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
암꿩(까투리)의 주검 Phasianus colchicus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10. 19. 23:05
꿩 pheasant. 꿩은 나는 것이 마치 화살(矢) 같다고 치(雉)이다. 학명 Phasianus colchicus. 꿩과. 크기 수컷 85~95cm, 암컷 56~60cm. 4~6월에 야산의 덤불숲, 숲 속의 땅 위에 알을 8~12개 낳는다. 포란기간은 23일이다. 암컷이 포란하고, 새끼를 돌본다. 수컷은 뒷머리에 녹색 귀깃이 있으며, 뺨에는 붉은 살이 있고, 번식기에 부풀려 암컷에게 과시한다. 목에 흰색 띠가 뚜렷하며 뒷목까지 연결된다. 발목 뒤의 날카로운 며느리발톱은 번식철에 수컷끼리의 경쟁에 이용한다. 중국 한나라 때에는 선비가 높은 사람을 찾아갈 때 지니고 가는 폐백, 즉 예물로 흔히 꿩을 가지고 갔다. 꿩은 야생이라 길들여지지 않는다. 바른말로 임금을 보필하되 굳은 지조를 지켜 길들여지지 않겠다..
-
백조 흉내내는 두루미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9. 18. 16:44
대청호. 백로 & 왜가리 http://ktk84378837.tistory.com/78 백로 http://ktk84378837.tistory.com/1435 http://ktk84378837.tistory.com/7672 왜가리 http://ktk84378837.tistory.com/1436 두루미 – 용혜원 무슨 노래를 부르라고 목을 길게 뿜었니 누가 보고 싶어 고개를 들고 또 들어 어디를 바라보고 있니 다리를 세우고 물가에 비친 너의 모습을 보다 그리움이 울컥 몰려와 눈물을 삼키지 않았니 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넌 무슨 생각을 하고 있니 수록시집 그때 그순간 그대로 사랑하고 싶다
-
까마귀 Carrion Crow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6. 19. 14:45
심산 절벽 위를 까악깍거리며 선회하는 까마귀 Carrion Crow. 송장새. 학명 Corvus corone. 대뇌가 발달해 학습능력이 좋다. 무리 내에는 우두머리가 없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 질서 없이 흩어져 이동한다. 까치와 함께 해충을 잡아먹기도 하지만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검은색 이미지와 쓰레기통을 뒤지는 비위생적 행동과 까악까악 우는 소리에서 호감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대둔산. 까마귀에는 오(烏)와 아(鴉)가 있다. 오(烏)는 몸통이 온통 검고 자라서는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인다. 그래서 반포조(反哺鳥), 자오(慈烏)라고 부르는 효성스런 새다. 아(鴉)는 갈까마귀 또는 큰부리까마귀라 하는데 까마귀보다 조금 작고 배 아랫부분이 희다. 성질이 고약하여 제 어미를 먹일 줄 모르는 포악..
-
동고비 Eurasian Nuthatch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6. 19. 14:16
동고비 Eurasian Nuthatch. 참새목 동고비과. 크기 14cm. 활엽수림에서 딱정벌레, 나비, 매미, 파리 등 곤충류나 식물의 씨앗, 열매 등을 먹는다. 나무 위의 생활이 주가 되며, 나무줄기나 가지를 자유자재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먹이를 찾는다. 4~6월에 7개의 알을 낳아 암수가 교대로 품으며, 14~15일 후 부화한 뒤 23~25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대둔산. 제비 http://ktk84378837.tistory.com/4307 굴뚝새 http://ktk84378837.tistory.com/7248 동고비 http://ktk84378837.tistory.com/7082 http://ktk84378837.tistory.com/7471 되솔새 http://ktk84378837.tistory...
-
돌아온 제비 Barn Swallow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6. 19. 08:34
어린 새끼가 궁둥이를 밖으로 내밀고 똥을 싸면, 어미가 이를 받아 입에 물고 밖으로 내다 버린다. 어미가 먹이를 물고 와 새끼를 먹인다. 우는 놈에게 젖 준다고 가장 보채는 녀석에게 주는 걸까. 어미는 늘 주변을 경계하곤 또 먹이를 구하러 나간다. 반포(反哺)는 모든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본성이다. 일주일 뒤에 갔더니 똥도 가릴 줄 알고 이소를 할만큼 컸다. 신탄진. 제비 https://ktk84378837.tistory.com/4307 http://ktk84378837.tistory.com/7461 조선 중기 문인화가인 김식의 제비. 제비의 하소연 / 정약용 제비가 강남 갔다 처음 와서는 燕子初來時 지지배배 쉼 없이 조잘거리네 喃喃語不休 말뜻은 비록 분명찮으나 語意雖未明 집 없는 근심을 하소하는 듯 似..
-
물까치의 고뇌 Azure-Winged Magpie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5. 22. 22:02
물까치의 고뇌 Azure-Winged Magpie. 가족애가 가장 강한 참새목 까마귀과의 텃새로 잡식성이다. 탑정호 물가 은행나무 가지에 둥지를 튼 물까치가 새끼에게 육추(育雛)를 하고 나서는 카메라 들고 있는 곳으로 날아들어 머리를 할퀴는 위협을 하며 달겨든다. 학명 Cyanopica cyana, 학습능력이 뛰어나고 군집생활을 한다. 농해(農害)를 입힌다. 대청호오백리길 2구간 찬샘마을. 대청호오백리길 http://www.dc500.org/ 물까치 http://ktk84378837.tistory.com/379 http://ktk84378837.tistory.com/2494
-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4. 12. 20:53
오목눈이 학명 Aegithalos caudatus, 꼬리긴작은새(Long-tailed Tit). 참새목 오목눈이과. 크기는 12~14cm, 한자리에 오래 머물지 않고 쉴 새 없이 울음소리를 내며 나무와 나무사이를 이동한다. 포란기간은 약 13~15일이며 부화 후 14~17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100mm로 마냥 느리게 꽃 찍다가 뛰는듯 나는듯 촐랑거리며 폴짝거리는 새 찍느라 바쁜 식장산 계곡. 그 꼴을 오목눈이 한 마리가 아무 생각 없다는듯 내려다 보고 있다. *여기다 써야 하나? 총선일인 13일 오늘 블로그 하루 방문객이 3.687명을 찍었다.. 14일 이 순간엔 3,777명이 조회를 했다. 이틀 전까지는 하루 100-150명 정도였으니 납득할 수 있겠는가. 여소야..
-
굴뚝새 Winter Wren동물 Animal/조류 鳥類 Birds 2016. 4. 12. 20:42
굴뚝새 Winter Wren. 쥐새. 학명 Troglodytes troglodyes. 참새목 굴뚝새과의 텃새. 5~8월에 나타난다. 100mm로 마냥 느리게 큰괭이밥을 찍다가 꼭 열 발짝 거리쯤 유지하면서 뛰는듯 나는듯 촐랑거리며 폴짝거리며 날 잡아보거라 하는 굴뚝새 찍느라 바쁜 식장산 계곡. 크롭을 해서 이나마 보이는게 다행이랄까. 굴뚝새는 왜 꼬리깃을 세우지? 굴뚝새 http://ktk84378837.tistory.com/7248 굴뚝새 - 김순진 찬밥 한 그릇 신김치 숭숭썰어 무쇠 솥에 안치며 짚불을 넣으니 굴뚝새 한 마리 포르르 굴뚝을 빠져나와 어둠을 산란하며 뽕나무 덤부사리로 숨어든다. 대젓가락으로 집을만한 건건이 하나 없는 밥상 무청쪼가리짠지 하나를 산돼지라도 잡은 양 꿰어 김치죽 만찬이 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