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2008. 5. 3. 21:40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의 볕이 잘 들고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미나리와 한 집안인 양 비슷하다고 미나리아재비라고 하는 모양이다. 그런데 아무리 보아도 미나리와 비슷하게 생기지도 않았다. 그런데 왜 미나리아재비란 이름이 붙었을까. 유럽이 원산지라 하니 유럽의 미나리는 이와 비슷한가? 꽃잎에 무슨 성분이 있는지 눈으로 보아도 윤이 번쩍번쩍 나는 것을 사진이라고 무광택 처리하면 안되겠다 싶다. 식물체에 독성이 있으나 생약으로 사용하고, 연한 순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부를 모랑(毛 )이라 하여 간염으로 인한 황달를 치료하고 눈에 낀 백태를 제거한다. 개구리자리 http://ktk84378837.tistory.com..
-
분(粉)꽃나무 Viburnum carlesii초목류 wild flower/인동과 Caprifoliaceae 2008. 5. 3. 21:14
분꽃나무 Korean spice viburnum. 분화목(粉花木), 학명 Viburnum carlesii.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관목으로 분꽃을 닮아 분꽃나무, 분 냄새가 나서 분꽃나무 이런 유래가 있다. 높이 2m.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별모양 털이 밀생한다. 꽃은 4월 중순 ~ 5월 중순에 연분홍색으로 피고 취산꽃차례는 전년지 끝 또는 1쌍의 잎이 달려있는 짧은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달걀형이고 검은색이며 10 ~ 11월에 성숙한다. 열매는 식용한다.분꽃나무는 꽃자루가 흰색이고 산분꽃나무는 꽃자루가 룱은색이다. 분꽃나무 http://ktk84378837.tistory.com/3254 http://ktk84378837.tistory.co..
-
당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3. 21:04
조팝나무나 이팝나무나 가난한 것이 얼마나 힘들고 아픈가를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말이어서 피눈물이 나는 듯하다. 조밥나무가 조팝나무로 된 것은 이밥나무가 이팝나무로 된 것과 마찬가지 과정이다. 이ㅎ 혹은 조ㅎ은 ㅎ종성체언이라 하여 ㅎ을 받침으로 가진 고어인데 뒤에 오는 ㅂ과 충돌하며 ㅍ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다만 이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이고 조팝나무는 장미과 식물이니 종자만 다를 뿐이다. 대전시 유성구가 이팝나무를 심어 꽃을 피우자 이팝나무축제를 열곤 하더니 이젠 새로 나거나 확장하는 길마다 가로수로 가지가 벌지 않은 삐쭉한 이팝나무를 심어 거리를 히끄무리하게 수놓고 있다. 때마침 식량수출을 엄격히 제한하는 곡창국가들 때문에 식량값이 폭등하는 가운데 배고픈 시절을 떠올리는 효과가 있을 법한가. 당(唐)조팝나무..
-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초목류 wild flower/홀아비꽃대과 Chloranthaceae 2008. 5. 3. 20:47
산지의 그늘에서 자라는 홀아비꽃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꽃자루가 하나이므로 붙은 이름인데 꼿꼿한 모습에 하얀 옷차림을 보면 홀아비보다는 때묻지 않은 순박한 시골 처녀다. 벌어지지 않은 잎에 싸여 있는 모습은 마치 보티첼리가 그려낸 비너스의 탄생 장면이다. 북한에서는 홀꽃대라 하고, 홍천에서는 망측하게도 홀아비좆대라 한다. 은선초(銀線草)는 생약명인데 산한(散寒), 이뇨제, 거풍(祛風), 행어(行瘀), 타박상, 악창, 옴, 머리상처, 기침, 해독(解毒), 통경제, 피부병, 거풍승습(祛風勝濕), 학질, 활혈(活血), 류머티즘, 이기(利氣) 등에 약용한다. 또한 동물실험에서 종양 억제작용이 밝혀져 항암약으로도 사용된다고 한다. 홀아비꽃대과에 꽃대도 있는데 꽃..
-
줄딸기 Rubus oldhamii초목류 wild flower/장미과 Rosaceae 2008. 5. 3. 20:19
줄딸기 Rubus oldhamii. Korean creeping raspberry, 덩굴딸기, 애기오엽딸기, 만경현구자, 덤불딸기, 학명 Rubus oldhamii Miq.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 덩굴나무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길이 2-3m,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꽃은 5월에 햇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연한 분홍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열매는 복과이며, 둥글고 7-8월에 붉게 익는다. 민간에서는 지사제, 강장제 명안에 쓴다. 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645 곰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382 맛노랑딸기 http://ktk84378837.tistory.com/1694 멍석..
-
삿갓사초(莎草) Umbrella sedge초목류 wild flower/사초과 Cyperaceae 2008. 5. 3. 20:03
삿갓사초는 당연 그늘을 만들기 위한 삿갓의 재료로 사용했다는 얘기. 三度笠[산도가사]는 얼굴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깊이 쓸 수 있도록 삿갓사초(莎草)로 엮은 삿갓. 원래는 에도(江戸), 교토(京都), 오사카(大坂)의 세 곳을 매월 세 번씩 왕복하던 파발꾼을 삼도비각(三度飛脚 산도히캬쿠)이라고 불렀는데 그들이 주로 썼던 삿갓에서 연유하여 三度笠[산도가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http://blog.daum.net/bksscdll/2338 삿갓사초 Umbrella sedge 사초과 사초속의 다년초. 학명 Carex dispalata Boott. 삿갓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한 일본에서 유래한다. 꽃대는 높이 40~100cm로서 삼각형이고 윗부분이 깔깔하거나 밋밋하다. 5~7월에 개화하고, 줄기 상부에 4~7..
-
광대수염[廣大鬚髥] white-deadnettle초목류 wild flower/꿀풀과 Lamiaceae 2008. 5. 3. 19:56
광대수염[廣大鬚髥] white-deadnettle. A kind of dead nettle. 수모야지마(鬚毛野芝麻), 꽃수염풀, 산광대. 학명 Lamium album L. 꿀풀과 광대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네모지고, 높이 30-60cm, 털이 조금 있다. 꽃은 4-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5-6개씩 층층이 달리며,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다. 잎자루와 겨드랑 사이에 수염같이 여러 갈래 갈라진 꽃받침을 보고 광대수염 이름이 붙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全草(전초)는 野芝麻(야지마)라 하며 자궁질환, 비뇨기질환, 월경불순에 효험이 있다. 구상의 잡초송(雜草頌) 중에서 광대수염을 묘사한 장면을 아래 소개한다. 광대수염 http://ktk84378837.tistory...
-
청개구리의 변신 Hyla japonica동물 Animal/양서류 兩棲類 Amphibian, 파충류 爬蟲類 Reptile 2008. 5. 3. 18:15
청개구리 Hyla japonica 개구리목 청개구리과. 크기 2.5~4cm. d아시아 원산. 등은 초록색이나 황록색의 바탕에 진한 녹색이나 흑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있으며 몸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고 피부는 매끈하다. 수컷의 인두 부분에는 커다란 바깥울음주머니가 있지만 암컷에게는 없다. 청개구리 http://ktk84378837.tistory.com/46 http://ktk84378837.tistory.com/1303 http://ktk84378837.tistory.com/3263 http://ktk84378837.tistory.com/5991 여기는 영동의 용산에 있는 조그만 계곡지다. 저수지 상류 물가를 어슬렁거리고 있는데 폴짝 폴짝 개구리 한 마리가 놀라 도망을 한다. 첨 봐서 참 희안한 개구리다 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