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
뚝새풀 water foxtail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5. 28. 16:15
뚝새풀 short awn ,water foxtail. foxtail. 독개풀, 독새풀, 산독새풀, 독새, 독새기, 개풀, 학명 Alopecurus aequalis Sobol. 본초명 간맥낭(看麥娘),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논이며 밭이며 번식력이 좋아 천지를 이루기에 봄철 농부들에게 가장 성가신 잡초 중의 하나다. 향명으로 독새라 하였는데 어릴 때 독이 많은 풀인가 보다 했던 기억이 난다..소의 먹이로 쓰는데, 꽃이 핀 것은 소가 먹지 않는다. 높이 20~40cm 정도로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털뚝새풀보다 짧은 까락이 있고 꽃밥이 황갈색이다. 소가 잘 먹어 사료 작물로 이용이 가능하다. 녹비작물의 역할을 한다. 과거에 춘궁기에는 종자로 죽을 쑤어 먹었다. ..
-
보리 barley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5. 19. 21:19
보리 barley. 대맥(大麥), 학명 Hordeum vulgare L. 벼과 보리속의 월년생(越年生, 그 해에 싹이 트고 이듬해에 꽃이피고 열매 맺는) 작물. 선사시대에 에티오피아와 남동 아시아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BC 2000년에 중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는 1m. 줄기 끝에 원추형의 꽃송이가 1개씩 달린다. 우리나라에서는 4월 말에서 5월 상순에 꽃이 피고, 그 후 30∼40일이면 성숙하는데 과실은 영과(穎果)이다. 줄기는 3~5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포기에서 여러 개가 나온다. 식이섬유가 매우 풍부하여 당뇨병 환자나 강장제 및 각기병의 치료제, 과체중인 사람들의 건강식으로 매우 좋다. 맥아는 엿기름이라 하여 곡물을 당화시키는 재료로 이용하고 있다. 진성의 보리고개 http..
-
이대 Arrow Bamboo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4. 3. 22:51
보문사지. 이대 Arrow Bamboo, 전죽(箭竹, 화살대), 학명 Pseudosasa japonica, 화본목 벼과 이대속의 상록 활엽. 전죽의 생산지는 남부지방이다. 높이 2 ~ 5m. 지름 0.5~1.5센티미터 정도로 굵기가 적당하고 곧게 자라며, 줄기는 마디가 적고 마디 사이가 길어서 화살대로 쓰기에 안성맞춤이다.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꽃은 4월 ~ 6월에 개화하며 원뿔모양꽃차례로 잔털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작은이삭이 5 ~ 10개의 꽃을 이룬다. 열매는 6월 ~ 8월에 성숙한다. 울타리 조성용으로 알맞다. 엽초, 엽병 및 잎이 자주색인 자주이대를 제주도에서 볼 수 있다. 대나무는 왕대속, 해장죽속, 이대속, 그리고 조릿대속이 있는데 왕대속의 나무중 왕대(王竹)는 참죽이라하고, 죽순을 얻는다 하..
-
사사조릿대 Pilobrastus pygmaed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3. 7. 10:38
사사(笹)조릿대 Pilobrastus pygmaed Mitford A. 조릿대 가운데 가장 작아 난장이조릿대. 일본 원산. 높이 15~20cm. 잎은 바소꼴이다. 꽃은 5~7월에 핀다.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소나무 밑에서 자란다. 가슴이 갑갑하거나 혓바늘이 돋을 때, 기침, 가래에 효능이 있다. 오죽 http://ktk84378837.tistory.com/931 맹종죽 http://ktk84378837.tistory.com/897 사사조릿대 http://ktk84378837.tistory.com/1690 http://ktk84378837.tistory.com/4482 조릿대 http://ktk84378837.tistory.com/1745
-
아름다운 새품 Miscanthus sinensi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2. 12. 20. 12:40
겨울 억새의 새품(억새의 꽃)이 이리 아름다울 수가! (새픔은 도깨비바늘의 고어이기도 하다.) 산억새 Flame Grass, 두영(杜榮), 자주억새. 학명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의 나비 1~2cm의 선형이다. 9월에 자주색을 띤 노란 꽃들이 줄기 끝에서 부채꼴이나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피는데 마디마다 2개씩 작은 이삭이 촘촘히 달린다. 제1포영(꽃받침조각)에는 5~7개의 맥이, 제2포영에는 3개의 맥이 있으며, 수술은 3개이다. 10월에 열매가 익어서 부풀면 하얀 깃털이 끝에 달려 바람에 나부낀다. 참억새의 꽃이삭이 황색이다. 잎의 나비가 5mm 정도인 것을 가는잎억새, 잎에 무늬가 있는 것을 얼룩억새라고 한다. 생약명 망경(芒莖), 망근(芒根)..
-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2. 10. 3. 18:57
주름조개풀 undulateleaf-oplismenus. 명들내, 털주름풀, 학명 Oplismenus undulatifolius , 본초명 구미초(求米草), 한자어 신초(藎草, 荩草)는 조개 모양을 닮았다는 뜻이다. 조이초(鳥耳草)는 새의 귀를 닮았다고?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5~30cm. 잎몸은 피침형으로 주름이 지며 잎집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혀는 매우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8~9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로서 가지가 갈라지고 밀착한 소수는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 정도로 짧은 까락이 있고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영과가 들어 있는 소수는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의 주름진 모습이 조개 모양이라 주름조개풀이다. 주름조개풀 http://ktk84378..
-
개솔새 Cymbopogon tortilis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2. 9. 14. 16:04
개솔새 goering-lemongrass. 뚜꾸지피기, 학명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북한명 향솔새,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양지 바르고 건조한 들에서 자란다. 줄기가 모여 나서 큰 포기를 이루어 높이 80~120cm 정도에 이르며 털이 없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15~40cm, 너비 3~5mm 정도이며 잎혀는 삼각형이고 털이 없다. 8~9월에 개화한다. 꽃차례는 길이 20~40cm 정도로 거의 곧추서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무병소수인 포영에 2개의 용골이 발달한 것이 ‘솔새’와 다르고 총상꽃차례의 아래 쌍의 소수는 같은 모양인 것은 ‘쇠풀’과 다르다. 개솔새는 은빛이 돌면서 이삭이 솔새보다 성긴 느낌이 들어 솔새보다 못하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
청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var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2. 8. 12. 18:06
그령 역시 이름의 유래가 오리무중이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기에 '그러매다'에서 '그렁'이 나오고 '그령'으로 변화했다는 설이 있다.( http://blog.naver.com/jinh0317?Redirect=Log&logNo=70039560225 ) 그렇다면 '수ㅎ+그령'이 '수크령'이 되었다는 말인데 '수ㅎ'는 수컷이니 수컷 그령이라니 암수딴그루인가? 수탉을 장닭이라고도 하니 장(長)이 크다는 뜻이라면 수크령은 그령보다 큰그령이니 이는 말이 좀 된다. 청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var. viridescens (Miq.) Ohwi 화본목 벼과 수크령속의 여러해살이풀. 근경에서 억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화경은 모여나 큰 포기를 이루며 높이 50~100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