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
도깨비바늘 Spanish Needle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26. 21:39
도깨비바늘 Spanish Needles,귀침초, 파파침, 맹장초, 참귀사리, 바늘닥사리, 학명 Bidens bipinnata L. 국화과의 일년초. 노란꽃잎이 3~5개, 씨 끝에 3~4개의 가시가 있고 안쪽에 아래를 향한 까끄라기가 있어 옷이나 털에 잘 붙는데서 유래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생즙은 독벌레에게 물렸을 때나 상처에 바른다. 간의 섬유증을 치료한다. 도깨비바늘 http://ktk84378837.tistory.com/3860 http://ktk84378837.tistory.com/1099 울산도깨비바늘 http://ktk84378837.tistory.com/4373 http://ktk84378837.tistory.com/4235 털도깨비바늘 http://ktk84378837.tistory..
-
사데풀 Seashore sowthistl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25. 23:18
우황리 들판엔 때가 약간 지난 노란 사데풀이 가득하다.사데풀은 거매채, 고매채, 야고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야지, 대개 남부의 해안지대에 살고 있다.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해열과 지혈에 효과가 좋다.조뱅이나 방가지똥과 흡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다. 사데풀 Seashore sowthistle, field-sowthisle, 사쿠리나물, 방가지똥속의 다년초, 학명 Sonchus brachyotus DC. 높이 30-100cm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어린순 나물, 사료 이용, 全草(전초)인 거매채는 細菌性下痢症(세균성하리증), 喉頭炎, 虛弱咳嗽(허약해수), 內痔脫出(내치탈출), 白帶(백대)를 치료. 거매채화는 급성황달형 전염성간염을 치료한다. 꽃이 비..
-
무늬쑥부쟁이 Aster yomena variegate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22. 22:37
과문한 탓이겠지만 무늬쑥부쟁이란 말을 영랑생가 입구 화단 팻말에서 처음 보았다.까실쑥부쟁이 비슷한데 무늬쑥부쟁이라고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조금만 달라도 분류하고 싶어하는 모양이다.잎이 무늬겠지 했는데 뚜렷하지가 않더니 사진에서는 희끗희끗하다.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섬쑥부쟁이, 개쑥부쟁이 등이 있다.구절초, 벌개미취와 동속이라 구분이 쉽지 않다.어린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볶아먹는다. 성분이 특이한지 이빨사이에서 뽀드득뽀드득 맛있는 소리가 난다. 쑥부쟁이에는 다음과 같은 아주 슬픈 얘기가 얽혀 있다. 무늬쑥부쟁이 Aster yomena variegate .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쑥부쟁이속)의 일년초. 영랑생가 화단에 무늬쑥부쟁이라 붙은 팻말이 아무래도 수상쩍다. 무..
-
주홍서나물 head-thick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22. 22:12
아프리카 원산의 주홍서나물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꽃에 색깔이 거의 없는 붉은서나물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2004년 한겨레신문에 기사화된 주홍서나물을 아래에 소개한다. 남부 자생 주홍서나물 중부지방에서 첫 발견 한겨레 | 기사입력 2004-11-01 21:21 [한겨레] 안성 고성산 자생…한반도 기온 상승 탓 추정 아프리카 원산의 한해살이풀이며, 국내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주홍서나물’이 중부지방인 경기도에서도 자생한다는 사실이 한 고교 교사에 의해 확인됐다. 경기 평택참여자치시민연대 운영위원이며 생태연구가인 김만제 한광여중 교사는 1일 안성시 원곡면 고성산에서 ‘주홍서나물’(사진) 자생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주홍서나물은 1984년 경남 남해 상주해수욕장의 바닷가에서 발견돼 ‘남해붉은서나무물’..
-
국화 Chrysanthemum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14. 14:31
국화 Chrysanthemum. 국화는 노지에서 겨울을 날 수 있는 숙근초. 오상고절(傲霜孤節). 키 30cm ~ 1m. 중국명 국(菊)은 누룩을 뜻하는데 술의 기본이며 맛의 원천이라 하여 아주 귀하게 여겼다. 국화를 황화, 황예라 하듯이 황하(黃河)도 자신들의 피부색이라 하여 신성시했다. 군주를 황제라고 칭했듯이 국화도 꽃의 왕자라는 뜻인 황화라고 하였다. 5~7월에 피는 하국(夏菊), 8월에 피는 8월국, 9~11월에 피는 추국(秋菊) 및 11월 하순부터 12월에 걸쳐 피는 한국(寒菊)이라 한다. 꽃의 지름이 18㎝가 넘는 대국(大菊), 지름이 9~18㎝ 정도인 중국(中菊), 지름이 9㎝가 채 안되는 소국(小菊)이라 한다. 주무숙(周茂叔)은 「애련설(愛蓮說)」에서 “국화지은일자야(菊花之隱逸者也)”라고..
-
망초(亡草) Erigeron canadensis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14. 14:03
북미 원산의 망초는 잔꽃풀이라고 해서 꽃이 자잘자잘하다. 소연초, 모모호, 연화초, 가나대연, 가나대비연, 학명 Erigeron canadensis. 뿌리잎은 주걱 같은 댓잎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촘촘이 달리는데 밑 부분은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없다. 꽃은 7~9월에 엷은 녹색 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9~10월에 수과로 달린다. 생약명은 소비봉(小飛蓬)으로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효험이 있다.망초의 사촌격인 개망초는 계란꽃이라고 해서 꽃잎이 희고 꽃술이 노랗다. 개망초가 다 지고나면 망초가 국토를 하얗게 물들인다. 그때가 바로 이때이니 나라가 일제에 망하고 하염없이 들판을 쳐다보니 바로 이 꽃이 조선천지를 덮고 있더란다. 그래서..
-
금불초(金佛草) Asian meadow-alant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7. 20:43
금불초(金佛草) Asian meadow-alant. 황금빛 부처님으로 보인 꽃이다. 부와 길조의 상징인 황금빛에 자애하신 부처님을 연상하므로 붙은 이름이다. 국화과 금불초속의 다년초. 금비초(金沸草), 하국(夏菊)·. 학명 Inula britannica L. 높이 30-100cm. 노란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린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생약의 선복화(旋覆花)는 이 꽃을 말린 것으로 거담, 진해, 건위, 진토(鎭吐), 진정 등의 효능이 있다. 금불초 http://ktk84378837.tistory.com/638 http://ktk84378837.tistory.com/3943 버들금불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272 金錢花(금전화) ..
-
절굿대 Echinops setifer초목류 wild flower/국화과 chrysanthemum 2007. 8. 7. 20:28
절굿대 Echinops setifer 북루(北漏), 귀유마(鬼油麻) 아직은 꽃을 피우지 않아 도깨비방망이 같은 모습이지만 이래뵈도 국화과 식물이다. 개수리취·절구대, 둥둥방망이, 분취아재비라고도 하는데 잎이 가시 달린 톱니가 있어 엉겅퀴와 같다. 7∼8월에 남색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는데 공처럼 둥글고 절구공이를 연상시킨다. 일제강점기에 퍼졌던 잔존식물로 추정된다. 절국대가 있으니 요조심. 어린 잎은 식용하고 생약명 누로(漏蘆)이며 주로 호흡기·순환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린다. 절굿대 http://ktk84378837.tistory.com/1957 http://ktk84378837.tistory.com/3833 http://ktk84378837.tistory.com/3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