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
레위시아 Lewisi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7. 6. 30. 13:46
전주전통식당 주인이 네시아라고 하기에 명함쪽지에 적어와 칮으니 넨시아, 레인시아라고는 해도 네시아라는 말은 없다. 북미 원산이며 본명이 레위시아 코디레돈 Lewisia cotyledon 이다. 시장에서 유통되는 이름은 말 그대로 가지가지다. 흰색, 분홍색, 주홍색, 보라색 꽃이 있다. 전주. 엔진플러그 교체하러 찾아간 신탄진 진성카공업사 사무실에서. 2023.2.21 레위시아 https://ktk84378837.tistory.com/8210
-
쇠무릎 twotooth-achyranthes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7. 6. 11. 16:14
쇠무릎 twotooth-achyranthes. 우석(牛夕), 백배(百倍), 접골초(接骨草), 학명 Achyranthes japonica. 줄기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튀어나왔다고 쇠무릎이래 ㅋㅋ 본초명은 계교골(鷄膠骨), 우슬(牛膝), 토우슬(土牛膝), 후비초(喉痹草) 키 60~120cm. 잎은 마주나고 8~9월에 녹생으로 개화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주로 비뇨기, 신경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리며, 부인과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한방에선 그 뿌리를 우슬(牛膝)이라 하여 요퇴부와 허리 이하 다리의 통증과 타박염좌에 사용한다..우슬을 재료로 우슬 식혜를 만드는데 수문사설과 조선요리제법에 소개되어 있다. 대청호. 쇠무릎 http://ktk84378837.tistory.com/1911 http://ktk84378..
-
섬기린초 麒麟草 Ulleungdo stonecrop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6. 9. 14. 23:52
섬기린초 麒麟草 Ulleungdo stonecrop,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울릉도 특산, 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높이 50cm..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6-7쌍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피고 황색이며 20~30송이가 달린다. 꽃받침은 선형이며 꽃잎도 피침형이고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황적색이며 암술은 5개이고 암술머리는 황록색이다. 줄기 밑부분이 살아 있다가 다음 해 봄에 싹이 나온다. 울릉도. 가는기린초 http://ktk84378837.tistory.com/6644 기린초 http://ktk84378837.tistory.com/734 http://ktk84378837.tistory.com/4822 섬기린초 http://ktk84378837...
-
가는기린초 Sedum aizoon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5. 6. 29. 14:22
가는기린초 Sedum aizoon. 백삼칠(白三七), 마삼칠(馬三七), 양심초(養心草), 범의귀목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50cm. 잎은 어긋나기하며 좁고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다. 수술은 10개로서 암술은 5개이다. 열매는 달걀모양(卵形)이고 8-9월에 성숙한다. 全草(전초)는 景天三七(경천삼칠)이며 강장보호, 단독, 대하증, 변혈, 붕루, 비뉵혈, 선혈 등 주로 혈증과 간경을 보호한다. 가는기린초 http://ktk84378837.tistory.com/6644 기린초 http://ktk84378837.tistory.com/734 http://ktk84378837.tistory.com/4822 애기기린초 http..
-
아악무(雅楽舞) Portulacaria Afr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5. 6. 25. 17:09
아프리카 모잠비크 원산. 학명 Portulacaria Afra 아악무(雅樂舞) Portulacaria Afra, 코끼리의 먹이로 쓰인다고 코끼리풀. 은행알을 닮아 은행목, Rainbow Bush, 사랑무라는 이름도 있다. 아악은 중국 송나라에서 수입되어 고려 조선조에 궁중에서 사용하던 음악인데...향악(鄕樂), 당악(唐樂)과 함께 3대 궁중음악이다. 아악을 연주할 때 추는 춤이라니 이름이 신비롭다.. 작은 관목형으로 줄기는 붉은 갈색이 나며 짧은 가지가 많이 난다. 잎은 길이 12mm, 폭 10mm 정도에 두께가 2mm 정도이다. 아악무 ktk84378837.tistory.com/manage/6631
-
촛불맨드라미 Feather Cockscome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5. 5. 18. 13:14
촛불맨드라미 Feather Cockscome, Celosia cristata, 불꽃맨드라미, 횃불맨드라미, 미니맨드라미, 석죽목 비름과 맨드라미속의 한해살이풀. 인도 원산. 비구니절 7~8월 개화, 보탑사. 맨드라미 http://ktk84378837.tistory.com/4197 http://ktk84378837.tistory.com/1943 http://ktk84378837.tistory.com/6176 촛대맨드라미 http://ktk84378837.tistory.com/984 http://ktk84378837.tistory.com/6529 맨드라미 / 김덕성 진정 그대를 사랑의 불꽃이라 이름하고 싶습니다. 희마하게 불 붓는 그런 불꽃이 아닌 불꽃놀이처럼 하늘 높이 치솟아 오르듯이 열정을 다하여 바치는..
-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초목류 wild flower/비름과,쇠비름과 Amaranthaceae,Portulacaceae 2014. 10. 24. 15:11
단기맨드라미 cock’s-comb, Celosia cristata. 계두(鷄頭), 계관초(鷄冠草), 단기맨드라미, 긴잎맨드라미, 조선시대 이름으로는 백만월아화(白蔓月阿花), 백만월아비(白蔓月阿比)가 있다. 중심자목 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인니 아시아 열대 원산. 높이 90cm. 잎 어긋나며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다. 7~8월에 붉은색, 노란색, 흰색으로 핀다. 씨를 鷄冠子(계관자), 유관실(類冠實)은 凉血(양혈), 지혈, 식중독과 설사를 막아주는 기능을 했다. 맨드라미며 봉선화는 울 밑에서 나야 어울린다. 맨드라미는 닭의 벼슬 같다고 계관화(雞冠花) 참 멋드러진 이름이다. 우리말로 맨드라미는 닭의 볏을 뜻하는 강원도 방언인 '면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머리나 정수리의 고어가 맨드라미인데 여기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