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털두꺼비하늘소 Moechotypa diphysis동물 Animal/딱정벌레 beetle 2008. 5. 3. 18:10
털두꺼비하늘소 Moechotypa diphysis (Pascoe, 1871). 딱정벌레목 하늘소과의 곤충으로 몸길이 3센티 이하. 가슴과 딱지날개가 마치 두꺼비의 등과 같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어 있고 검은 털까지 나 있어 부르는 이름이다. 기주식물로는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개서어나무, 굴피나무이다. 털두꺼비하늘소 http://ktk84378837.tistory.com/5366 http://ktk84378837.tistory.com/3264
-
청사초롱(靑紗燈籠)심상 image 2008. 5. 2. 21:36
첫째는 2006년 2월 13일 공군에 지원하여 근무하다가 27개월 군복무를 끝내고 5월 5일 제대한다. 제대를 앞두고 편지를 보냈더니 좋아라고 지난 휴가 때 휴대전화를 살려 가져가더니 고맙다고 전화가 왔다. 영어 잘하는 나라가 잘 살더라는 이명박대통령의 말 이후에 더욱 가열된 어학연수를 녀석도 계획하고 있다. 어학연수를 생략하려고 카투사를 지원했는데 공대 건축과 다니는 사람도 합격하더니 영교과 다니는 녀석은 떨어졌었다. 마침 배치받은 부대는 군산 38비행단인데 미공군이기에 영어회화 기회가 있을 줄 알았는데 그건 그거고...라는 대답이다. 어학연수는 6개월은 잡아야 효과가 있다 하고 어디로 가든 그 비용이 2천만원 정도라니 혼자 월급쟁이하는 집안에서 과연 보내야 하나 고민거리다. 둘째는 3월 25일 의정부..
-
황금철쭉 Japanese Azaalea초목류 wild flower/진달래과 Ericaceae 2008. 5. 2. 21:34
황금철쭉 Japanese Azaalea. 학명 Rhododendron japonicum for. flavum (Miyoshi) Nakai. 진달래과의 낙엽관목. 4~5월경에 개화하고 반그늘진 곳이나 광선아래에서 잘 생육한다. 식물체에 독성이 있어 살충효과가 있다. 진달래 http://ktk84378837.tistory.com/324 http://ktk84378837.tistory.com/868 털진달래 http://ktk84378837.tistory.com/800 만병초 http://ktk84378837.tistory.com/189 철쭉 구분 http://ktk84378837.tistory.com/282 http://ktk84378837.tistory.com/4587 철쭉 ttp://ktk84378837..
-
미나리냉이 Cardamine leucantha초목류 wild flower/십자화과 Brassicaceae, Cruciferae 2008. 5. 2. 21:27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키는 50센티 내외로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채자칠(菜子七)이라 하여백일해에복용한다. 미나리냉이 white-flowered-bittercress, 승마냉이, 북한명 미나리황새냉이. 학명 Cardamine leucantha, 채자칠(菜子七), 풍접초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70cm,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7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 잎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4-6월에 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피며 흰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타원형이며 털이 있다. 수술은 6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장각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뿌리줄기는 백일해를 치료한다. 참고추냉이는 식물체에 털이 없다. ..
-
비목나무 Spice Bush초목류 wild flower/녹나무과 Lauraceae 2008. 5. 1. 12:08
녹나무과(―科 Lau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비목'이라는 가곡의 제목으로 알려져 더욱 친숙감을 주는 나무이다. 국민가곡 '비목'의 지리적 배경은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 해발 1179m의 백암산이다. 1964년 화천 백암산 비무장지대 양지바른 산모퉁이에서 청년 장교가 이름 모를 용사의 녹슨 철모가 뒹굴고 이끼가 낀 채 허물어져 있는 돌무덤을 발견했다. 청년 장교는 화약 냄새조차 가시지 않은 그 자리를 떠날 수 없어 한동안 머물렀다고 한다. 이후 4년이 흘러 국민 가곡 '비목'은 무너질 듯 서 있는 비목과 꽃다운 나이에 쓰러진 젊은 무명용사의 넋을 기리기 위해 쓰인 헌시에 곡을 부쳐 탄생했다. 비목나무 Spice Bush. Redfruit Spicebush, 白木, 보얀목, 홍과산호초(红果山胡椒), ..
-
신나무 Amur Maple초목류 wild flower/단풍나무과 Aceraceae 2008. 5. 1. 12:00
신나무 Amur Maple. 때깔나무의 뜻으로 색목(色木), 북한명 시닥나무. 학명 Acer tataricum subsp. 단풍나무과의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2-10m, 잎은 마주나고 세모진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며 밑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원추꽃차례 가지 끝에 노란색으로 달린다. 잎을 염료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나무껍질을 간장염, 안질에 약으로 쓴다. 시과의 각도가 넓게 벌어지는 괭이신나무, 시과의 빛깔이 붉은 붉신나무가 있다. 싣(楓)나모>싯나모>신나무에서 유래했다는 말이 있다. 단풍의 비밀 http://ktk84378837.tistory.com/969 단풍5종 http://ktk84378837.tistory.com/4366 애기단풍나무 & 단풍나무 http://ktk843788..
-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1. 11:57
양지陽地꽃 Cinquefoil. 치자연(雉子筵), 만산홍(滿山紅), 위릉채(萎陵菜), 소시랑개비, 학명 Potentilla fragarioides. 장미과 양지꽃속에 다년초. 높이 30-50cm. 양지바른 곳에 나며, 풀 전체에 거친 털이 나 있고 줄기는 땅을 긴다. 꽃은 4~6월에 노랗게 피며 꽃잎은 5장이다. 엽병이 길고 3~15개의 소엽이 홀수로 달린다. 엽병이 3개인 것을 세잎양지꽃이라 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全草(전초)는 雉子筵(치자연), 根(근)은 雉子筵根(치자연근)이라 하며 익기(益氣)·지혈의 효능이 있다. 생약명은 연위릉(筵萎陵)이며 産後惡露不淨(산후악로부정) 등), 폐결핵 의 喀血(객혈)을 치료한다. 양지꽃은 잎이 여섯 장이지만 뱀딸기는 석 장이다. 세잎양지꽃은 잎이 석장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