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이진
-
대전 유회당과 여경암 餘慶菴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8. 3. 23. 22:21
유회당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송진 그림유회당과 반송의 멋드러진 조화. 유회당은 권이진(1668-1734)의 호. http://ktk84378837.tistory.com/7201앞건물이 거업재(擧業齋)이고 중앙건물이 여경암(餘慶菴)이며 뒷건물이 산신당이다. 유교, 불교, 도교가 한자리에 앉은 특이한 모습이다. 거업재는 공부하는 서당으로 춘추 정신을 깨닫고 삼강을 올바르게 하는 군자의 길을 걷게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여경암은 유회당 권이진이 후손과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1715년(숙종 41)에 세운 건물로 유형문화재 제18호이다. 지금은 암자로 쓰이고 있다. 여경암은 송나라 사마온공 즉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자제와 제자를 가르치기 위해 세운 여경사(餘慶寺)에서 따왔다.여경암 뒷편 담장 아..
-
유회당(有懷堂)과 귀후재(歸厚齋)문화 culture/유교문화 Confucian culture 2016. 3. 29. 13:14
솟을삼문 열자마자 손바닥만한 연못 활수담(活水潭)과 돌다리를 건너 계단을 올라야 유회당(有懷堂)에 닿는다. 주자의 시 관유유감 기이(觀書有感 其二)에 나오는 爲有源頭活水來( 위유원두활수래, 신선한 물이 흘러 들어오기 때문이라네)에서 왔다고 한다. 유회당 왼쪽은 구시재(求是齋), 오른쪽은 불기재(不欺齋)이다. 양쪽 방문 가운데는 미수 허목(眉叟 許穆)이 쓴 전서 주련이 걸려있다. 아래의 세로로 쓴 두 글은 유회당의 증조부인 만회 권득기의 열글자 훈(十字訓)인데, 어느 때인가 미수 허목이 쓴 것이라 한다. 求是齋(구시재)의 주련 : 每事必求是(매사필구시, 모든 일은 반드시 옳은 것을 구하고) 不欺齋(불기재)의 주련 : 毋落第二義(무락제이의, 의롭지 않은 일에는 빠지지 말라). 또한, 不欺(불기)는 다음..
-
이대 Arrow Bamboo초목류 wild flower/벼과(화본과) Gramineae 2013. 4. 3. 22:51
보문사지. 이대 Arrow Bamboo, 전죽(箭竹, 화살대), 학명 Pseudosasa japonica, 화본목 벼과 이대속의 상록 활엽. 전죽의 생산지는 남부지방이다. 높이 2 ~ 5m. 지름 0.5~1.5센티미터 정도로 굵기가 적당하고 곧게 자라며, 줄기는 마디가 적고 마디 사이가 길어서 화살대로 쓰기에 안성맞춤이다.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꽃은 4월 ~ 6월에 개화하며 원뿔모양꽃차례로 잔털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작은이삭이 5 ~ 10개의 꽃을 이룬다. 열매는 6월 ~ 8월에 성숙한다. 울타리 조성용으로 알맞다. 엽초, 엽병 및 잎이 자주색인 자주이대를 제주도에서 볼 수 있다. 대나무는 왕대속, 해장죽속, 이대속, 그리고 조릿대속이 있는데 왕대속의 나무중 왕대(王竹)는 참죽이라하고, 죽순을 얻는다 하..