistory.com/984 심사정의 맨드라미 / 심종은 하늘이 너무 싯푸러서인가 맨드라미 똘똘 뭉친 꽃잎이 검붉어서 그런가 예전에 미처 몰랐던 일. 쪼개어 벌린 가슴에 가득 담긴 빛 말간 사랑의 맥박을 앙증스럽게 쥐어 본다. 화단에 우뚝 솟아서 먼 창천을 향한 커다란 기지개는 무언의 바램인가 기다림인가 돌아볼 때마다 부쩍 자라나서는 도사려 보는 위용(威容)으로 사방에 팔..
-
쇠무릎 Achyranthes japonic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09. 9. 11. 12:58
이름하고는 전혀 상관 없을 듯한 쇠무릎. 쇠무릎은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산현채(山見菜)·대절채(對節菜)·쇠물팍·쇠무릎지기·은실·백배·마청초라고도 한다. 쇠무릎의 한자말은 우슬초(牛膝草)인데 네모난 줄기의 마디가 소의 무릎을 닮아 붙은 이름이다. 재미난 이름 가운데 하나인 아주 흔한 식물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이뇨·강정·통경에 쓰며, 민간에서는 임질과 두통약으로 쓴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로는 술을 담근다. 쇠무릎 twotooth-achyranthes. 우석(牛夕), 백배(百倍), 접골초(接骨草), 학명 Achyranthes japonica. 줄기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튀어나왔다고 쇠무릎이래 ㅋㅋ 본초명은 계교골(鷄膠骨), 우슬(牛膝), 토우슬(土牛膝), 후비초(喉痹..
-
채송화(菜松花) Portulaca grandiflor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09. 8. 3. 12:31
강원도, 함남도 방언은 앉은뱅이꽃. 불갑초(佛甲草), 만년초(萬年草), common-portulaca, 따꽃, 댕명화, 양마치현, 대명화, 학명 Portulaca grandiflora, 석죽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10-20cm, 잎자루는 없고 어긋나며 원주형이며 잎겨드랑이에 흰 털이 나며 다육질이다. 꽃은 가지 끝에서 1-3개씩 피며 붉은색,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피고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자루는 없다. 꽃잎은 5장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대는 5-9갈래다. 열매는 삭과이며 익으면 갈라져서 터진다. 아주 작은 씨는 많고 검은색이다. 全草(전초)를 半枝蓮(반지련)이라 하며 咽喉腫痛(인후종통), 타박상, 濕瘡(습창), 탕,화상(湯,火傷)을 치료한다. 바위채송화 http://ktk84378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