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
물피 Long-awned barnyard gras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2. 16:14
물피 Long-awned barnyard grass, 학명 Echinochloa crus-galli . 벼과 피속의 수생 한해살이풀. 모여 나는 줄기는 높이 80~160cm 로 군락으로 밀생할 때에는 약간 곧추 자라는 경향이 있다. 선형의 잎몸은 털이 없다. 7~8월에 개화한다. 길이 15~30cm 정도의 원추꽃차례는 가지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밀생하는 소수는 적자색을 띠며 까락이 2~8cm 정도로 길다. 황록색 또는 담녹색이며 소수의 길이가 5mm 정도이고 까락이 2~8cm 정도로 길며 잎 가장자리가 두꺼운 점이 돌피와 다르다. 논에서 피해를 가장 많이 주는 문제잡초이다. 종자와 뿌리을 장망야패(長芒野稗)라 하여 식용하거나 새 모이로 사용한다. 출수 전까지 목초나 퇴비로 이용한다. 물피 http://..
-
줄 Broad-leaved rice gras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2. 16:13
줄 Broad-leaved rice grass. 교백자, 고실라, 학명 Zizania caduc,iflora , 벼목 화본과 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80-200cm이다. 잎집은 두툼하고 마디 사이보다 길다. 잎혀는 길이 10-15mm, 흰색 막질이다. 잎몸은 길이 80-100cm, 폭 2-3cm이다. 꽃은 8-9월에 녹색, 자주색으로 핀다. 원추꽃차례는 길이 30-60cm이며, 윗부분에는 암꽃이 달리고 아래에는 수꽃이 달린다. 수꽃 작은이삭은 피침형이며 수술은 6개이다. 암꽃 작은이삭은 길이 18-25mm이며 까락이 있다. 줄기와 뿌리줄기를 먹을 수 있다. 가축먹이로도 쓸 수 있다. 민간약으로 빈혈, 심장병, 이뇨제, 불에 데었을 때 쓰기도 한다.
-
바랭이 Southern crabgras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0. 09:37
바랭이 Southern crabgrass. 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40-70cm. 엽신은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8-20cm, 나비 5-12mm로서 분록색 또는 연한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는 두꺼우며 껄끄럽다. 꽃은 7-8월에 피고 꽃차례는 나중에 높이 자라며 3-8개의 가지가 달리고 가지는 비스듬히 퍼지며 길이 5-1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全草(전초)를 馬唐(마당)이라 하며 調中(조중), 明耳目(명이목), 潤肺(윤폐)의 효능이 있다. 바랭이 http://ktk84378837.tistory.com/5116 바랭이 / 박종헌 사방팔방으로 한 발씩 포복경을 뻗어 하늘 낮은 삶으로 질긴 목숨 여우비라도 뿌리고 가면 한 뼘씩 자라서 밭두덕이며 고랑마다 온통 바랭이 풀이다 질긴 ..
-
금강아지풀 Setaria glauca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0. 09:35
금강아지풀 Golden Bristlegrass. Yellow foxtail grass, cattail-millet, 금구미초(金狗尾草), 황구미초, 황모유, 금가라지풀, 학명 Setaria glauca , 줄기는 높이 20-60cm이다. 줄기 아래에 있는 잎집은 납작하며 윗부분에 있는 잎집은 둥글고 윤기가 난다. 잎혀는 길이 1mm 정도의 연한 털이 줄지어 있다. 잎몸은 길이 10-25cm, 폭 2-8mm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꽃차례는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은 원기둥 모양이다. 작은이삭은 난형이며, 아래에 있는 가시털이 금빛을 띤다. 全草(전초)를 狗尾草(구미초)라 하며 癰腫(옹종), 瘡癬(창선), 赤眼(적안), 廂目(우목)을 치료한다. 강아지풀 http://ktk84378837.tistory...
-
강아지풀 Setaria vridi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9. 10. 09:34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Green Bristlegrass, 구미초(狗尾草), 낭미초(狼尾草), 개꼬리풀, 자주강아지풀, 학명 Setaria vridis (L.) Beauv. 벼과의 한해살이풀.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곧추서서 나오며 키는 40~70cm 정도 된다. 잎은 줄기의 마디마다 1장씩 달리며 길이는 10~20cm, 나비는 5~17mm정도 되고 털이 없다. 뿌리는 수염뿌리이고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강아지풀과 비슷한 종에는 금강아지풀, 갯강아지풀, 수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등이 있다. 강아지풀 http://ktk84378837.tistory.com/1227 http://ktk84378837.tistory.com/5114 금강아지풀 http://ktk84378837.tistory.co..
-
삘기라 불렀던 띠 Implerata cylindrica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7. 2. 12:21
삘기, 삐삐로 알고 있었는데 나중에 띠라고 불렀다. 봄철 띠의 새로 돋아나는 순이 삘기다. 전라도에선 삘기송편을 만들었다. 삘기뽑기 내기놀이도 하였다. 초간모옥(草間茅屋)의 모가 띠를 가리킨다. 삘기를 뽑아 군것질을 하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 띠 Implerata cylindrica. 벼과 > 띠속의 여러해살이풀. 동아시아의 온대지방에 분포. 마디가 있는 땅속줄기에서 줄기가 나와 곧추서서 80cm 정도 자란다. 꽃은 흰색이며 5~6월에 줄기 끝에서 길이가 20cm에 달하는 수상꽃차례(흔히 이삭이라고 부름)로 핀다. 땅속줄기를 캐서 햇볕에 말린 모근은 한방에서 발한·이뇨·지혈 등에 쓴다. 더위 먹었을 때 땅속줄기와 메밀 볶은 것을 갈아서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으며, 딸국질에도 좋다. 띠 http://ktk..
-
갈풀 Reed canary-grass, canary-reed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6. 7. 20:10
갈풀 Reed canary-grass, canary-reed. 달, 학명 Phalaris arundinacea L. 벼목 화본과 갈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보통 1개가 나와 곧게 자라며 높이 50-120cm이다. 잎집에는 털이 없다. 잎몸은 길이 10-30cm, 폭 5-15cm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꽃차례는 원추꽃차례로 곧추서고 길이 8-15cm이다. 작은이삭은 난형으로 길이 4-5mm이며, 낱꽃 3개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 1개만 양성화이다. 외영은 넓은 피침형으로 까락이 없다. 외견상 산조풀에 유사하나 잎이 분록색이고 소수 기부에 기모가 없다. 사료나 퇴비로 이용하며 먹기도 한다. 본초명 역초(鷊草)는 곽란, 당뇨, 이뇨, 중독, 지혈, 홍역에 사용한다. 달뿌리풀 http://ktk84378..
-
밀 wheat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5. 29. 14:32
밀 wheat. 소맥(小麥). 학명은 Triticum aestivum L. 밀의 원형은 BC 7000년에 이미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자라고 있었다. 한국에는 인도와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라 및 백제 시대의 유적에서 탄화된 밀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재배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중요한 식용작물의 하나로 밋밋하며 마디가 길고 2, 3대가 같이 나와서 높이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13∼15㎝, 너비 1∼2㎝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뒤로 처진다. 꽃은 5월에 핀다. 개기장 http://ktk84378837.tistory.com/2520 밀 http://ktk84378837.tistory.com/4708 바랭이 http://ktk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